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용적 요소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VTS and Discourse/Conversation Analysis

  • Jeong, Gi-Nam;Seo, Seung-Hyeon;Ha, Yu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161-163
    • /
    • 2010
  • 말하기는 곧 행위라는 주장이 화용론의 핵심명제이다. VTS 대화는 선박들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항해를 위해 이루어지는 언어적 상호작용 행위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든 VTS 화행은 항해행위의 수행에 따른 부수적인 요소가 아니라 필수불가결한 요소라는 점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먼저 화용론에서 다루는 대화의 협력원칙, 공손원칙, 명령화행 및 약속화행의 적정성, 최소대화의 원칙을 VTS 대화 상황에 적용하여 VTS 화행의 특성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실제 발생했던 해양사고에서 선박 간 담화 또는 대화를 분석함으로써 화용론적 실패가 충돌사고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를 검토해보았다. VTS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담화 또는 대화분석을 통해 해양사고의 원인을 심도 있게 분석하는 방안과 이의 결과를 항해사 및 관제사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덧붙여서 co-Navigation 개념이 항해안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 PDF

Experimental and FEM Approach to Develop Optical Engine (가시화엔진 개발을 위한 실험 및 유한요소 해석적 접근)

  • Lee, K.S.;Baek, M.Y.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9 no.2
    • /
    • pp.5-13
    • /
    • 2005
  • 새로운 엔진을 개발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 중에 하나로서 엔진 연소실 가시화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운전상태에 있는 엔진 연소실을 가시화하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여러 가지 어려운 점들이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간단한 실험적 접근방법 혹은 소수의 이론적 해석 방법만이 보고 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시화용 수정엔진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몇 가지 중요한 사항들을 다루었다. 즉, 가시화용 수정엔진의 안전한 운전을 위하여 엔진 실린더 외부에 강제대류 효과를 주었고, 또한 실린더 두께 변화에 따른 온도 및 응력장의 분포를 정량적.정성적으로 고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실린더 라이너 외벽을 강제대류로 냉각했을 경우, 열응력 감소에 매우 큰 효과를 보았다. 둘째, 가시화용 수정엔진 라이너의 최적 두께를 도출하였다. 셋째, 전통적인 주철 소재의 실린더 라이너와 비교 시, 주철 라이너는 연소에 의한 폭발 압력이 실린더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고 되었으나, 수정 라이너의 경우 연소압력 및 연소에 의한 연소열 모두 중요한 설계 인자임을 입증하였다.

  • PDF

반도체 공정 자동화용 통신규격

  • Lee, Seong-Su;Choe, Nak-Man
    • ETRI Journal
    • /
    • v.10 no.4
    • /
    • pp.47-59
    • /
    • 1988
  • 최근들어 반도체 제조업계에서는 반도체제조공정자동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으며, 이의 실현을 위해서는 반도체 제조장비와 상위 컴퓨터간의 직접 접속에 의한 제조공정의 실시간 감시 제어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고는 통일된 통신규격의 부재로 야기되는 자동화의 장애요소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정된 반도체 공정 자동화용 통신규격인 SECS(SEMI Equipment Communications Standard)의 주요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기술한다. SECS는 컴퓨터를 이용한 반도체 공정 자동화를 효율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 PDF

A Discourse-Pragmatic Study of Preposing and Inversion in English. (전치문과 도치문의 담화화용론적인 비교)

  • 박원경
    •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 /
    • v.3 no.1
    • /
    • pp.37-5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henomena of preposing and inversion in English from the discourse-pragmatic perspectives. We claim that different types of preposing can be unified to a single process of topicalization. We also show that diverse discourse functions of inversion can be subsumed under the ‘linking’ function with the prior discourse. It is followed a comparative discussion between preposing and inversion to find what similarities the two constructions share and what differences there exist between the two. It is concluded that the choice of a syntactic forms ultimately depends on the speaker's evaluation of the information status of the knowledge store of the hearer.

  • PDF

The Representational Structure of Lexical Informations of Korean non-autonomous nouns in the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세종 의존명사/대명사/수사 전자사전의 정보표상 구조)

  • Bang, Seong-Won;Ho, Jeong-Eun;Kim, Jong-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341-347
    • /
    • 2001
  • 세종전자사전이 궁극적으로 범용전자사전을 지향한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텍스트 자동 분석과 생성, 정보 검색 및 자동 번역 등에 활용될 데이터베이스로서의 전자사전은 자연 언어 어휘의 내적 구조와 기능방식에 관한 정보들, 가령 음운 통사 의미 화용적 가치와 실현 조건 등에 관한 정보들을 체계적이고도 정교하게 담고 있어야만 한다. 의존명사, 대명사, 수사 범주에 속하는 언어 단위들은 단일 명사와 구별되는 어휘 통사적 속성들을 지니며, 사전의 기술 구조에는 그 정보 값들을 체계적으로 명시화할 수 있는 정보 항목과 표상 구조가 설정되어야 한다. 가령 의존명사처럼 통사 의미적 자율성을 지니지 않는 언어 요소의 경우, 어휘 관계 정보보다는 인접하는 여타 언어 단위들과의 호응관계나 결합제약 조건들이 더 중요한 정보일 수 있다. 본 사전이 체언사전의 하위사전으로 별도로 구축되는 것은 단일어 사전에서 그러한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표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사전은 실제적으로는 체언사전에 통합되어 운영된다는 점에서 이중적 지위를 누린다고 하겠다.

