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포습지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HGM을 이용한 화포천 습지의 기능평가 (Assessment of Hwapo riverine wetland function using Hydrogeomorphic Approach)

  • 윤선화;김덕길;김형수;곽재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B호
    • /
    • pp.53-60
    • /
    • 2010
  • 습지는 종 다양성이 높고 영양물질이 풍부하며 생산성이 높은 생태계로서 수문학적으로나 생태학적으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습지 기능을 평가하는데 이용되는 다양한 평가 방법중 하나인 HGM (Hydrogeomorphic)을 적용하여 화포습지에 대한 기능평가를 실시하였다. HGM방법은 하나의 기준습지를 선정한 후 대상습지와의 비교를 통해 습지의 기능을 지수화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우포늪을 기준습지로 선정하여 화포천 습지의 기능을 평가한 결과 대부분의 기능이 0.6점 이상으로 우포늪과 비교하여 비교적 긍정적인 기능지수의 값을 보여주었다. 이는 화포천 습지가 수문학적, 생지화학적, 식물서식처, 동물서식처 기능을 수행하고 있고 보전 및 관리를 한다면 보다 더 효과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보와 습지가 있는 화포천의 수질 영향인자 분석 (Water Quality of a Rural Stream, the Hwapocheon Stream, and Its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 안창혁;권재형;주진철;송호면;조경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21-429
    • /
    • 2012
  • 본 연구는 화포천 수질 현황을 제시하여 특성을 분석하고 향후 관련연구에 활용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상류에서는 step-pool 형태의 14개의 보로 인해 하천수가 저류되었고 주거단지 및 농경지를 지나면서 생활하수와 관개용수 등의 오염물 유입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정체구역의 하상에서 사상성 남조류인 Oscillatoria 군락이 번무하였으며 하천의 중 하류에서는 고모천(T3), 용덕천(T8)과 같이 N, P가 높은 고농도 지류가 유입되는 등 본류 수질을 악화시켰다. 화포천은 하류로 갈수록 DO가 감소하고 SS가 증가한 것이 특징적이었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긴 체류시간과 SS, COD, $NH_4{^+}$가 화포천에서 중요한 수질인자임을 나타내었다. 또한, 습지에서 하상 유기물 농도가 높고 부착조류가 풍부한 점도 본류 수질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었다. 화포천 수질은 공간적으로 보가 있는 구간에서 농도가 상승하였고 하류의 습지에서는 일정하거나 소폭 감소하였다. 계절적으로는 겨울에 영양염 농도가 높았으나 여름에는 유기물 농도가 높았다. 식물플랑크톤은 6월에 보와 습지 등 정체구간에서 높게 나타난 점을 제외하면 전 구간에서 $40{\mu}g\;chl-{\alpha}/L$ 이하로 나타났다.

김해 화포천 습지보호지역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Hwapocheon Wetland Protected area in Gimhae)

  • 황윤도;한상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2-113
    • /
    • 2024
  • 본 연구는 김해 화포천습지 보호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의 특성을 조사하여 습지생태계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관속식물상은 81과 221속 315종 9아중 12변종 2품종 등 339분류군으로 요약되었다. 희귀식물은 쥐방울덩굴, 자라풀 등 7분류군이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32분류군이고, 침입외래식물은 66분류군이며, 생태계교란종은 11분류군이었다. 수생식물은 29분류군이며, 정수식물은 16분류군, 침수식물은 3분류군, 부유식물은 4분류군, 부엽식물은 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화포습지의 식생 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Hwapo Wetland in Nakdong-gang)

  • 오경환;손성곤;이팔홍;김철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7-81
    • /
    • 2003
  • Vegetation structure was investigated in the Hwapo wetland around the Nakdong-gang, Gimhae-city, Gyeongsangnam-do, Korea from May to August, 2001. The vegetation type was classified into 18 communities based on the actual vegetation map: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Salix nipponica community,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community, Zizania latiofolia community, Cyperus amuricus community, 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Trapa japonica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Salix nipponiaz-Misaz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Cyperus amuricus-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community, Salvinia natans community, Hydrilla verticillata-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Persiazria maackiana community, Trapa japonica-Salvinia natans community, Hydrilla verticillata community, Potamogeton crispus community, and Populus deltoides community. Among them,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was the largest (34.9 ha, 29.53%). The dominant vegetation type was Persiazria hydropiper - Persicaria maackiana community based on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it was classified into four subcommunities: Phalaris arundinacea-Salix nipponica sub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sub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subcommunity, and Spirodela polyrhiza subcommunity, and Acorus calamus var. angustatus group belongs to Miscanthus sacchariflorus subcommunity.

