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재현장

검색결과 610건 처리시간 0.026초

화재수신기 기반의 화재감시로봇을 위한 프로토콜 설계 (Protocol Design for Fire Receiver­based Fire Detection Robots)

  • 임종천;이재민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52-459
    • /
    • 2018
  • 기존의 화재 관련 소방로봇들은 원격조종기로 제어되어 화재현장에서 화재 상황을 감시하거나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화재 발생 후 골든타임 안에 로봇을 준비하고 투입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소방로봇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다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자율 주행 화재감시로봇을 활용하면 화재수신기와 연동하여 화재 신호 발생 시 출동한 로봇이 화재 현장의 동영상을 촬영하여 방재 담당자에게 영상을 전달함으로써 실제로 화재가 발생했는지 또는 오보인지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정확하고 빠른 판단 기회를 제공하고 동시에 화재를 초기 진압함으로써 대형 사고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이동 화재감시로봇의 구성과 이 로봇이 화재수신기와 연동하는데 필요한 통신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실시간으로 다수의 화재감시로봇을 제어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을 설계하며 화재수신기와의 통신을 무선 Wi-Fi를 이용하여 이더넷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도록 계층적 네트워크로 구성한다. 설계하는 화재감시로봇과 화재수신기간의 무선통신을 구현하고 필드시험을 통하여 동작의 유효성을 확인한다.

소방차 펌프의 방수성능 기준 재정립을 위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Standard Re-establishment of Water Discharge Performance for the Fire Engine Pump)

  • 민세홍;권용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85-91
    • /
    • 2012
  • 소방차에 설치되는 소방펌프에 대한 방수성능 기준이 현장에서 운용하고 있는 실태와 상이한 부분이 있고, 기준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아 소방공무원이 화재현장에서 소방펌프의 사용시간, 최대사용압력, 사용 호스 직경 등 사용 실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소방펌프에 대한 압력별, 호스 직경별 수량별로 다양하게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소방자동차용 소방펌프의 성능에 관한 인정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규격방수압력(0.85MPa)과 고압방수압력(1.4 MPa)보다 현장에서는 더 높은 압력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펌프의 성능시험 결과는 방수량 및 방수압력 등이 호스의 직경, 관창에 따라 현재 규정하고 있는 인정기준과 매우 상이하게 측정되었으며, 본 연구 결과로 새로운 규격을 제안한다.

화재현장에 적합한 소방방재로봇의 개발 방향 탐색 (A Research of the Development Plan for a Highly Adaptable FSR (Fire Safety Robot) in the Scene of the Fire)

  • 김국래;김진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113-118
    • /
    • 2010
  • 소방방재로봇이 2009년 9월부터 대구시 산하 소방서에 배치되어 시범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소방관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설문 등을 통해 각종 문제점들과 기능 개선사항을 분석하여 현장 적응성, 실효성 있는 로봇의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보조로봇은 조종 편의성을 높이고, 장애물 통과 및 이동성이 용이하도록 바퀴 성능을 우선적으로 개선하여야 하며, 필드로봇은 무게의 경량화와 조종 편의성 및 무선통신을 안정화 시켜야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범중인 로봇에 대한 기능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으며, 보조로봇에 대해서는 현장 투입의사가 8.4% 수준으로 미미하였다. 이에 소방방재로봇의 조기 상용화 및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기능개선 및 현장에서의 사용 활성화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국내 현장방염 시공의 실태분석 연구 (A Study on the On-site Flame Resistant Treatment in Domestic)

  • 김황진;이성은;오규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33-38
    • /
    • 2011
  • 본 연구는 초기 착화지연으로 화재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방염처리제도에 대한 실태 분석연구로서 현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들을 각 시도 소방공무원과 방염업자들과의 회의 및 시공현장 방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 째, 수요가 작은 시장에서 너무 많은 업체들이 경쟁을 하고 있고 이로 인해 방염에 대한 전문성이 없는 일부 업자들은 원가절감을 위해 부실시공을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둘 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현장방염처리 검사제도는 검사자가 현장에서 직접 성능검사를 실시하지 못하고 시공자가 제출한 샘플로 방염성능검사를 실시하기 때문에 시료채취의 문제점과 제출된 시료의 신뢰성 및 현장의 방염성능 확보에 의문을 갖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콘크리트 라이닝의 화재손상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Damage Evaluation of the Concrete Lining)

  • 박경훈;김흥열;유용호;김형준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01-206
    • /
    • 2011
  • 최근 국내에서는 대심도 터널 시공계획이 발표되면서 터널 구조물에 대한 방재 및 내화설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화재 발생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콘크리트 라이닝의 내화설계를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내화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내화실험이 실시되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건축물의 내화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평가 방법이 제시되어 있는 상태이나 터널 구조물에 대한 시험법이나 성능평가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화재손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터널 라이닝을 대상으로 화재 시 콘크리트 라이닝의 손상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은 대표적인 터널 화재시나리오 곡선인 RABT 화재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으며 폭렬방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있는 fiber cocktail(강섬유+폴리프로필렌섬유)의 혼입여부에 따른 성능평가도 함께 실시하였다.

