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재현장

Search Result 61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Research on Construction of Field Survey Data Based on Fire Safety of Logistics Facilities (물류시설 화재안전 기반 현장 조사 데이터 구축에 관한 연구)

  • Nam, Gi-Tae;Choi, Doo-Chan;Kim, Jeon-Soo;Kim, Hak-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85-86
    • /
    • 2022
  • 화재 발생 시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는 물류시설의 경우 이러한 화재안전성 강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현장조사를 기반으로 하는 기초데이터 수집과 2D CAD및 적재 3D 모델링 데이터 구축 등 종합적인 화재안전 데이터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물류시설 화재안전성 강화를 위해 필요한 기반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현장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재안전 DB를 구축하였다. 20개소 이상의 물류시설 현장 데이터를 조사한 결과 유지관리상태가 양호하거나 다소 미흡한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현장 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재안전정보를 도면화하고 이를 3D 모델링을 통한 데이터셋을 구축하여 화재안전관리 기술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하여 제공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물류시설의 화재 안전성 및 위험도 관리 기술 개발을 위해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 PDF

Study of Burned Body at a standpoint of Combustion (연소적 측면에서의 소사체에 대한 고찰)

  • Lee, S.H.;Park, J.T.;Park, Y.K.
    • Congress of the korean instutite of fire investigation
    • /
    • 2010.06a
    • /
    • pp.82-89
    • /
    • 2010
  • 화재조사에 있어서 화재현장에서 발견되는 피해자들의 소사체는 사망원인을 밝히는 법의학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현장에서 연료로 작용하여 발화부를 추적하는 화재패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연소적인 측면에서 소사체를 가연물로서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화재는 가연물의 열량과 분포에 따라서 그 화재패턴 또한 다르게 생성된다. 인체의 구성요소는 대부분 가연물이며 특히 동물성지방은 과거 등불의 연료로 사용되었을 만큼 가연성과 열량이 높다. 본 논문에서는 인체의 지방을 대신하여 돼지의 동물성지방의 연소적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그 특성은 고체연료인 파라핀과 대동소이하여 화재현장의 분위기에 따라서 때로는 바닥에 액체가연물에 의한 패턴을 생성시킬 수 있고 가연물지배에 의한 연소로 사체 중심의 화재패턴을 생성할 수 있어 화재패턴을 통한 발화부의 판단에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러한 가능성은 실제 사례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화재사체의 연소적인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사체가 연관된 화재현장에서 화재패턴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필수적인 요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Accident Cases-based Fire Risk Assessment Checklist for Active Response on Construction Sites (사례분석을 통한 건설현장 화재위험도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 Shin, Jae-Kwon;Shin, Yoon-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1 no.1
    • /
    • pp.79-86
    • /
    • 2021
  • On the construction site, there exists frequently a high likelihood that a fire accident can lead to a large-scale disaster. In the previous studies, the diverse outcomes have been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relative statutes and tried to realize the suppression and confrontation of the fire accidents. In this study, the limitations on the site were identified through prior research reviews, and the fire risk assessment checklist was propos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assive accident cases. The checklist was divided into the prevention and minimization steps and developed into 16 categories of total risk factors.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cases applied in this study, if the installation status is checked, such as removing combustibles, and broadcasting facilities for evacuation are installed, it is expected that the casualties will be minimized or zeroed. By developing a fire risk assessment checklist, this study provides the implications of the theoretical and realistic fire accident prevention, and supports the ways to minimize the damage resulted from the fire accidents on construction sites. In the further, deriving universe and common items about repeated occurrences of a work type will be needed as a subsequent research.

Fire Debris Analysis by GC/MS (GC/MS를 이용한 화재현장증거물의 분석)

  • Han, D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37-40
    • /
    • 2011
  • 화재현장에서는 화재의 원인으로 간주되는 여러 가지 증거물이 발생한다. 이러한 증거물을 분석하기 위한 수단으로 GC/MS의 역할은 아주 크며, 이를 이용한 증거물의 분석에 관한 표준으로 ASTM 1618-10과 전처리법을 소개한다. 또한 전처리법에 따른 여러 가지 종류의 유류의 특성을 알아보고 유류 성분을 포함한 화재증거물의 실제 사례를 들어 보겠다. 아울러 화재현장에서의 가연물로 추정되는 물질에 대하여 열분해를 통한 GC/MS 분석 사례도 제시하여 본다.