  • PDF

습지지표종으로서 딱정벌레류를 이용한 부산, 경남 주요 습지의 특성 및 변화 관찰 (Application of the Carabid Beetles as Ecological Indicator Species for Wetland Characterization and Monitoring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 도윤호;문태영;주기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2-29
    • /
    • 2007
  • 습지의 서식지 특성 및 환경 지표종을 찾기 위해 부산과 경남에 위치한 습지 유형이 다른 하천습지, 산지습지, 하구습지에서 딱정벌레류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딱정벌레과, 먼지벌레과, 폭탄먼지벌레과에 속한 22속 28종이 채집되었고, 종 다양성은 하천습지(우포늪, 화포늪), 산지늪(재약산늪), 하구습지(낙동강하구) 순으로 나타났다. 딱정벌레류의 종조성은 각 습지에서 독립적으로 나타났는데(${\chi}^2=1716.8$, P<0.01), 하천습지와 산지늪이 가장 다른 종조성을 보였다. 지표종 분석을 통해 각 유형의 습지를 대표하는 $2{\sim}6$종의 딱정벌레류를 지표종으로 선출하였는데, 지표종들은 토성과 토양습도, 인위적 환경변화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여 습지환경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추후 생활사나 먹이특성 등딱정벌레류의 각종별로 자세한생태적 특성이 연구되면 지표종으로 딱정벌레류를 일반화하여 여러 서식지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화포천 유역의 천변저류지 조성을 통한 홍수 저감효과 분석 (The Reducing Effects Analysis of Floods through Washland Construction in Hwapocheon Basin)

  • 정영원;김영도;박재현;윤병만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489-1493
    • /
    • 2009
  • 우리나라는 매년 홍수에 의해 엄청난 재난과 인명손실, 경제적 손실 등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대책 수립과 피해 복구에 많은 부담을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에 위치한 김해 화포천 유역에 천변 저류지를 조성함으로써 홍수기의 홍수위 저감효과를 분석하고 비홍수기시에는 천변저류지를 습지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리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화포천의 경우 과거 홍수에 취약한 지역으로 화포천의 수위가 낙동강 본류의 수위보다 낮아 내수배제 방식으로 홍수를 대비해왔다. 그러나 최근 증가되고 있는 집중호우 등으로 배수 용량 증설과 제방고 변화의 구조적 방안들의 한계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홍수기시 홍수위 저감효과 분석을 위해 HEC-RAS의 부정류 해석을 이용하였다. 천변저류지의 조성은 그 위치와 규모에 따라 HEC-RAS 모형에 시나리오별로 적용하여 홍수위 저감효과를 모의 분석하였다.

  • PDF

LC-HRMS 기반의 표적, 추정 및 비표적 분석기법을 이용한 화포습지 내 미량오염물질 및 대사체 분석 (Analysis of Micropollutants and Their Metabolites in the Hwapo Wetland through Target, Suspect, and Non-target Screening Using LC-HRMS)

  • 황수민;전준호
    • 환경분석과 독성보건
    • /
    • 제21권4호
    • /
    • pp.304-315
    • /
    • 2018
  • Located in Gimhae, Hwapo is the biggest riverine wetland in the province of Gyeongsangsam-do, Korea, and is a major habitat for various species. However, it is suspected that various pollutants enter the wetlands from agricultural and industrial areas. This study identifies major organic pollutants in this wetland and their source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igh resolution mass spectrometry during one summer season. Forty-five substances were selected for quantitative analysis using target screening, and other non-selected compounds were screened using suspect and non-target screening methods. The results were that 21 and 17 targeted substances were detected in July and August, respectively. Major pollutants in July and August were oxadiazon (July: 17-220 ng/L, August: 66-460 ng/L), carbendazim (July: 10-110 ng/L, August: 64-520 ng/L), caffeine (July: 33-1,100 ng/L, August: 56-580 ng/L), and niflumic acid (July: 23-75 ng/L, August: 42-290 ng/L). Sampling sites S4 in July and S2 in August were the major inflow points. Ten substances (tricyclazole, hexaconazole, diuron, fexofenadine, irbesartan, simetryn, cimetidine, valsartan, tebuconazole, and benzotriazole) and four metabolites (valsartan acid, azoxystrobin acid, TEB_M324c, and 2-aminobenzimidazole) were tentatively identified through suspect and non-target screening, respectively.

