• Title/Summary/Keyword: 화학적 위해성평가

Search Result 81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Health Impact Assessment and Emissions Reduction System Using AERMOD (AERMOD를 활용한 건강위해성평가 및 배출저감제도에 관한 연구)

  • Seong-Su Park;Duk-Han Kim;Hong-Kwan Kim;Young-Woo Cho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20 no.1
    • /
    • pp.93-105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determine the impact on nearby risidents by selecting the amount of chemicals emitted from the workplace among the substances subject to the chemical emission plan and predicting the concentration with the atmospheric diffusion program. Method: The selection of research materials considered half-life, toxicity,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vailable monitoring station data. The areas discharged from the materials to be studied were selected as the areas to be studied, and four areas with floating populations were selected to evaluate health risks. Result: AERMOD was executed after conducting terrain and meteorological processing to obtain predicted concentrations. The health hazard assessment results indicated that only dichloromethane exceeded the threshold for children, while tetrachloroethylene and chloroform appeared at levels that cannot be ignored for both children and adults. Conclusion: Currently, in the domestic context, health hazard assessments are conducted based on the regulations outlined in the "Environmental Health Act" where if the hazard index exceeds a certain threshold, it is considered to pose a health risk. The anticipated expansion of the list of substances subject to the chemical discharge plan to 415 types by 2030 suggests the need for efficient management within workplaces. In instances where the hazard index surpasses the threshold in health hazard assessments, it is judged that effective chemical management can be achieved by prioritizing based on considerations of background concentration and predicted concentration through atmospheric dispersion modeling.

Sampling and Analytical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Ambient Air (환경 대기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포집과 분석방법)

  • 백성옥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12 no.1
    • /
    • pp.1-13
    • /
    • 1996
  • 최근들어 발암성 혹은 돌연변이원성에 관련된 환경인의 영향에 관한 직접 혹은 간접적인 증거가 늘어감에 따라 대기환경에서 검출되는 화학적 발암성 물질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수 많은 종류의 발암성 화학물질중 측히 독성 유기화합물은 주변환경에 널리 분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적절한 관리가 어렵고 또한 일반적으로 대기중에 극미량 수준으로 존재하므로 측정, 분석이 어려워 그 위해성을 정확히 평가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다른 물질보다 더 많은 연구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IARC, 1983; WHO, 1987; Calabrese & Kenyon, 1991; Field et al., 1992).

  • PDF

High-k 감지막 평가를 통한 고성능 고감도 Electrolyte-insulator-semiconductor pH센서 제작

  • Bae, Tae-Eon;Jang, Hyeon-Jun;Jo, Wo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447-447
    • /
    • 2012
  • 최근 생물전자공학에서 의료 산업 환경 등 많은 분야에 응용 가능한 바이오센서의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 중 의료 분야에서, 수소이온 ($H^+$)의 농도 감지는 인간의 질병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되며 이러한 수소이온 ($H^+$) 농도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위해 반도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pH 센서가 제안되었다. Ion sensitive field effect transistor (ISFET), electrolyte-insulator-semiconductor (EIS)는 대표적인 반도체 pH센서로, 작은 소자 크기, 견고한 구조, 빠른 응답속도와 CMOS 공정과의 호환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EIS는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감지막의 감지 특성 평가가 용이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pH 센서이다. 센서의 감지 특성을 평가함에 있어 감지막의 감지감도와 안정성이 우수해야 하며 이를 위해 high-k 물질이 감지막으로 사용되고 있다. 추가적으로 high-k 물질은 기존의 $SiO_2$$Si_3N_4$를 대신하여 높은 유전상수로 인한 고성능, 고감도 센서제작을 가능케 한다. 본 연구에서는, high-k 물질인 $HfO_2$, $Ta_2O_5$, $ZrO_2$, $Al_2O_3$를 각각 $SiO_2$ 완충막에 적층한 이단 감지막을 제작하였고, 그 특성을 기존의 $SiO_2$, $Si_3N_4$ 감지막의 감지특성과 비교하였다. pH 감지 특성을 평가해 본 결과, 기존의 $SiO_2$, $Si_3N_4$ 감지막과 비교했을 때 high-k 물질의 감지막을 갖는 EIS pH 센서에서 감지감도와 안정성 모두 우수하게 나타났다. 특히, high-k 물질 중 $HfO_2$에서 감지감도가 다소 크게 평가되었으나, 화학적 용액에 대한 안정성은 떨어졌다. 반면에 $Al_2O_3$$Ta_2O_5$은 화학용액에 대한 안정성 측면에서 최적의 특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high-k 물질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통하여 높은 pH 감지감도뿐만 아니라 우수한 안정성의 EIS pH 센서를 제작 할 수 있었다.

