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재위험도

Search Result 1,68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화재사례 - 실험실 화재

  • Kim, In-Tae
    • 방재와보험
    • /
    • s.118
    • /
    • pp.54-59
    • /
    • 2007
  • 실험실이나 연구실에서의 화재는 잠재적 위험이 높아 종종 피해가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실험실 화재사례를 통해 원인과 예방대책에 대해 알아본다.

  • PDF

The Study on Real Scale Fire Test of Building Exterior Wall Assemblies (건축물 외장재 수직확산 실대형 화재실험에 관한 연구)

  • Kweon, Oh-Sang;Yoo, Yong-Ho;Kim, Heung-Yo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295-300
    • /
    • 2011
  • 국내 건축물 외장재의 화재위험성 판단을 위한 기준 설정 및 건축물 외장재 수직확산 방지를 위하여 국내 외 실규모 화재실험을 비교 분석하였다. 현재 미국, 영국 등의 화재안전선진국들에서는 NFPA 285, BS 8414-1 등의 실대형 화재 실험을 통하여 외장재의 화재위험성을 판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 건축물 외장재의 수직화재확산 성능 평가 방법들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실대형의 화재실험 방법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본 결과를 통해 건축물의 단위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의 성장이 플래시오버에 도달한 후 창문 등의 개구부를 통하여 화염이 출화되었을 때 이러한 화염에 의한 건축물 외장재의 수직화재 확산 성능 평가하는 건축물 외장재 수직확산 실대형 화재실험 장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Measures to Reduce Forest Fire by Analyzing the Occurrence Frequency and the Ignition Point of Forest Fire (산림화재의 발생빈도와 발화장소 분석을 통한 산림화재 저감을 위한 방안 도출)

  • Lee, Jae-Young;Kim, 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439-440
    • /
    • 2022
  • 우리나라 건기에 해당하는 봄철에는 산불화재에 예방에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 시기에는 다양한 언론매체를 통하여 산불화재 피해에 대한 소식을 전해 들어야만 하는 것이 사실이다. 2022년 울진군에서 발생한 산불화재는 국내에서 2000년 동해안 산불에 이어 역대 2번째로 피해 규모가 큰 산불화재이다. 산불화재은 건축화재와 달리 피해면적에 광범위하기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만 하며, 언론매체를 통한 피해 규모를 살펴보면 산불의 위험성을 증대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화재통계를 이용하여 국내에서 발생하는 산불화재의 발생빈도와 발화장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대규모 산불화재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화재안전대책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Assessment of Fire Risk Rating for Wood Species in Fire Event (화재 발생 시 목재 수종의 화재위험성 등급 평가)

  • Jin, Eui;Chung, Yeong-Ji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32 no.4
    • /
    • pp.423-430
    • /
    • 2021
  • In order to evaluate the fire risk and fire risk rating of wood for construction materials, this study focused on fire performance index-III (FPI-III), fire growth index-III (FGI-III), and fire risk index-IV (FRI-IV) according to Chung's equations-III and -IV. Western red cedar, needle fir, ash, and maple were used as the specimens. The fir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using a cone calorimeter (ISO 5660-1) equipment on the specimen. The FPI-III measured after the combustion reaction was 0.86 to 12.77 based on polymethylmethacrylate (PMMA). The FGI-III was found to be 0.63 to 5.26 based on PMMA. The fire rating according to the FRI-IV, which is the fire rating index, was 0.05 to 6.12, and the western red cedar was 122.4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maple. The fire risk rating according to the FRI-IV increased in the order of maple, ash, needle fir, PMMA and western red cedar. The CO peak concentration of all specimens was measured as 103 to 162 ppm, and it was 2.1 to 3.2 times higher than 50 ppm, the permissible exposure limits of the U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Materials such as western red cedar, which have a low bulk density and contain a large amount of volatile organic substances, have a low FPI-III and a high FGI-III, so they have a high fire risk rating.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hazard of Sheath Heater (시즈히터의 화재위험성에 관한 실험 연구)

  • Kim, Hakjoo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0 no.4
    • /
    • pp.511-517
    • /
    • 2014
  • Recently, the fire by sheath heater has been occurred frequently on winter season. The sheath heater has simple internal structure and boils water simply. Therefore, the use of sheath heater has been increased. In this study, found the fire hazard property of sheath heater from understanding the fire mechanism through the experiment to get the measure for decreasing the occurrence of fire. For the analysis of the fire hazard property of the sheath heater, performed the test of temperature change and ignition temperature by using current product. On the result of test, the sheath heaters are the most dangerous appliance to arise fire. Water temperature controller attached to sheath heater is not sufficient to prevent overheating it. The sheath heater should have level switch of water and temperature controller for heater itself to shut off the power supply. Because the cause of fire by sheath heater is overheating itself in the situation of lack water.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esponse Resource Model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Based on the Risks of Marine Accidents in Korea (위험도에 기반한 HNS 방제자원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Eun-Bang;Yun, Jong-Hwui;Chung, Sang-Tae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6 no.10
    • /
    • pp.857-864
    • /
    • 2012
  • Reviewing the statistics of harbor shipment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 and the past spill accidents of HNS enabled us to assess the potential risks of transportation of HNS through the major harbors in Korea. Ulsan, Yeosu, Daesan port are relatively evaluated high risk in fire, health and environment disaster. Through the analysis of domestic preparedness to HNS accidents, the supplement of expertise resource to respond the vulnerability of the explosion, the fire and the physiological hazard, is required. Based on this risk assessment and review of the advanced case of Japan in building up HNS response system, a resource model at a national level was proposed which differentiates the sea areas for the proper allocation of resources to respond effectively to HNS accidents in the future.

A study on the Impact of risk Induction factors to stress (위험유발요인이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Hyun, Seong-Ho;Cha, Jeong-Min;Choi, Hee-Cheon;Kim, Ye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494-497
    • /
    • 2011
  • 소방공무원은 가장 위험한 직업중 하나로 과로사부터 훈련이나 화재진압 현장에서의 사망에 이르기까지 생명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위험성은 소방공무원을 기타 다른 분야의 공무원들과 근본적으로 차이를 가지게 하는 특성으로 작용한다. 소방공무원을 둘러싼 위험을 유발하는 요소들은 치명적 사고로 이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있다. 위험 유발 요소들은 제도적 요인, 문화적 요인, 그리고 개인적 경험으로 분류될 수 있고 다시 하위 항목으로 나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과 관련한 위험유발요인들이 스트레스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소방공무원들의 조직몰입에 주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