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장품 선택기준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3초

여대생들의 저가 화장품에 대한 사용실태 및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Using Low-priced Cosmetics and on the Purchasing Behavior in Female Undergraduates)

  • 김주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7-189
    • /
    • 2011
  • 여성들은 대개 고등학교 졸업 후 화장을 시작한다. 이들은 경제력은 낮지만 자신의 화장품을 스스로 선택하여 높은 화장품 수요를 보이는 집단이다. 그래서 이들은 저가 화장품 시장의 주 고객이 될 수 있으며 하나의 독립된 화장품 시장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저가 화장품의 주 타깃인 여대생의 저가 화장품 구매성향을 분석하였다. 타깃 및 시장 세분화를 통하여 더 많은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잠재고객 확보를 통해 저가 화장품의 지속적인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여대생의 라이프스타일 분석을 통해 저가 화장품의 사용실태와 구매 만족도를 파악하고 여대생의 올바른 소비문화를 유도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여대생 320명 중 불성실하게 답변한 자료를 제외한 305명을 실증 분석하여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여대생들 중 저가 화장품을 사용한 적이 있는 사람이 90.1 %이었고 제품 선택 기준으로는 제품 품질을 우선으로 답하였다. 또한 저가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저가 이미지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화장추구이미지에 따른 화장품 구매점포 선택기준 (Cosmetic Store Selection Differences Depending on Make-up Preference Image)

  • 이현정;김미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6-21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cosmetic purchasing behavior influenced by make-up preference images, and the orders of importance in the cosmetic store selection. Th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female residents in the ages between $20{\sim}45$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32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0.0 software with various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reliability analysis, Paired t-test, ANOVA test and Duncan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fter investigating how the make-up preference image influences the selection of the off-line cosmetic store, it was found out that the personal service, shopping convenience, and product composi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2. After investigating how the make-up preference image influences the selection of the on-line cosmetic store, it was found out that only the product composi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3. After study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off-line cosmetic store selection, it was found that the personal service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After study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on-line cosmetic store selection, it was found that the price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20대 여성의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화장품 관여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The cosmetic buying behavior of women in their 20s - Focused on differences by cosmetic involvement -)

  • 박광희;최미화
    • 복식문화연구
    • /
    • 제27권6호
    • /
    • pp.569-581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cosmetic buying behavior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between cosmetic involvement groups. Cosmetics buying behavior refers to reason for using cosmetics, use of information sources, selection criteria, place of purchase, use/non-use of cosmetics, purchase propensity, purchase frequency, purchase amount, and satisfaction with cosmetics. Personal characteristic contains pursuing image, age, residence area, job, and average household monthly income. Data was collected from 5-10 December 2016, from 308 females in their 20s using an internet survey. The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Mann-Whitney U tests, and chi-square tests.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high cosmetic involvement group and a low cosmetic involvement group)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smetic involvement. The results of t-tes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erms of reasons for using cosmetics, use of information sources, selection criteria, purchase frequency, place of purchase, use/non-use of cosmetics, and satisfaction with cosmetics. The results of Mann-Whitney U tests highligh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frequency between both groups. The results of chi-square tes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urchase frequency, purchase amount, pursuing image, and average household monthly incom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vident in terms of purchase propensity, age, job, and area of residence between groups.

외모관리 기대가치가 화장관심도와 화장품 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xpected Values for Appearance Management on Interest in Make-up and Cosmetics Evaluation Criteria)

  • 박은희;조현주
    • 패션비즈니스
    • /
    • 제18권1호
    • /
    • pp.22-3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xpected values for appearance management on interest in make-up and cosmetics evaluation criteria. Questionnaires are being administered to 244 college students from the Deagu Metropolitan City and Kyungbook province. The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are used for data analysis. Expected values of appearance management are categorized into pleasure/satisfaction, other-expectancy, power value and conformity. Interest in make-up factors are found to be leadership in make-up, others-oriented, and appearance satisfactions. Cosmetics evaluation criteria are categorized into 4 factors such as skin suitability, pursuit of utility, non-essential attributes and symbolism. Pleasure/satisfaction, and conformity are the sub-variables of expected values for appearance management and have significant effects on leadership in make-up and others-oriented sub-variables for interest in make-up. Pleasure/satisfaction, and conformity, being the sub-variables of expected values for appearance managemen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kin suitability, the sub-variables of cosmetics evaluation criteria. And conformity has significant effects on symbolism, the sub-variables of cosmetics evaluation criteria. This indicates that women show high conformity for expected values of appearance management, leadership in make-up and others-oriented sub-variables for interest in make-up, and skin suitability of cosmetics evaluation criteria.

