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약의 역사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Explosive History applied to plan in Storytelling and Construction Management(Value Creative Engineering) (화약의 역사를 스토리텔링으로 한 건설사업(가치창조공학)에 적용 방안)

  • Park, Ju-Han;Ahn, Myung-Seog;Ryu, Hyun-Min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31 no.1
    • /
    • pp.87-92
    • /
    • 2013
  • Although precision blasting constructions are increased by explosive industry, the studies on the history of explosive are small in number.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the origin of explosive and make it, which we found, be storization to develop the technology of modern explosive and blasting. Also, we presented the methods that apply storytelling about the explosive technology to construction project.

The History & Future Prospect of Industrial Explosives and Pyrotechnic (화약 및 화공품의 역사와 향후 전망에 관한 연구)

  • 김희창;안명석;김종현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18 no.3
    • /
    • pp.7-13
    • /
    • 2000
  • 인류의 역사에서 "제2의불"의 발견이라고 하는 것이 화약의 발명이다. 이 화약은 활용성과 기능성 및 안전성에 따라 흑색화약으로부터 에멀젼(Emulsion)폭약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공업 뇌관에서부터 비전기식 뇌관에 이르기까지 부단히 개발 발전되어 왔고, 그 응용범위도 다양해졌다. 또한 "불의 예술"이라고도 하고 "밤하늘의 서사시"라고도 일컬어지는 연화를 사용한 불꽃놀이가 각종 기념행사 때 볼거리로 모든 이를 즐겁게 하여준다. 이에 화약류의 올바른 이해와 사용을 위해 연화를 포함한 화약류의 역사를 살펴보고 화약기술의 발전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를 살펴보고 화약기술의 발전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

  • PDF

The Improvement Discussion of "Guns, Swords, Explosives, etc. Control Act" for the Promotion of Explosives Safety (화약류 안전관리 증진을 위한 "총포·도검·화약류 등 단속법"의 개선적 논의: 제·개정 연혁의 분석을 중심으로)

  • Lee, Sang Won;Kim, Jung Gy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1
    • /
    • pp.396-403
    • /
    • 2013
  • Explosive substances requires much effort for safety management because of the basically risk. The risk of explosives is increasing actually explosives accidents and crimes have been occured repeatedly and explosives used IED(Improvised explosive device) or roadside bomb recently. South Korea's basic legislation on the management of explosives is "guns, swords, explosives control Act" was enacted in 1961 as many amendments have been made. However, the Act has increased complexity gradually because of the technical expertise of explosiv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new techniques.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Korea's explosives management and considers enactment amendments and propose measures to improve of explosives management Act.

역사속 과학인물-우리나라 '화학의 아버지'최무선

  • Park, Seong-Rae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7 s.314
    • /
    • pp.20-21
    • /
    • 1995
  • 14세기 우리나라 최초로 화약을 만들어 왜적을 물리쳤다는 최무선, 원나라에서 온 사신으로 부터 화약기술을 배워 당시 불꽃놀이에나 쓰던 화약을 폭발 무기로 개발한 뒤 화통도감을 설치했다. 지난 4월 과학의 달에 이달의 인물로 뽑혔던 최무선을 재조명해본다.

  • PDF

On the suggestion of development plan to Dumangang-River and yung jong-Do (두만강 및 영종도 개발 계획에 관한 소고)

  • 박중현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12 no.4
    • /
    • pp.83-85
    • /
    • 1994
  • 근년의 북방외교 이후 눈에 띄게 동해 경게권이 대두되면서 급기야는 두만강 지역에 UN시를 건설하여 그 지역을 개발하자고 하는 매우 고무적인 계획까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런 일련의 변화 속에서 우리가 너무나 역사의식을 결여하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정부의 공식입장에 나타나지 않는 또 다른 부분에 대한 의견을 개진하고자 한다.

  • PDF

역사속 과학인물 - 화약제조법 "신전훈초방"책 쓴 조선조 김지남

  • Park, Seong-Rae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4 no.1 s.380
    • /
    • pp.42-43
    • /
    • 2001
  • 조선조 숙종때의 역관 김지남은 화약제조법을 다룬 무기관련책, "신전자초방"을 남겼으며 일본을 다녀와 쓴 개행문 "통문관지"를 펴내기도 했다. 그가 도입한 새 화약 제조법은 재료를 아무데서나 구입할 수 있고 제품을 오래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재료가 적게들어 비용이 절약된다는 장점을 갖고 있었다. 그는 또 1712년 중국에서 파견된 목극등과 함께 백두산에 가서 측량하여 우리나라와 중국의 국경을 확정짓고 '백두산 정계비'를 세우기도 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