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자 인증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An Implementation of Embedded Speaker Identifier for PDA (PDA를 위한 내장형 화자인증기의 구현)

  • Kim, Dong-Ju;Roh, Yong-Wan;Kim, Dong-Gyu;Chung, Kwang-Woo;Hong,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5.11a
    • /
    • pp.286-289
    • /
    • 2005
  • 기존의 물리적 인증도구를 이용한 방식이나 패스워드 인증 방식은 분실, 도난, 해킹 등에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지문, 서명, 홍채, 음성, 얼굴 등을 이용한 생체 인식기술을 보안 기술로 적용하려는 연구가 진행중이며 일부는 실용화도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널리 보급되어 있는 임베디드 시스템중의 하나인 PDA에 음성 기술을 이용한 내장형 화자 인증기를 구현하였다. 화자 인증기는 음성기술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벡터 양자화 기술과 은닉 마코프 모델 기술을 사용하였으며, PDA의 하드웨어적인 제약 사항을 고려하여 사용되는 벡터 코드북을 두 가지로 다르게 하여 각각 구현하였다. 처음은 코드북을 화자 등록시에 발성음만을 이용하여 생성하고 화자인증 시에 이용하는 방법이며, 다른 하나는 대용량의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코드북을 사전에 생성하여 이를 화자 인증시에 이용하는 방법이다. 화자인증기의 성능평가는 5명의 화자가 10번씩 5개의 단어에 대하여 실험하여, 각각 화자종속 코득북을 이용한 인증기는 88.8%, 99.5%, 화자독립 코드북을 이용한 인증기는 85.6%, 95.5%의 인증율과 거절율을 보였으며, 93.5%와 90.0%의 평균 확률을 보였다.. 실험을 통하여 화자독립 인증기의 경우가 화자종속 인증기의 경우보다 낮은 인식율을 보였지만, 화자종속 인증기에서 나타나는 코드북 훈련시에 발생하는 메모리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었다.

  • PDF

Speaker Verification Using SVM Kernel with GMM-Supervector Based on the Mahalanobis Distance (Mahalanobis 거리측정 방법 기반의 GMM-Supervector SVM 커널을 이용한 화자인증 방법)

  • Kim, Hyoung-Gook;Shin, Do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9 no.3
    • /
    • pp.216-221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speaker verification method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SVM) kernel with Gaussian Mixture Model (GMM)-supervector based on the Mahalanobis distance. The proposed GMM-supervector SVM kernel method is combined GMM with SVM. The GMM-supervectors are generated by GMM parameters of speaker and other speaker utterances. A speaker verification threshold of GMM-supervectors is decided by SVM kernel based on Mahalanobis distance to improve speaker verification accuracy.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text-independent speaker verification using 20 speakers demonstrate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compared to GMM, SVM, GMM-supervector SVM kernel based on Kullback-Leibler (KL) divergence, and GMM-supervector SVM kernel based on Bhattacharyya distance.

Speaker Verification Model Using Short-Time Fourier Transform and Recurrent Neural Network (STFT와 RNN을 활용한 화자 인증 모델)

  • Kim, Min-seo;Moon, Jong-sub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9 no.6
    • /
    • pp.1393-1401
    • /
    • 2019
  • Recently as voice authentication function is installed in the system, it is becoming more important to accurately authenticate speakers. Accordingly, a model for verifying speakers in various ways has been suggest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for verifying speaker verification using a Short-time Fourier Transform(STFT). Unlike the existing Mel-Frequency Cepstrum Coefficients(MFCC) extraction method, we used window function with overlap parameter of around 66.1%. In this case, the speech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 with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are studied using a deep running model called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with LSTM cell. The accuracy of proposed model is around 92.8% and approximately 5.5% higher than that of the existing speaker certification model.

A Study for Effective Speaker Adaptation and a priori Threshold Updating in Speaker Verification (화자 인증에서의 효과적인 화자 적응과 a priori Threshold Updating에 관한 연구)

  • 조영훈;이수호;홍대희;고한석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491-494
    • /
    • 2001
  • 실제 화자 인증기를 설계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가장큰 문제는, 적은 Enrollment data로 화자 모델이 만들어 지므로 화자 인증기의 성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굉장히 줄어들게 되는 것과, 미리 훈련된 데이터 만으로 Threshold를 설정함에 따라 차후 실제 사용 시에 발생하는 변이를 고려하지 못하여 역시 성능 저하의 문제를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논문은 화자 모델을 구성하는데 있어 MAP 방법을 적용하고, threshold를 Resetting하는 방법을 적용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HTER값이 23%정도 줄어듦을 보여준다.

  • PDF

A Hardware Implementation of Support Vector Machines for Speaker Verification System (에스 브이 엠을 이용한 화자인증 알고리즘의 하드웨어 구현 연구)

  • 최우용;황병희;이경희;반성범;정용화;정상화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1 no.3
    • /
    • pp.175-182
    • /
    • 2004
  •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speaker verification, which verifies someone by his/her voices. There are many speaker vitrification algorithms such as HMM and DTW. However, it is impossible to apply these algorithms to memory limited applications because of large number of feature vectors to register or verify users. In this paper we introduces a speaker verification system using SVM, which needs a little memory usage and computation time. Also we proposed hardware architecture for SVM.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Korean database which consists of four-digit strings. Although the error rate of SVM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HMM, SVM required much less computation time and small model size.

