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상 대화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Real Time Recognition of Finger-Language Using Color Information and Fuzzy Clustering Algorithm (색상 정보와 퍼지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한 실시간 수화 인식)

  • Kang, Hyo-Joo;Lee, Dong-Gyun;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419-423
    • /
    • 2008
  • 사람의 손동작은 오랫동안 하나의 언어역할을 하는 통신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손동작 중에서 가장 체계를 갖춘 수화는 청각장애인이 일반인과 일상 대화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주요한 통신 수단이다. 하지만 건청인들의 대부분이 습득하고 있지 않아 청각장애인들과 의사소통이 거의 불가능 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건청인과 청각장애인들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색상 정보와 퍼지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한 실시간 수화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화상 카메라를 통해 얻어진 실시간 영상에서 YCbCr 컬러 공간에서 색차 정보에 해당하는 Cb, Cr 정보를 각각 추출한 후, 이진화한 영상과 원본 영상에서 마스크를 통한 에지를 추출한 이진화 영상에 대해 논리연산을 통해 두 손의 위치와 외곽을 추출한다. 추출된 각 정보를 조합하여 8 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객체의 위치를 추적한다. 그리고 추적한 객체의 영역에 대해 형태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한 후, 최종적으로 두 손의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손의 영역은 퍼지 클러스터링 기법 중의 FCM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수화의 특징들을 분류하고 인식한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화상카메라를 통해 얻어진 실시간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두 손 영역의 추출에 효과적이고 수화 인식에 있어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Learning Emotional States of Chatting Partners from Text Data (채팅 텍스트로부터의 회자 감정상태 학습)

  • 문현구;장벽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340-342
    • /
    • 2001
  • 현재 인터넷 환경에서 텍스트는 다루기 쉽고 부하가 적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통신 수단이다. 그러나 화상 채팅과는 달리 자신의 표정이나 체스춰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표현상의 한계가 있다. 이 글은 일상 대화를 텍스트로 입력받아, naive Bayes 알고리즘을 사용해 미리 정의된 감정 범주, 즉 울기, 웃기, 화내기 등으로 분류해 주는 방법에 관해 다루고 있다. 채팅사이트에서 수집된 학습데이터는 사람에 의해 해당 감정 범주로 태깅되고, 이렇게 태깅된 데이터가 학습엔진에 의해 통계 정보로 구축되면, 실제 채팅사이트에서 감정인식 엔진은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해 해당 감정으로 분류한다. 연령별로 5개의 그룹으로 나눈 대화방에서 각각 1000문장씩 테스트해본 결과 평균 91.6%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altime Voice Lecture System Based on Studying Systems (학습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실시간 음성 강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박혜진;오암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771-774
    • /
    • 2001
  • 기존의 학습 시스템은 실시간이나 VOD로만 학습자에게 제공되어 불필요한 컨텐츠나 중복되는 부분이 있을 뿐만 아니라 화상 없이 음성만으로 수업이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실시간 음성 강의 시스템은 기존의 수업 진행 방식에서 벗어나 실시간 수업과 상호간의 대화가 지원되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그리고 웹을 통하여 시간,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수시로 접속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자료를 받아서 학습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 PDF

연구장비 Grid

  • Kim, Mi-Ok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8
    • /
    • pp.92-96
    • /
    • 2002
  • 연구장비 Grid는 고속의 네트웍으로 첨단연구장비를 연결하여 연구장비 전용망을 구성하고, 연구장비 망에 접속 가능한 모든 연구자들에게 이용이 편리한 표준화된 미들웨어를 제공하여 장비와 연구자 간의 거리와 상관없이 연구자가 원격지의 장비를 제어하고,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처리함과 동시에 화상 대화를 통해 다른 연구자들과 실험 과정 및 결과에 대한 토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연구장비 Grid가 구축되면 국내 연구장비 공동활용 활성화는 물론 해외 첨단연구장비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해외연구자 및 북한연구자와도 공동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ssessment of Emergency Remote Teaching for Clinical Interview Skills due to COVID-19: Its Implication for Future Online Medical Education (코로나19로 인한 일개 의과 대학의 비대면 의료 면담 실습수업 사례 분석)

  • Lee, Sang-ok;Kim, Yoo-Ri;Kim, Su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1
    • /
    • pp.431-443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are and assess the experiences of the emergency remote teaching method adopted for the medical communication course at a medical school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standardized patients hired for this 'Emergency Remote Teaching (hereafter ERT)' course said that students' interactions with them were less enthusiastic and less realistic, However, in the one-on-one virtual practice, the students seemed to be more focused than in the existing face to face practic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unit practice test scores between ERT and the face-to-face course while in the face-to-face final exam, the test scores of FTF students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of the ERT students, which might have resulted from the different methodologies of teaching. Further research on the virtual medical communication course is necessary to prepare medical students for the adoption of the telemedicine which could be accelerated in the near future.