  • PDF

Chemical Stability Evaluation of Ceramic Materials for Liquid Cadmium Cathode (액체카드뮴음금용 세라믹 소재의 화학적 안정성 평가)

  • Ku, Kwang-Mo;Ryu, Hong-Youl;Kim, Seung-Hyun;Kim, Dae-Young;Hwang, Il-Soon;Sim, Jun-Bo;Lee, Jong-Hyeon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1 no.1
    • /
    • pp.23-29
    • /
    • 2013
  • LCC (Liquid cadmium cathode) is used for electrowinning in pyroprocessing to recover uranium and transuranic elements simultaneously. It is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in pyroprocessing with higher proliferation resistance than a wet reprocessing because LCC-cell does not separate TRU from uranium. The crucible which holds the LCC is technically important because it should be nonconducting material to prevent deposition of metallic elements on the crucible outer surface. The chemical stability is also crucial factor to choose crucible material due to the strong reactivities of TRU and possible incorporation of Li metal during the operation. In this study, the chemical stabilities of four kinds of representative ceramic materials such as $Al_2O_3$, MgO, $Yl_2O_3$ and BeO were thermodynamically and experimentally evaluated at $500^{\circ}C$ with simulated LCC. The contact angle of LCC on ceramic materials was measured as function of time to predict chemical reactivity. $All_2O_3$ showed poorest chemical stability and the pores in BeO contributed to a decreases in contact angle. MgO and $Y_2O_3$ have superior chemical stability among the materials.

(4)외국과 우리나라의 HACCP 적용 현황

  • No, Min-Jeong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4 no.2
    • /
    • pp.94-98
    • /
    • 2001
  • 외식, 단체급식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식중독의 발생이 날로 대형화, 다양화되어 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식품에 대한 철저한 위생관리가 요구되고 있다.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위생관리 제도로 국제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란 식품원료의 생산단계에서부터 시작하여 제조.가공, 보존, 유통.판매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소비자가 섭취할 때까지의 모든 단계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요소에 대해 조사.분석하고, 각 위해요소에 대한 방지 방법을 구축하여 계획적으로 감시.관리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을 사전에 확보하고자 하는 체계적인 관리방법이다. HACCP 계획은 위해요소 분석, 중요관리점 결정, 한계기준 설정, 모니터링 방법 확립, 개선조치 방법 확립, 검증절차 확립, 기록 유지 및 문서화 방법 확립의 과정을 거쳐개발되며, 최종제품을 검사하는 기존의 사후 관리적 방식과는 달리 HACCP는 중요관리점을 확인하고 모니터링 함으로써 최종제품의 위생안전성을 담보하는 예방적 관리방법이다. 1960년대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우주비행사들의 우주식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에서 시작된 HACCP는 현재 세계 각국에서 식품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제도로 평가받고 있다.