생태축 연결을 고려한 하천습지의 적정 후보지 선정 방안 (A Selection Methodology of the Appropriate Candidate Sites of Riverine Wetlands for Ecological Connection)

  • 강유진;왕원준;이하늘;이준형;이승민;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1-120
    • /
    • 2023
  • 현재 국내에서는 전국내륙습지 일반조사 및 습지보전기본계획 등의 장기적인 계획을 통해 습지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책은 습지의 면적, 분포 및 생물다양성 등 현황 파악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습지 생태계를 하나의 유기체로 보존 및 관리하는 것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터, 생물다양성, 서식지 제공, 관광자원 등의 기능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생태축 연결이 가능한 하천습지 후보지 선정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에 있는 우포늪, 화포천습지, 주남저수지 3개의 습지와 생태축 연결이 가능한 후보지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의 15개 표준유역 내에 존재하는 63개의 습지와 7개의 후보지를 대상으로 적지 분석을 수행하였고, 산정된 점수를 이용하여 생태축 연결에 가장 적합한 하천습지 후보지를 선정하였다. 후보지 평가를 위해 9개의 평가요소를 선정하고, 해당 평가요소들에 분위수를 이용한 점수화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우포늪2(호포)가 36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생태축 연결 가능성이 가장 높은 후보지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우포늪2(호포)가 홍수터, 서식지, 생물다양성 증진 및 관광자원으로서 역할이 가능한 동시에 생태축 연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화포천 습지의 어류군집 특성 (Fish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Hwapocheon Wetland, Korea)

  • 고명훈;최광식;임정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65-176
    • /
    • 2022
  • 화포천 습지의 어류 군집 특성을 밝히기 위해 2020년 5월부터 9월까지 3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8개 지점에서 채집된 어류는 7과 21종 735개체였다. 우점종은 치리(Hemiculter eigenmanni, 23.8%), 아우점종은 배스(Micropterus salmoides, 10.3%), 그 다음으로 피라미(Zacco platypus, 9.5%), 붕어(Carassius auratus, 9.4%), 참붕어(Pseudorasbora parva, 9.0%), 참몰개(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6.7%), 큰납지리(Acheilognathus macropterus, 5.4%), 블루길(Lepomis macrochirus, 5.2%), 모래무지(Pseudogobio esocinus, 4.1%), 끄리(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3.7%), 떡붕어(Carassius cuvieri, 3.3%) 등의 순으로 우세하였다. 법정보호종은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의 백조어(Culter brevicauda) 1종이 확인되었고, 한국고유종은 참몰개 1종(4.8%)이 출현하였다. 외래종은 배스, 블루길, 떡붕어 3종이, 육봉형 어류는 밀어 1종이 채집되었다.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면, 유수역에 서식하는 어류의 비율은 감소하고 정수역에 서식하는 어류의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생태계교란 야생생물로 지정된 배스와 블루길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어류 군집분석 결과, 본류 지점들(St. 1, 3, 4, 5, 6, 8)은 우점도는 낮으나 다양도와 풍부도는 높았고, 지류(St. 2, 7) 등의 지점들은 우점도는 높으나 다양도와 풍부도는 낮았다. 어류를 이용한 하천 건강성은 나쁨(6개 지점), 보통(1개 지점), 매우 나쁨(1개 지점)으로 평가되었다. 수질 등급은 화학적산소요구량(COD)과 총유기물질(TOC), 부유물질(SS), 총대장균군수(TC) 등으로 인해 약간 나쁨으로 평가되었으며, 연도별 수질은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화학적산소요구량, 부유물질, 클로로필-a(Chl-a) 등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화포천 습지의 안정적인 어류 서식 및 하천 건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질개선 및 생태계교란종(배스, 블루길)의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