여자 고등학생의 색조 화장품 구매 동기, 점포 선택 기준과 정보원이 점포 애고 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urchasing Motives, Evaluative Criteria of Store, Information Sources on Store Patronage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for Color Cosmetics)

  • 이인경;박은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16권3호
    • /
    • pp.574-587
    • /
    • 200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shopper types by high-school girls' purchasing motivations of color cosmetic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store evaluative criteria and information sources on store patronage behavior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was administrated to 534 high-school girls living in Busan High school girls were pursuing to cover and white their faces by using color cosmetics. The data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hi-square test, cluster analysis, ANOVA, Duncantest,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were classified Covering/whitening pursuing groups, Beauty pursuing groups, and Curiosity/conformity pursuing groups by their purchasing motivations of color cosmetics. High school are girls pursuing to cover and white their faces by using color cosmetics, and are were likely to visit low price specialty stores. This is influenced by their experiences and information from their friends or families. Girls using color cosmetics from their curiosity or conformity were likely to shop in low price specialty stores with a good layout and kind salespersons, while they were likely to use general specialty stores when they wanted to exchange and test cosmetics. These findings may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marketers related to color cosmetics markets of high school girls.

  • PDF

피부색을 표현하는 형용사들의 수치화를 통한 안색 평가법 연구 (Digitization of Adjectives that Describe Facial Complexion to Evaluate Various Expressions of Skin Tone in Korean)

  • 이선화;이정아;박선미;김영희;장윤정;김보라;김남수;문태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49-355
    • /
    • 2017
  • 피부색은 건강상태나 연령을 인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선호하는 피부색에 따라 매력을 느끼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다수의 소비자들은 자신의 피부색을 개선시키기 위해 화장품을 선택하기도 하며 이러한 수요에 따라 화장품의 종류는 다양해졌다. 최근에는 '하얗고 밝은 피부'에서 '건강하고 생기있어 보이는 피부' 등 안색의 선호가 다양해지고 관련 표현의 효능을 표방하는 화장품이 증가하고 있지만 '피부색(안색) 개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기준이 없어 본 연구에서는 피부색을 표현하는 형용사(complexion -describing adjectives, CDAs)를 선정하고 quasi $L^*a^*b^*$ 값을 이용한 통계분석 방법으로 피부색을 표현하는 형용사를 정량화하였다. CDA 7개['창백한(pale)', '깨끗한(clear)', '화사한(radiant)', '생기있는(lively)', '건강한(healthy)', '불그스름한(rosy)', '칙칙한(dull)']를 선별하였고 피부색을 평가한 경험이 있는 30명의 패널이 각각의 형용사를 밝은 피부 사진과 어두운 피부 사진의 색감에 적용하고 이를 다시 수치화하여 단어간에 통계적 유의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어두운 피부의 기준 이미지와 각각의 CDA를 반영한 조정 이미지, 밝은 피부의 기준 이미지와 각각의 CDA를 반영한 조정 이미지간의 quasi $L^*$, $a^*$, $b^*$ 값이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p< 0.05). 그러나 같은 CDA를 반영한 밝은 피부와 어두운 피부간에는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고, 비슷한 계열의 형용사 간에 그룹화되는 경향[(i)창백한-깨끗한-화사한 (ii)생기있는-건강한-불그스름한 (iii)칙칙한]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인 느낌을 표현하는 형용사를 객관적 지표로 수치화하고 이를 통해 피부색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담배향료의 세계적 변화 추이와 전망

  • 곽재진
    • 한국연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초학회 2001년도 제45회 학술발표회 및 심포지움:담배산업의 환경변화와 최근의 연구동향
    • /
    • pp.21-34
    • /
    • 2001
  • 향료란 향을 발현시키는데 사용되는 재료로서 식품, 의약, 화장품, 향수 등 사용분야에 따라 그 표현과 의미가 달리 해석되는데 담배에서 향료의 역할과 기능은 담배의 맛과 향을 변화시켜 주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으며 특히 소비자가 판매되고 있는 제품담배 중에서 선호하는 담배를 선택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담배에 향료는 오래 전부터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 주요 선진국가에서 담배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사용되는 향료 또한 많은 제한을 받고 있는데 국제적인 시장에 출시할 목적으로 개발되는 담배에 향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소 20여 개의 각기 다른 규제 법규를 고려해야할 정도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일부 국가에서는 담배를 판매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사용된 첨가물의 공개를 요구하고 있다. 담배용 향료의 사용을 제한할 목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규정은 공식적으로 발표되어 적용되는 규정과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고 관련 국가기관 또는 담배회사 내에서 자체적으로 적용되는 규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보고에서는 담배의 맛과 향에 영향을 미치는 향료의 역할과 기능을 소비자에 의해 판단되어지는 담배 품질관련요인 및 이들 요인들을 나타내는 관능적 표현용어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의 관계로서 분석하고 국가별 향료 사용현황과 담배용 향료의 세계적인 사용경향을 주요 국가에서 향료 및 담배용 첨가제의 사용을 제한할 목적으로 발표된 각종 규정을 위주로 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20대 여성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화장품구매행동 (A Study on Cosmetic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of 20's females)