  • PDF

Batch 공정의 HAZOP 분석에서 이탈의 전파 방법

  • 옥유영;허보경;황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125-130
    • /
    • 1998
  • 현 산업체에서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위험성 평가기법을 이용하고 있다. 위험과 운전성 분석기법(HAZOP)은 대표적인 정성적 평가기법으로 체계적인 연구가 가능하며 brain-storming에 의한 폭넓은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화학 공장에서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HAZOP Analysis는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위험성 평가를 시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과 노력, 시간이 필요하고 전문가의 자질과 컨디션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객관적인 신뢰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HAZOP Analysis 자동화를 위한 연구가 지금까지 활발히 전개되었으나 대부분이 연속 공정에 국한된 것이었다. (중략)

  • PDF

Reactivity Considerations with Miscibility of Process Gases in Semiconductor industry (반도체 산업 공정가스의 혼화성에 따른 반응성 고찰)

  • Lee, Keun W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0 no.4
    • /
    • pp.15-24
    • /
    • 2016
  •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the risk of chemical accidents due to miscibility between the many types of chemicals and leakage of toxic chemicals has increased. In order to evaluate the reactivity with miscibility of chemicals, experimental method is the most reliable, but there is a time and cost limitations to be evaluated through experiment all the chemicals. In the study, the reactivity of process gases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was considered by the CRW (Chemical Reactivity Worksheets) 3.0 program developed by US 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and EPA. The reactivity informations with the miscibility of process gases for semiconductor industry provided, and also a KOSHA guide for the storage/separation of gas cylinders in dispensing cabinets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was proposed.

Thermal and chemical stability evaluation of white ceramic pigment for digital inkjet printing (디지털 잉크젯 프린팅용 흰색 세라믹 안료의 고온 및 화학적 안정성 평가)

  • Kwon, Jong-Woo;Lee, Ji-Hyeon;Lee, Jong-Heun;Hwang, Kwang-Taek;Kim, Jin-Ho;Han, Kyu-Sung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26 no.5
    • /
    • pp.201-208
    • /
    • 2016
  • Ceramic pigments, which show good thermal and chemical stabilities, have been applied for various industry with development of digital printing technology. Ceramic inkjet printing has advantages of high efficiency of ink usage and eco-friendly process. Thus, the interest of the ceramic pigments with various function and color including CMYK (cyan, magenta, yellow, black) digital primary color is increasing. Here, we investigated the thermal and chemical stabilities of white ceramic pigment for digital inkjet printing process. The microstructure and crystal structure of MgO, $Al_2O_3$, $MgAl_2O_4$, $CeO_2$ were analyzed, and the stability with glaze were evaluated. In order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for digital inkjet printing, the chemical stability of white ceramic pigments at high temperature was investigated by characterization of the mixed color properties with CMYK ceramic pigments after firing process.