  • PDF

불씨의 비산 모델 구축을 통한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 (A Study on the Urban Fire Risk Asessment by Scattering Model Building of Fire brand)

  • 신이철;구인혁;임 길언;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8
    • /
    • 2010
  • 우리나라의 도심 곳곳에 자리잡고 있는 노후화된 건축물 밀집지역 및 화재경계지구는 재해로부터 매우 취약하며, 특히 방내화성능이 떨어져 화재가 인근 건물로 확대되어 대규모 도시화재로 전환될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단일건물 화재에서 도시화재로의 확산 메카니즘중 불씨의 비산에 따른 화재확대를 시뮬레이션화하기 위하여 불씨발생량 실험을 한 결과 기존의 연구 성과와 더불어 불씨를 고려한 새로운 연소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연소 시뮬레이션 모델을 실시가지에 적용해 방재마을 만들기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 PDF

흑돼지정육점 화재 원인의 규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Investigation of Blackpig Meat Shop)

  • 김용운;조희수;이정일
    • 한국화재조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9-89
    • /
    • 2006
  • 본 연구는 2004년 10월 3일 03시 29분경 전북 00시 00동 지리산 흑돼지 정육점에서 발생한 화재현장을 대상으로 화재조사 및 감식을 하여 그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안쪽방과 매장 사이에 있던 냉장고가 심하게 소훼 되었고, 점포와 안방 출입문 부위를 중심으로 가장 심한 탄화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발화지점으로 보이며, 점포 내 휴게공간에서 발화하여 점포내부와 화장실을 통해 연소 확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발화원인으로는 전기적원인, 가스 난방기구 및 담뱃불 등 미소화원 등에 의한 발화 가능성의 특이점이 보이지 않으며, 휴게공간에서의 급격한 연소현상, 폭발 후 화재로 진전된 흔적, 바닥의 가연성액체에 의한 연소흔적 등으로 보아 방화의 가능성이 높다. 화재는 휴식공간입구 우측 큰 교자상과 밑의 작은 교자상 밑, 그 주위에 연소매개체로서 등유를 뿌린 상태에서 휴대용가스렌지를 이용 방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초기 정보 기반 화재현장 위험도 예측 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Fire Site Risk Prediction Model based on Initial Information using Big Data Analysis)

  • 김도형;조병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245-253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화재발생 건축물 정보, 신고자 취득 정보 등 초기 정보를 활용하여 화재현장의 위험도를 예측하여, 재난 발생 초기에 효과적인 소방자원 동원 및 적절한 대응을 위한 피해최소화 전략 수립을 지원하는 위험도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화재 통계 데이터 상에서 화재의 피해규모와 관련된 변수 규명을 위해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변수간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여 예측 가능성을 검토하고, 데이터 표준화 및 이산화 등의 전처리를 통해 학습 데이터 셋을 구축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예측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받고 있는 복수의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테스트하여 가장 정확도가 높은 알고리즘을 적용한 위험도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머신러닝 알고리즘 성능 테스트 결과 랜덤포레스트 알고리즘의 정확도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위험도 등급에 대해서는 중간치에 대한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화재 통계 상 피해규모 데이터의 편향성에 의해 예측모델 정확도가 제한적으로 나타났으며, 예측 모델 성능 개선을 위해 데이터 정합성 및 결손치 보완 등을 통한 데이터 정제가 필요하다.

현장방염처리제도의 실효성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ys of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Field Flame Retardant Coating Process)

  • 박성현;백은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95-100
    • /
    • 2011
  • 본 연구는 현장방염처리 물품에 대한 성능검사와 관련하여 불합리한 제도를 개선하고, 합리적인 방염성능검사 방법을 통하여 현장방염처리 물품에 대한 방염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2년 동안 일선 소방관서에서 실시한 현장방염처리 물품에 대한 방염성능검사 실적을 토대로 최근에 사용되는 인테리어 마감자재 및 현장방염처리 경향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또한 현장방염처리물품에 대한 성능검사 방법 및 절차, 방염처리업 등록제도의 문제점 등을 분석하여 현 실정에 적합한 방염성능검사 방법 및 성능검사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수재난지역 정찰로봇 시제품의 성능평가연구 (Performance Evaluation of Search Robot Prototypes for Special Disaster Areas)

  • 곽지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109-118
    • /
    • 2015
  • 고열과 다량의 연기, 유독가스, 방사능 등을 수반하는 사고 현장에서 소방관을 대신하여 시야확보가 가능하고 화염으로 인한 고열을 극복하며 탐색 및 구조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3종의 특수한 정찰로봇이 최근 개발되었다. 이러한 로봇은 내열성능과 다양한 장애물 극복성능이 있어야 하고 화재진압성능과 탐색성능도 갖추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수재난지역 정찰로봇의 다양한 성능시험을 통해 실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시험결과 소형 및 중형 로봇은 $100{\sim}200^{\circ}C$의 주위환경에서, 소방관탑승형 로봇은 $500^{\circ}C$의 환경에서도 30분 이상 활동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소방관 탑승형 로봇은 A 10 단위 화재모형을 3분 이내에 소화하여 화재진압성능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종 로봇 모두 다양한 장애물 극복성능과 현장운용성능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어 특수재난현장에서의 활약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