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염소화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5초

수적을 이용한 순수확산화염의 소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Extinguishiment of Purely Buoyant Diffusion Flame Using Water Drops)

  • 장용재;김명배;김진국
    • 연구논문집
    • /
    • 통권24호
    • /
    • pp.41-48
    • /
    • 1994
  • This experimental study deals with the extinguishiment characteristics of an oil pool flame using the water spray. The water through the six different atomizers is ejected over the freely burning pool flame in the quiescent surrounding air. Injection direction is vertical to the surface of oil in a small tank with a diameter of 100mm and a height of 10mm. In order to estimate quantitatively the extinction, the burning rate as well as the effective water flux are measured. The effective water flux is the amount of the water which reach the pool from the nozzle. The burning rate with the water spray increases until the injection pressure increases to reach some value, which gives the maximum burning rate, while the effective water flux without the flame decreases or does not change according to increasing of the injection pressure. This maximum burning rate is greater than 2.5 times of burning rate of the fire without the water spray. As a matter of the extinguishiment, it is found that the water drops of which size is too small can not extinguish the fire because too small drops does not reach the fuel surface.

  • PDF

특수재난지역 정찰로봇 시제품의 성능평가연구 (Performance Evaluation of Search Robot Prototypes for Special Disaster Areas)

  • 곽지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6호
    • /
    • pp.109-118
    • /
    • 2015
  • 고열과 다량의 연기, 유독가스, 방사능 등을 수반하는 사고 현장에서 소방관을 대신하여 시야확보가 가능하고 화염으로 인한 고열을 극복하며 탐색 및 구조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3종의 특수한 정찰로봇이 최근 개발되었다. 이러한 로봇은 내열성능과 다양한 장애물 극복성능이 있어야 하고 화재진압성능과 탐색성능도 갖추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수재난지역 정찰로봇의 다양한 성능시험을 통해 실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시험결과 소형 및 중형 로봇은 $100{\sim}200^{\circ}C$의 주위환경에서, 소방관탑승형 로봇은 $500^{\circ}C$의 환경에서도 30분 이상 활동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소방관 탑승형 로봇은 A 10 단위 화재모형을 3분 이내에 소화하여 화재진압성능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종 로봇 모두 다양한 장애물 극복성능과 현장운용성능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어 특수재난현장에서의 활약이 기대된다.

일반재와 난연재 알루미늄복합패널의 수직화재 성상분석을 위한 실대형시험(ISO 13785-2)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rge Experiments (ISO 13785-2) for Vertical Fire Behavior Analysis of Aluminum Composite Panels in General and Flame-retardant Material)

  • 최취경;민세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92-9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건축 외장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복합패널의 일반재와 난연재에 대한 실제 화재에서의 화재성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대형 시험(ISO 13785-2)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일반재인 경우 최고 온도가 210초에 $1,021^{\circ}C$가 측정되었으며, 난연재는 약 1,200초에 $1,190^{\circ}C$가 측정되었다. 화재성상은 알루미늄복합패널 중 난연재의 경우 착화가 더디게 진행되었으며, 일반재의 알루미늄복합패널은 연소착화와 동시에 화재가 빠르게 확산되었다. 일반재와 난연재의 알루미늄복합패널은 연소착화하는데는 분명한 차이를 보였지만, 일단 착화된 이후에는 수직화염의 확산의 연소형태는 일반재나 난연재 모두 빠르게 수직확산되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 알루미늄복합패널에 대한 화재위험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난연재 사용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도록 하며, 또한, 일단 착화 후에는 이를 진압할 외장재 전용 소화설비의 적용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메탄 산소 연소에 있어서 화염 소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lame Extinction in Oxymethane Combustion)