제초제저항성 GM 들잔디(JG21)의 포장시험을 통한 생물학적 안전성평가

  • Bae, Tae-Ung;Gang, Hong-Gyu;Jeong, Ok-Cheol;Song, In-Ja;Seon, Hyeon-Jin;Go, Seok-Min;Im, Pyeong-Ok;Song, Pil-Sun;Lee, Hyo-Ye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10a
    • /
    • pp.3-3
    • /
    • 2010
  • GM 들잔디의 환경위해성평가는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이동등에 관한 법률 (2008년)에 안전관리 및 시험평가가 수행되었다. 일반적으로 GM 작물의 환경위해성평가는 도입 유전자의 안정적 발현여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식물과의 실질적 동등성, 화분비산에 의한 유전자이동성 검정, GM재배작물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 GM작물 및 유전자의 인체 및 동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 위해성 관리 등이 있다. 본 발표에서는 제초제저항성 GM 들잔디를 실용화 하기위한 환경위해성평가의 내용을 소개하기 위하여 GM 들잔디의 안전성평가를 수행한 포장시험에 대해서 간략히 발표하고자 한다. GM 들잔디는 제초제저항성 유전자가 식물체내에 1개의 복제수를 갖으며, 후세대에서도 안정적으로 발현되었다. 또한 TAIL PCR을 통한 도입 유전자의 삽입 부위를 확인하였고, 주변염기서열을 이용한 JG21 들잔디 만의 특이적 염기서열을 얻었다. GM 들잔디의 실질적 동등성검정은 격리온실 수준과 격리포장 수준에 생물학적,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일반 들잔디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GM 들잔디의 화분은 일광조건하에서 약 1시간 이내에 불활성 되었고, 실내의 실온조건에서는 3시간까지 활성이 유지되었다. GM 들잔디 재배포장 ($12m{\times}6m$ 크기)으로부터 화분비산 밀도는 3 m 이내에서 높게 나타났고, 9 m 이상의 거리에서는 낮은 빈도로 일정하게 나타났다. 화분비산에 의한 GM 들잔디 유전자이동성은 근접거리에서 약 15%가 관찰되었고, 반경 3 m 이내에서 거리에 따라서 2 ~ 0.12%의 유전자이동성이 관찰되었다. 각각의 시험모형에 따른 GM 들잔디와 일반들잔디 간의 교잡율을 조사한 결과 들잔디 교잡율은 GM 잔디의 면적과 거리에 의존적이었고, GM 들잔디 면적에 따라서 6-21%의 교잡율이 나타났다. GM들잔디의 인체위해성평가는 독성 및 알레르기 반응성을 검정하였고, 도입유전자 산물인 PAT 단백질은 독성 및 알레르기 반응성이 없음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GM들잔디의 독성 및 알레르기 반응성을 검토한 결과 아플라톡신 등의 독성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GM과 일반 들잔디 모두에서 화분 알레르기 반응성이 양성으로 나왔다. 그러나 GM들잔디에 도입된 유전자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이 아닌 일반들잔디 화분에 가진 알레르겐에 의한 반응성이라 할 수 있다. GM들잔디의 비의도적 방출가능성을 조사하기위하여 시험포장외부의 자연환경에 대해서 환경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GM 들잔디의 유출 및 유전자이동 의한 제초제저항성 들잔디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생태 위해성 예측 모형의 개발과 모형의 검증

  • Lee, Yong-Ju;Choi, Kyung-Hoon;Lee, Ho-Ju;Kim, Kyun;Kim, Y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Toocic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71-171
    • /
    • 2003
  • 전국 주요 산단 지역에서 현재 유통되고 있는 화학물질의 스크리닝 수준에서의 생태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고 체계적인 위해도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생태 위해성 예측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모형의 분석과 모니터링을 통하여 모형을 검증하고 수정, 보완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국 118개 공단중에서 10개의 산단 (시화반월, 전주, 대전, 대구, 청주, 울산, 구미, 여천, 대구 성서, 신평장림공단)을 대상 지역으로 하였고 이들 공단에서 사용되고 있는 약 1900 여종의 화학물질들의 물리화학적 특성 자료와 생태 독성값의 문헌치, 추정치를 포함한 database를 구축하였다. 모형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배출량의 정확한 산출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럽의 우선순위 선정 프로그램인 EURAM의 방법에 근거하여 화학물질의 산업 및 용도별 분류로부터 각각의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사용량을 배출량으로 산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구축된 database를 활용하여 산단별, 화학물질별 생태 위해도를 비교한 결과 어류 급성의 위해도는 울산>여천>대전의 순이었고, 물벼룩 급성의 위해도는 울산>여천>시화반월>청주의 순이었다. 울산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의 위해도는 1이하로 나타나 스크리닝 수준에서의 오염은 우려할 정도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 위해성 프로그램의 validation을 위하여 대구 지역을 대상으로 문헌치 독성값을 위주로 하는 RQ가 0.1 이상인 물질들의 검출 가능성과 화학물질들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Butylacrylate, Xylene, N,N-Dimethylformamlde, 1,2-Benzenedicarboxylic acid dibutylester, 2-Amino-4-methylphenol, Toluene, 2,2-Oxybisethanol의 7가지 물질들을 분석대상물질로 선정하여 분석을 수행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 지역을 확대하여 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고 모형을 수정, 보완하여 생태 위해성 예측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