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재 억제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질산칼륨을 첨가한 인산암모늄 방염제의 연소특성

  • Gwon, Gyeong-Ok;Kim, Ye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158-159
    • /
    • 2013
  • 방염제인 인산암모늄에 질산칼륨을 첨가하여 질산칼륨이 인산암모늄의 방염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DSC와 실체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활성화에너지는 키싱거방법을 도입하여 분석하였다. 방염성능 실험으로서 셀룰로스를 연료로 사용하였다. 질산칼륨이 일정량 첨가된 방염제를 사용하는 경우 인산암모늄의 활성화에너지를 높이고 탄화면적을 감소시켜 연소확대를 억제하였다. 방염제인 질산칼륨이 첨가된 인산염을 방염제로 사용하는 경우 질산칼륨의 강한 산화력으로 화염발생 온도를 낮추고 탄화형성을 억제하여 화재진행 속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량 이하의 질산칼륨이 포함된 방염제의 처리는 연소속도를 높이고 탄화물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전기화재 원인과 발생-4

  • 김미승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46 no.2
    • /
    • pp.30-33
    • /
    • 2003
  • 증발성 액체소화제 할로겐화 탄화수소는 기화되기 쉬운 액체 또는 기체이고 억제작용, 희석효과, 기화열에 의한 냉각 등 3가지의 작용을 한다. 액상인 것은 목재화재에도 다소 쓰이고 있지만 가연성약제의 소화에 쓰일 뿐만 아니라 전기의 불량도체이므로 전기화재에 대한 적응성이 있다.

  • PDF

The Flame and Distributed Temperature Restraint Properties of Fire Venetian Blind Louver in Buildings (차양식 방화루버의 화염 및 온도 전파 억제 특성)

  • Chae, Young-Su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9 no.1
    • /
    • pp.120-12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fire prevention performance using the fire venetian blind louver subjected to burning by fire flame. The investigation is based on testing 2 full scale specimens, which is $3m{\times}3m$ module, $850mm{\times}1,500mm$ open, and $900mm{\times}900mm{\times}175mm$ venetian blind louver. Two louver thickness (1.5 and 2.0mm) were adopted. The specimens were exposed to fire flame temperature levels of ISO834 a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e venetian blind louver specimens with exposure duration of one hour i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KICT). It was found from the test results that the values of distributed temperature, decreased for all specimens for protecting to fire flame by venetian blind louver. The results of tests were a good fire prevention performance between in initial to 6 mins. At 60 minutes around ISO 834 fire loading, the percentages of distributed temperature in 500mm and 800mm height ranged between 11 and 10% respectively, regardless of louver thickness. This study, therefore, will improve the fire venetian blind louver for fire protection and prevention performance.

Performance-based Pragmatic Fire Protection Technology by the Control of Fire Triangle at Nuclear Power Plants (화재요인 제어를 통한 원전 성능기반 화재방호 실용화 기술)

  • Jee, Moon-Ha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248-252
    • /
    • 2011
  • 화재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화재 3요소 또는 4요소가 충족되어야 하지만 역으로 한 개 이상의 화재 요소를 제어하거나 통제할 경우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원자력발전소에서는 화재방호계획에 의해 방화지역마다 화재 요인인 점화원, 가연성물질, 산소 등 지연성가스를 분석하고 연속적인 연소반응을 억제할 수 있도록 화재위험 요인을 관리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량화된 화재위험 분석도구인 화재모델을 활용한 성능기반 화재방호 기술이 원자력발전소의 화재리스크 관리를 위해 도입되고 있다. 성능기반 화재위험 분석 방법은 일반 산업계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나 원자력발전소의 경우 화재로 유발될 수 있는 원자로 손상 가능성을 수치화하고 통제하기 위하여 위험도정보 활용기술과 성능기반 기술을 통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발전소의 화재요인 관리 방법을 위험도정보 활용기술과 성능기반 화재방호 기술에 의거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분석의 목적은 원자력발전소의 화재위험 관리 방법을 산업계의 화재방호 전문가들이 공유하고 산업계의 특화된 방법과 원자력발전소의 전문화된 분석기술을 실용화하여 화재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 PDF

Research of the Fire to Minimization Damage Plan on High-rise Buildings (초고층 빌딩의 화재 피해 최소화 방안에 관한 연구)

  • Lee, Jung-Il;Lee, Geun-Tae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3 no.4
    • /
    • pp.91-97
    • /
    • 2009
  • When the fire occur in a special place as High-rise building, find the solution from minimize the potential risk factors that caused to develop the human and materials damage by analysis. Through preventive activities are suppression of the fire occurrence or prevent the fire and extinguish the fire early. However, introduction of scientific suppression program could predict in advance the progress of the fire, or to block the path by using Intel Regent or Fire grid.

A Basic Study on Required Performance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Fire Resistance Wall on High-rise Building (초고층 건축물용 내화벽체 요구성능 및 개발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 Kim, Dae-Hoi;Park, Soo-You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5 no.4
    • /
    • pp.1-7
    • /
    • 2011
  • Recently the interest in disaster prevention on super tall buildings is increasing. Especially in fire, against increasing of evacuation time due to high-rise, It is being tried to minimize the fire spread in building. Fire compartments using the fire-resistant wall and door, typical method to control the fire spread in buildings, delay the fire spread to other compartments and consequently evacuation time increases. But the existing provisions adjure only 2-hour fire resistance with maximum limit regardless of the super tall buildings, so this is a obstacl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fire resistance wall in super tall buildings.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fire resistance ratings of the wall, and presented the development directions for the fire resistance wall in super tall buildings considering fire resistanc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the w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