  • PDF

Case study on the possibility of Tracking at the Circuit Breaker after starting fire (화재발생 이후 분전반 차단기에서의 트래킹현상 진행 가능성에 대한 사례연구)

  • Park, Y.G.;Lee, S.H.;Lee, S.J.;Park, J.T.;Song, H.L.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 /
    • v.9 no.1
    • /
    • pp.47-53
    • /
    • 2006
  • 본 논문은 화재발생 이후에 화재현장의 조건에 따라 분전반의 주차단기 전원측 단자에서의 트래킹 현상 진행 가능성에 대하여, 화재현장 조사사례를 들어 고찰하였다. 화재현장 조사과정에서 분전반의 주차단기 전원측 단자에서 트래킹 형태가 식별됨에도 불구하고 그 부하측에서 전기적인 특이점이 식별되는 경우에는, 단순히 트래킹 형태가 식별되는 점만으로 발화원인을 판정하는 자세를 지양하고, 구체적인 연소형태를 검토하여 발화개소, 연소확대 경로 등의 해석 및 전체적인 전기계통의 고찰을 통하여, 분전반 주차단기에서의 발화원인 등을 판정해야되며, 또한, 화재현장의 정밀조사 없이 분전반 및 차단기의 조사와 해석만으로는 발화여부 또는 발화원인에 대하여 논단하는 것이 어렵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PDF

화재현장 연소가스 감지소자 감도성능검증 연구

  • Yu, Song-Hyeon;Choe, Mun-Su;Park, Sang-Tae;Hong, Seong-Ho;Yu, Sa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128-129
    • /
    • 2013
  • 화재 현장에는 소방대원의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연소가스가 발생하며, 소방대원의 안전에 다양한 연소가스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과 센서 기술의 발전으로 저전력, 소형의 센서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화재현장의 온습도조건, 발생가스의 농도, 소방대원의 생체신호를 화재현장의 지휘센터로 보내주는 기술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측정된 가스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지휘센터로 송수신하는 기술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화재환경에서 주로 발생되는 CO, NO2, NH3를 위주로한 고온의 환경에서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 PDF

Possibility of Are Tracking at the Circuit Breaker After Starting Fire (화재발생 이후 분전반 차단기에서의 트래킹현상 진행 가능성)

  • Park, Y.G.;Oh, D.H.;Lee, S.H.;Park, J.T.;Kim, J.P.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 /
    • v.10 no.1
    • /
    • pp.37-45
    • /
    • 2007
  • In this paper, the possibility of arc tracking, caused by combustion at the circuit breaker, was discussed. The arc tracking, occurred at the source terminals of all the circuit breakers, when we burned electric leakage circuit breakers with 220V applied. We had a same results of the experiment to simulate fire scene, in the circumstance of fire, all of the circuit breakers had arc tracking caused by combustion. Therefore we confirmed that the arc tracking at the source terminal of circuit breaker could be occurred by just combustion in the fire scene, and it was impossible to decide the cause of fire for reason of discriminating arc tracking at the terminals of circuit breaker.

  • PDF

Investigation of an Apartment Fire - Site Surveys and Burn Tests for Estimation of the Progress on Initial Fire Spread - (공동주택의 화재조사 - 현장조사 및 연소실험에 의한 초기 화재확대과정 추정 -)

  • Nam, Dong-Gun;Hasemi, Yuji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3 no.4
    • /
    • pp.120-129
    • /
    • 2009
  • Identification of the exact cause of a building fire is generally difficult, because the source and initially ignited objects are often severely damaged or even lost during the early stages of the fire. We made an experimental attempt to reasonably estimate the burning during the very early stages of a fire, and identify its source and causes. The case we studied was an apartment fire, which occurred in Tokyo, in July 2002. The fire was extinguished just after flashover, and the on-site investigations suggested the fire started from the TV and TV stand, which had been damaged so severely that it wa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TV was the ultimate cause of the fire, simply from the on-site investigation. We conducted a series of burn tests using a TV and other products identical to those actually used in the apartment. Tests were set-up and procedures were carefully studied to recreate the conditions of the articles that remained, and of the room itself. The tests demonstrated that the conditions in the apartment could be recreated only when the fire started inside the TV and came into close contact with dresser.

Fire Protection, Facility Improvement and Protections for FR ESS (FR ESS 의 화재 예방, 설비 개선 및 보호 기술 현장 적용)

  • Lee, Ilyong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v.7 no.1
    • /
    • pp.35-43
    • /
    • 2021
  •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에서는 2018 년 고창 전력시험센터에서 최초 화재 발생 이후, ESS 시스템의 화재 발생 원인에 대한 분석 및 실증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장에서 화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설비개선안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설비개선안을 통하여 기술지원 요청 부서에서는 전국의 모든 현장 적용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한전이 보유한 모든 ESS 설비는 2021 년 내재 가동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