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재안전설계

Search Result 425,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f the HRR and fire propagation phenomena for the fire safety design of deep road tunnel (대심도터널 화재 안전 설계를 위한 승용차의 열방출률 및 화재전파 특성에 관한 연구)

  • Yoo, Yong-Ho;Kweon, Oh-Sang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2 no.4
    • /
    • pp.321-328
    • /
    • 2010
  • The study performed an actual fire experiment in order to propose the heat release rate of automobile that is the most basic architectural element for the fire safety design in a tunnel, whose importance has been recognized as the underground traffic tunnels are planned in Korean metropolitan cities. The heat release rate of a van is measured by the large scale calorimeter, in which the law of oxygen consumption is applied, and the fire expansion characteristics in a tunnel by placing two passenger cars nearby one another in the tunnel. As the results, the heat release rate of the van was revealed to be 5.9 MW, and carbon monoxide was emitted 482 ppm at a maximum. In case of two passenger car experiment for the fire expansion characteristics, the adjacent car was ignited about 3 minutes 30 seconds after the fire occurrence, and the complete fire was developed after 15 minutes. The maximum heat release was 9 MW. The results from the actual fire experiment can be an important input data for future quantitative analysis as well as an element applicable to a tunnel disaster preventive equipment design.

성능위주 방화설계의 세계적 흐름과 적용

  • 이수경
    • Bulletin of the Korean Institute for Industrial Safety
    • /
    • v.1 no.1
    • /
    • pp.21-27
    • /
    • 2001
  • 산업 발전과 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건축물은 고층화 및 인텔리젼트화 되어가면서, 화재로 인한 인적·물적 손실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보다 구체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게 되었다. 현재의 소방시설의 설계는 사양중심(Prescriptive Based)의 체계로 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사양중심 체계로 되어있으나 외국에서의 공학적 도구와 연구를 바탕으로 하는 성능위주의 방화설계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어 기존에 개발된 화재거동과 연기이동 및 피난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소방대상물의 열 분포, 연기이동, 피난특성, 발생열량 및 내화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적합한 방화설계가 진행중이다.(중략)

  • PDF

An Abroad Case Study on the Initial Evacuation Period of Weak Person for PBD (재해약자의 성능적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피난개시시간에 관한 국외사례조사)

  • Hong, Hae-Ri;Seo, Dong-Goo;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348-351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의 급격한 고령화추세 및 등록장애인수 증가에 따른 재해약자시설의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국내 재해약자시설의 화재사례 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과 화재발생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 시키기 위해 가장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피난개시시간 및 초기대응행동에 관한 국외연구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의 경우 피난행동특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며 또한 실제적인 성능설계나 피난계획이 미흡한 실정이므로 향 후 재해약자의 피난행동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연구를 통한 DATA확보가 시급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penetration of the builing fire compartment (방화구획 관통부에 관한 연구)

  • Park, Jong-Jin;Yoon, Myo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37-41
    • /
    • 2010
  • 스프링클러설비와 방화구획 구성요소는 화재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기존에 15층이하 아파트는 스프링클러설비가 없어 화재시 방화구획에 의존해야 되는데 방화구획 관련 설계, 시공, 감리가 미비하여 화재에 쉽게 노출되어 있다. 설비슬리브, 전선관, 덕트등이 방화구획으로 되어 있는 부분을 관통하는 경우 그틈을 시멘트모르타르나 기타 불연재료로 메우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화재발생시 관통부를 메운 재료의 내화성능 부실, 균열, 탈락 등으로 화재안전성이 떨어진다. 현장에서의 설계, 시공, 감리등 대응하는 자세가 너무 허술하다. 설계에 방화댐퍼, 관통부 틈새의 내용이 반영 되지 않고 건축, 기계, 전기, 통신, 소방등 각 분야의 허가 도면에 도장이 날인되어 나타난다. 시공자는 잘못된 설계도면을 가지고 허가 도면이라며 도면되로 시공한다. 또한 실리콘, 우레탄폼등을 방화구획 관통부 틈새에 주입하며, 작업자도 비숙련자로서 개념도 없이 방화용실란트와 우레탄폼을 혼용해가며 작업을 한다.