  • 김태형;권오붕;박정;길상인;윤진한;박종호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4-41
    • /
    • 2015
  • Oxy-methane nonpremixed flames diluted with $CO_2$ were investigated to clarify impact of radiation heat loss and chemical effects of additional $CO_2$ to oxidizer stream on flame extinction. Flame stability maps were presented with functional dependencies of critical diluents mole fraction upon global strain rate at several oxidizer stream temperatures in $CH_4-O_2/N_2$, $CH_4-O_2/CO_2$, and $CH_4-O_2/CO_2/N_2$ counterflow flames. The effects of radiation heat loss on the critical diluent mole fractions for flame extinction are not significant even at low strain rate in nonpremixed $CH_4-O_2/N_2$ diffusion flame, whereas those are significant at low strain rate and are negligible at high strain rate (> $200s^{-1}$) in $CH_4-O_2/CO_2$ and $CH_4-O_2/CO_2/N_2$ counterflow flames. Chemical effects of additional $CO_2$ to oxidizer stream on the flame extinction curves were appreciable in both $CH_4-O_2/CO_2$ and $CH_4-O_2/CO_2/N_2$ flames. A scaling analysis based on asymptotic solution of stretched flame extinction was applied. A specific radical index, which could reflect the OH population in main reaction zone via controlling the mixture composition in the oxidizer stream, was identified to quantify the chemical kinetic contribution to flame extinction. A good correlation of predicted extinction limits to those calculated numerically were obtained via the ratio between radical indices and oxidizer Lewis numbers for the target and baseline flames. This offered an effective approach to estimate extinction strain rate of nonpremixed oxy-methane flames permitting air infiltration when the baseline flame was taken to nonpremixed $CH_4-O_2/N_2$ flame.

LP가스 폭발 후 화재 전이 현상 및 전이 방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Explosion to Eire of LPG and Its' Prevention)

  • 오규형;이성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0-26
    • /
    • 2004
  • 본 논문은 가스폭발로부터 화채로의 전이현상 및 전이 방지 연구를 위해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00 cm {\times} 60 cm {\times} 45 cm$인 폭발용기를 사용하여 폭발 후 화재로의 전이현상을 고속 비디오로 가시화하고 가시화된 영상을 분석하여 그 기구들을 확인하였다. 고체 가연물로는 신문용지를 가로 세로가 $30cm {\times} 20cm$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하였고 LPG-공기 혼합가스는 10㎸ 전기 스파크를 사용하여 점화시켰다. 실험 변수로는 혼합가스의 농도, 개구부의 크기 및 가연물의 위치 등이었으며, 파열면의 크기는 $10cm {\times} 9cm, 13cm {\times} 10cm, 27cm {\times} 20cm, 40cm {\times} 27cm$로 하였고 가연물의 설치 위치는 4종류로 하였다. 폭발 후 전이 방지 기구의 고찰은 가스 소화약제인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가스폭발로부터 화재로의 전이 현상은 혼합가스의 농도와 고온의 화염 및 연소가스에 노출되는 시간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폭발 후 분위기의 냉각이나 불활성화를 통해 화재로의 전이를 방지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음파 소화기를 이용한 안전 스토브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afe Stove System using Sound Wave Fire Extinguisher)

  • 서윤원;이석재;박형주;김기남;최용래;황형준;한승한;심동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6호
    • /
    • pp.34-39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최초로 음파 소화기를 이용한 자동 화재진압 기능을 가진 안전 스토브 아키텍처를 제안하고 개발하였다.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 센서와 연동된 마이크로컨트롤러가 화재를 감지하고 음파 소화기를 구동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구조를 가진다. 음파 소화기는 스피커와 콜리메이터로 구성되며, 오디오 증폭기를 포함하는 구동모듈에 의해 구동된다. 스토브를 둘러싸는 인클로저를 사용해 거리에 따른 음파의 확산을 막아 음파의 감쇠를 줄일 수 있었다. 이때, 사용된 음파의 주파수는 50 Hz이며, 음압은 소화기로 부터 0.5 m 거리에서 93 dBA로 측정되었다. 7 cc 및 14 cc의 가연성 액체에서 발생한 화염에 대해 진화에 소요되는 시간은 각각 최대 8 s와 15 s로, 각각 자연소화 시간의 24%와 42%에 해당한다. 제안된 안전 스토브는 기존 안전 스토브와 비교하여 무해하고 잔여물질이 남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가전기기에 적용되어 원활한 초기 화재 진압 및 화재 확산 방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