An Implementation of Telephone-based Speaker Verification System using Dialog/4 Board (Dialog/4 보드를 이용한 전화음성 기반의 화자 인증 시스템의 구현)

  • Lee Soon-Reyo;Park Yil-Koo;Choi Hong-Sub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89-92
    • /
    • 2004
  • 전화 음성용 화자인증 시스템 전화기에서 의뢰인의 ID와 음성을 입력받은 후 인증관련 처리론 PC에서 수행하여 그 인증 결과를 의뢰인의 전화로 알려주는 시스템으로 본 논문에서는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기술이 적용된 Dialog/4 보드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Dialog/4 보드를 통하여 시스템에 입력된 ID와 음성에 대하여 신호처리와 특징 추출을 거친후 ID에 해당하는 화자모델과 배경화자 정보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계산하여 의뢰인에 대한 인증 또는 거절의 결과를 알려준다. 실제의 전화음성을 이용한 화자인증 시스템이 성능평가에서 전화음성으로 실험을 할 경우 $99.6\%$의 인증률을 보여주었다.

  • PDF

Effective Speaker Recognition Technology Using Noise (잡음을 활용한 효과적인 화자 인식 기술)

  • Ko, Suwan;Kang, Minji;Bang, Sehee;Jung, Wontae;Lee, Kyungro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259-262
    • /
    • 2022
  • 정보화 시대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고 실시간 인터넷 사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본인을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대표적인 사용자 인증 기술로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이 있지만, 키보드로부터 입력받는 이러한 인증 정보는 시각 장애인이나 손 사용이 불편한 사람, 고령층과 같은 사람들이 많은 서비스로부터 요구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기억하고 입력하기에는 불편함이 따를 뿐만 아니라, 키로거와 같은 공격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신의 신체의 특징을 활용하는 생체 인증이 대두되고 있으며, 그중 목소리로 사용자를 인증한다면, 효과적으로 비밀번호 인증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자 인식 기술은 KT의 기가 지니와 같은 음성 인식 기술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목소리는 위조 및 변조가 비교적 쉽기에 지문이나 홍채 등을 활용하는 인증 방식보다 정확도가 낮고 음성 인식 오류 또한 높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상기 목소리를 활용한 사용자 인증 기술인 화자 인식 기술을 활용하기 위하여, 사용자 목소리를 학습시켰으며, 목소리의 주파수를 추출하는 MFCC 알고리즘을 이용해 테스트 목소리와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악의적인 공격자가 사용자 목소리를 흉내 내는 경우나 사용자 목소리를 마이크로 녹음하는 등의 방법으로 획득하였을 경우에는 높은 확률로 인증의 우회가 가능한 것을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더욱 효과적으로 화자 인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목소리에 잡음을 섞는 방법으로 화자를 인식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안은 잡음이 정확도에 매우 민감하게 반영되기 때문에, 기존의 인증 우회 방법을 무력화하고, 더욱 효과적으로 목소리를 활용한 화자 인식 기술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Hardware Implementation of Speaker Verification System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SVM을 이용한 화자인증 시스템 하드웨어 구현)

  • Hwang, Byung-Hee;Choi, Woo-Yong;Moon, Dae-Sung;Pan, Sung-Bum;Chung, Yong-Wha;Chung, Sa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c
    • /
    • pp.1933-1936
    • /
    • 2003
  • 최근 목소리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화자인증(speaker verification)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화자 인증방법 중에서 SVM을 적용한 방법이 다른 알고리즘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SVM을 이용한 화자인증 방법은 복잡한 계산으로 인해 휴대폰 등 휴대기기에서 실시간 처리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SVM을 이용한 화자인증 알고리즘을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하였고, VHDL을 이용하여 모델링 후 실험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전체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 PDF

Utilization of age information for speaker verification using multi-task learning deep neural networks (멀티태스크 러닝 심층신경망을 이용한 화자인증에서의 나이 정보 활용)

  • Kim, Ju-ho;Heo, Hee-Soo;Jung, Jee-weon;Shim, Hye-jin;Kim, Seung-Bin;Yu, Ha-Ji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8 no.5
    • /
    • pp.593-600
    • /
    • 2019
  • The similarity in tones between speakers can lower the performance of speaker verification.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peaker verification systems, we propose a multi-task learning technique using deep neural network to learn speaker information and age information. Multi-task learning can improve generalization performances, because it helps deep neural networks to prevent hidden layers from overfitting into one task. However, we found in experiments that learning of age information does not work well in the process of learning the deep neural network.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ing, we propose a method to dynamically change the objective function weights of speaker identification and age estimation in the learning process. Results show the equal error rate based on RSR2015 evaluation data set, 6.91 % for the speaker verification system without using age information, 6.77 % using age information only, and 4.73 % using age information when weight change technique was applied.

A Phase-related Feature Extraction Method for Robust Speaker Verification (열악한 환경에 강인한 화자인증을 위한 위상 기반 특징 추출 기법)

  • Kwon, Chul-H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3
    • /
    • pp.613-620
    • /
    • 2010
  • Additive noise and channel distortion strongly degrade the performance of speaker verification systems, as it introduces distortion of the features of speech. This distortion causes a mismatch between the training and recognition conditions such that acoustic models trained with clean speech do not model noisy and channel distorted speech accurately. This paper presents a phase-related feature extraction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e robustness of the speaker verification systems. The instantaneous frequency is computed from the phase of speech signals and features from the histogram of the instantaneous frequency are obtain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technique offers significant improvements over the standard techniques in both clean and adverse testing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