  • PDF

Sensitivity Analysis on Fire Propabilistic Safety Assessment for the SMART (스마트 화재 확률론적안전성평가 민감도분석)

  • Kang, Dae-Il;Jin,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253-25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설계중인 스마트원전에 대한 화재 PSA 방법과 결과 그리고 민감도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기존 국내 원전 화재 PSA에서는 EPRI의 fire PRA implementation guide에 따라 수행해왔었다. RG 1.189에 따르면 NFPA 805를 채택하는 원전이나 신규원전은 NUREG/CR-6850 방법에 따라 화재 PSA를 수행해야만 한다. 스마트는 설계단계의 원전이기에 화재 PSA 수행위한 충분한 설계정보가 없고 스마트의 선행호기도 없다. 따라서 NUREG/CR-6850 방법을 스마트에 모두 적용할 수 없어 EPRI fire PRA implementation guid와 NUREG/CR-6850 방법을 사용하여 스마트 원전에 대한 화재 PSA를 수행하였다. 화재 PSA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민감도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Fire Ignition Frequency Calculation program Using NUREG/CR-6850 Method (NUREG/CR-6850 방법론을 적용한 화재점화빈도 계산 프로그램 개발)

  • Ho, Myoung-Soo;Lee, Jang-Youn;Kang, Dae-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109-112
    • /
    • 2012
  • 원자력발전소는 타 산업시설에 비해 화재발생 가능성이 낮으나 방사성물질 누출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심층방어와 다중방호 설계를 통한 안전성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는 화재위험도분석(FHA)과 안전정지능력분석(SSA) 및 화재 확률론적안전성분석(Fire PSA)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 중 화재 PSA는 주요 화재구역 선별, 구역별 화재발생빈도 및 기기손상확률 계산, 화재사고 경위분석 및 화재취약성 파악 등을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USNRC)와 전력연구소(EPRI)가 공동 연구개발한 화재 PSA 방법론인 NUREG/CR-6850 기법을 적용하여, 화재 PSA에 필요한 화재점화빈도(Fire Ignition Frequency)를 정량적으로 계산하였다. 정확한 결과값을 도출하기 위해 매크로를 이용한 프로그램인 FIFA(Fire Ignition Frequency Analyzer)를 개발하였으며, 향후 국내 원전 화재 PSA 분석업무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evacuation safety for disaster of weak person during building fire (건축물 화재 시 재해약자의 피난안전성에 관한 연구)

  • Seo, Dong-Goo;Kim, Dong-Eun;Eun, Eun-Kyung;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74-81
    • /
    • 2009
  • 최근 국내의 대규모 건축물은 기존의 사양적인 피난안전계획은 미흡한 실정이다. 실질적인 방재대책 및 구체적인 피난안전계획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성능설계 등이 현재 법제화가 이루어 졌으나 구체적인 방법론이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재해약자의 피난특성을 고려한 피난안전계획은 이루어지지 않고 일반적인 피난성능만을 고려한 설계가 계획되고 있다. 따라서 재해약자 중 고령자를 중심으로 국외의 피난대책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한국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성능위주의 배연설비를 위한 지하철 승강장 화재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 김용주;이동호;김종원;조정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25-231
    • /
    • 2001
  • 최근 인구 증대 및 도시 집중화에 따른 지상공간 부족의 대안 및 택지 이용도 효율 방안으로 지하공간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날로 증대되고 있는 지하공간에서의 문제점으로 설계 및 용도에 적합한 환기 시스템의 도입 및 운영의 미흡으로 공기질 악화 현상과 국민 보건상의 문제로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환기시스템은 일상적 공간환기는 물론 화재시의 배연기능을 포함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작동(일반 환기)과는 별도로 비정상 환경(화재시의 배연)에서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시스템 설계 오류는 화재발생시 중대한 인명피해로 연결됨으로서 그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침이 없다 이미 미국, 일본, 노르웨이 등의 선진 외국에서는 지하공간의 최적환경 개선은 국민 삶의 질 향상이라는 관점 하에 꾸준히 진행되어오고 있다. $^{(1~3)}$ 우리나라에서도 서울1기 지하철을 시작으로 교통난의 해소를 위하여 2005년까지 총연장 60km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지하공간의 공기질 개선 및 화재시의 배연설비의 최적화가 요구된다.(중략)

  • PDF

A Basic Study on the Fire Experiment of a Single Area for Fire Safety Design. (단일구획실험을 통한 화재안전설계에 관한 기초적 연구)

  • Kim, Dong;Yoon, Ung-Gi;Seo, Dong Goo;Kwon, You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3.11a
    • /
    • pp.110-111
    • /
    • 2013
  • This research studies in the field of domestic fires are an issue in many scientific fire research as a research method to validate the domestic environment and ISO-9705 housing on the basis of experiments in virtual space by making a single fire compartment space for conducting experiments and Appearance of a fire occurring within each flammable Heat Release Rate analysis was carried out mainly. Placed within the space of one flammable HRR calculated as the sum of the number of single-room fire experiments conducted and the results compared with the value in comparing the conduct of fire locations and fire load within the building area of the future, the HRR value represents the change in domestic a consideration of the safety of the building is to propose matt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