  • PDF

Time Synchronization Interface for Geospatial Data (공간정보 시각동기화 인터페이스)

  • Kwon, Chano-O;Lee,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70-271
    • /
    • 2010
  • 최근 공간정보 산업의 변화와 국내외 포털의 지도서비스 및 iPhone의 국내 진출을 계기로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와 정책적 요구 사항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모바일 매핑 시스템은 공공분야인 시설물 측량 및 수치지형도 수정갱신에 사용된 시스템으로 현재 민간 서비스 시장의 요구 충족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민간 서비스 시장 요구 충족을 목적으로 모바일 매핑 기술을 기반으로 필수 장치만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geoSensor로 취득된 공간정보를 다양한 컨텐츠로 활용하기 위한 필수 요소인 취득 데이터간 동기화용 시각동기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the theories and a case study for teaching EFL reading with the use of socioaffective strategies (사회감정전략을 이용한 영어독해수업 모형제시를 위한 이론 및 사례연구 분석)

  • Choi, Kyung-Hee
    •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 /
    • v.9 no.spc
    • /
    • pp.185-20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ome of the theories concerning socioaffective strategies, to analyze the dialogues of the students negotiating for meaning of a reading material an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of socioaffective strategies for teaching reading. The examination of the theories - the interaction hypothesis and the sociocultural theory - suggest that the use of socioaffective strategies facilitates more effective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that is to be found. distributed, and taken in among the participants. The discourse analyses of the students' interaction in a Korean college English reading class show ample evidence of the use of socioaffective strategies that helped them understand the meaning of a text. However, the analyses show that the strategies are mostly used to ask questions concerning the meaning of clauses. Only few analytical questions are raised for some structural and pragmatical features in the text which are crucial to the understanding of its meaning. Imbalance also exists in the types of the questions used by the participants. The analyses indicate that, instead of negotiating more interactively, the students tend to rely upon a more advanced student when they face difficult English sentences. Therefore as a conclusion this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eaching socioaffective strategies to help students to help themselves to become more cooperative, independent and analytical in reading English texts.

  • PDF

A Study on the Symbolization of the Underground Visual Elements as a Signification-Function -Focus on the Environmental Graphics of the Subway Vehicle & Station in Seoul City- (지하 시각요소의 표지기능(標識機能)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지하철 및 지하역(驛)의 환경그래픽을 중심으로-)

  • 김경만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no.18
    • /
    • pp.153-162
    • /
    • 1996
  • underground space have many negative environmental clements which should be confirmed on location and line of action by the artificial signs. iccordingly, environmental graphics as visual language for popular signification-function have to be studied on sign theory of symbolic meanings. Ho\/ever, its usage has not only decorated by microscopiC appreciative eye but also lost its meanlllg as a visual language which was caused by the negligence of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facility in charge Result of study, Visual environmental factors as a cause of behavioral attitude based on the study, which has been carefully considered as a communication of the visual language. Therefore, considering the underground environmental graphics as the: sign or the signification-function, It has to be studied on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viewpoint. SpeCifically, to maKe the color and formation language a signification-function as a generalized connotation to the public, a distinctive classified Visual language must be applied.

  • PDF

Study of Tilting Train Signal System for Conventional Rail Speed-Up (기존선 고속화를 위한 신호시스템에 관한 연구)

  • Han, Seong-Ho;Lee, Su-Gil;Han, Young-Jae;Gu, Dong-Hea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b
    • /
    • pp.1312-1314
    • /
    • 2003
  • 본 논문은 기존선의 신호보안설비에 대한 정확한 현장운영실태조사를 토대로 속도향상에 필요한 성능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기존선에서 운행될 고속차량의 실용화기술개발을 통해 제반요소기술을 확보하고, 최종적으로 최적의 신호보안차계 구축방안을 제시하여 기존선 고속화용 신호보안장치의 사양을 제시하기 위해 선행된 연구이다.

  • PDF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Korean Modality Expressions (한국어의 양태 표현 교육 연구 : 한국어 '-(으)ㄹ 수 있다'와 중국어 '능(能)'의 대조를 중심으로)

  • Jiang, Fei
    • Kore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 /
    • v.40 no.1
    • /
    • pp.17-42
    • /
    • 2019
  • Modality is the psychological attitude of the speaker, which is comprised by the sentences used in every language. Modality can be broadly categorized as perceptional modality and obligatory modality. This study summarizes the previous related literatures and theoretical branches of Korean linguistic studies. The study also proposes and classifies a modal concept on the Korean language, which is aimed at aiding Chinese people who are studying Korean. It further describes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s of modality in both the Chinese and Korean languag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program on the basis of the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Korean language's modality, "-(으)ㄹ 수 있다," and the corresponding Chinese auxiliary verb, "能." Modality is a syntax item that reflects a speaker's subjective manner. There are many grammatical facets in Korean language books and teaching materials that are modal in nature. Further, modalities in Korean language are not only numerous but also have very rich meanings and functions. Based on the contrastive analysis, this study designs an effective teaching plan for Chinese peopl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The designed system uses specific conversational occasions as the basis of learning, and it adapts the Korean language's modal system to classroom teaching. The system is expected to be effective during classroom teaching for demonstrating and learning modality in the Korean langu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