  • 송혜인;이옥희;강영의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593-1604
    • /
    • 2002
  •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find how the trend had an effect on a buying motivation, a selecting standard, a frequency of use, a purchase place of cosmetics, makeup and the distinctive quality of social strata of regarding a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were the women in twenties who live in Seoul and Chonnam province. This study had been done from May to July 2001, and 66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measuring tools used were the items of matters of preceding studies and developed ones by researchers on which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Factor and cluster analysis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OVA, x$^2$-test, frequency, and percentage as analysis methods were used through SPS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divided five shopping orientations such as ostentatious style, enjoyable style, economical style, and prudent style, and an attachment style for special brands and shops. On the basis of this result, the groups 20's females were classified into low groups by the cluster analysis; economical shopping group, indifferent shopping group, conspicuous shopping group, and recreational shopping group. In the case of cosmetics purchasing motives, evaluation criteria of cosmetics, stores selection criteria were found according to shopping orientation subdivision, and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frequency of use, a purchase place of cosmetics.

각질세포 내 멜라닌 정량과 피부색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Melanin Content in Corneocyte with Skin Color)

  • 곽택종;장민열;이상민;박선규;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93-198
    • /
    • 2010
  • 사람의 피부색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멜라닌은 표피 기저층의 멜라닌형성세포(Melanocyte)에 의해 생성되어 피부 전반에 분포하고 있으며, 표피의 가장 외각인 각질층에서도 멜라닌은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각질세포 내 멜라닌과 피부색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각질세포 내 멜라닌의 선택적 염색(Fontana-Masson method) 및 영상분석을 통한 정량적 평가법을 확립하였고, 각질세포 내 멜라닌 양과 색차계를 통한 피부색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71명의 여성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색차계를 이용한 피부색과 동일부위의 각질세포에 함유된 멜라닌을 정량하여 비교하였을 때, 각질 세포 내 멜라닌이 차지하는 면적을 나타내는 MCA (Melanin covering area)값이 피부색의 $L^*$값, $ITA^{\circ}$ (Individual Typology Angle)값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각각 r = 0.6049, r = 6651).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각질세포 내 멜라닌 양이 피부색 분류의 새로운 기준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MCA값에 따라 새로이 피부색을 분류하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해, 각질세포 내 멜라닌 정량법의 개발과 멜라닌 양에 따른 새로운 피부색 분류 기준을 세울 수 있었으며 개발된 각질세포 내 멜라닌 정량법은 향후 새로운 in vivo 미백 평가 및 피부 색상과 관련된 여러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동위원소희석 질량분석법을 이용한 간장 중의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의 분석 (An analysis of benzoic acid, methyl paraben and butyl paraben in soy sauce using isotope dilution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 안성희
    • 분석과학
    • /
    • 제31권6호
    • /
    • pp.225-231
    • /
    • 2018
  •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은 식품, 의약품뿐 만 아니라 화장품 분야에서도 사용되는 보존료이다. 그러나 이들 보존료들의 여러 가지 독성이 보고되면서, 한국을 비롯하여 여러 나라들에서 식품 중의 이들 보존료의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장 중의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의 정확하고 정밀한 분석을 위하여 세가지 분석물질의 동위원소를 내부표준물질로 이용하는 동위원소 희석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 (Isotope Dilution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ID-LC/MS)을 개발하였다. 메틸, 부틸 파라벤보다 pKa가 낮은 안식향산을 고려하여 acetic acid로 pH 4.0으로 조정한 5 mM ammonium acetate를 이동상 용매로 사용하여 C18 컬럼으로 분리하였다. 질량분석 조건으로는 전기분무이온화법으로 음이온을 생성하여 음이온 모드에서 분석하였으며, 방해물질로부터 선택성을 향상하기 위해 선택반응분석법 (Selected Reaction Monitor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장의 색깔과 간장 중의 여러 가지 방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C18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최적화된 조건과 방법을 이용하여 싱가포르 Health Science Authority(HSA)가 제공하는 간장 기준시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원에서 측정한 결과값은 HSA가 제공하는 기준값과 불확도 내에서 일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