Mutual Gaze Correction for Videoconferencing using View Morphing (모핑을 이용한 화상회의의 시선 맞춤 보정 방법)

  • Baek, Eu-Tteum;Ho, Yo-Sung
    • Smart Media Journal
    • /
    • v.4 no.1
    • /
    • pp.9-15
    • /
    • 2015
  • Nonverbal communications such as eye gazing, posture, and gestures send forceful messages. In regard to nonverbal communication, eye gazing is one of the most strong forms that an individual can use. However, lack of mutual gazing occurs when we use video conferencing system. The displacement between locations of the eyes and a camera gets in the way of eye contact. The lack of eye gazing can give unapproachable and unpleasant feel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ye gazing correction for video conferencing. We use two cameras installed at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television. The captured two images are rendered with 2D warping at virtual position. We implement view morphing to the detected face, and synthesize the face and the warped image. The result shows that eye gazing is corrected and correctly preserved and the image was synthesized seamlessly.

Communication Aid System For Dementia Patients (치매환자를 위한 대화 보조 시스템)

  • Sung-Ill Kim;Byoung-Chul Kim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3 no.6
    • /
    • pp.459-465
    • /
    • 2002
  • The goat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both the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and their caregivers.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communication aid system that is consisted of three modules such as speech recognition engine, graphical agent. and database classified by a nursing schedule. The system was evaluated in an actual environment of nursing facility by introducing the system to an older mail patient with dementia. The comparison study was then carried out with and without system, respectively. The occupational therapists then evaluated subject"s reaction to the system by photographing his behaviors. The evalua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posed system was more responsive in catering to needs of subject than professional caregivers. Moreover we could see that the frequency of causing the utterances of subject increased by introducing the system.

Analysis of the durational characteristics of monosyllabic interjections in Natural spoken language (자연발화상에 나타난 단음절 단일간투사의 길이특성 분석)

  • 김기호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06c
    • /
    • pp.95-98
    • /
    • 1994
  • 자연발화상에 포함되어, 음성언어 인식에 장애를 초래하는 간투사의 음성적 특성 중 가장 뚜렷이 구별되는 길이특성얼 분석하여 음성언어 인식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간투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단음절 단일 간투사에 한정하여, 실제 대화의 녹음자료에서 나타나는 간투사의 빈도수와, 그 길이특성을 신분별, 성별, 간투사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또 간투사를 위치에 따라, 음운구초 간투사, 음운구말 간투사로 나누고, 그 길이를 음절 평균, 음운 구초 음절이나 음운구말 음절의 길이와 비교하여 간투사의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이는 단음절 단일 간투사는 어 이며, 간투사 길이 증가율은, 음절평균에 대해서는 그가, 음운구초 평균에 대해서는 응이 가장 큰 증가율을 나타낸다. 전체적을 음운구초 음절길이에 대한 간투사 길이 증가율이 음절평균 길이에 대한 간투사 길이 증가율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하위레벨에서 제거할 수 있는 간투사와, 통사적 또는 의미론적 분석이 필요한 상위레벨에서 처리해야할 간투사를 구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길이 특성외에 간투사에 대한 다양한 음성적 특성과, 다음절 단일 간투사와, 이중 간투사에 대한 연구가 진척된다면 음성언어 인식에 장애가 되는 간투사의 효과적 배제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PDF

P2P(Peer-to-Peer) Messenger Integrated Service (피어-투-피어 메신저 통합 서비스)

  • 이태열;박진기;함형범;이양선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508-511
    • /
    • 2003
  • 최근에 인터넷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자료의 양은 많아지고, 서비스 방식도 복잡해지는 문제가 생겨나게 되었다. 그에 따른 해결방안으로 P2P(Peer-to-Peer) 모델은 2000년대에 들어서 다시 컴퓨터 산업 무대의 중심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지금까지 잘 알려져 있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사용자와의 통신 수요에 대한 문제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P2P 모델은 이러한 구조에서 벗어나 사용자들 간의 직접적인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해주어 서버의 역할을 최소화 시켜 주었다. 이러한 이점 때문에 현재 많은 기업체들이 P2P 모델을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이상으로 선호하게 되었다. 자바를 이용해서 개발한 P2P용 메신저 통합 서비스에는 기존의 상대방과의 대화뿐만 아니라 파일 공유, 자료의 업/다운, 멀티미디어 채팅으로 상대방의 얼굴을 보며 대화를 할 수 있는 화상채팅 기능이 있고, 친구들을 쉽게 정리하여 사용자만이 관리를 할 수 있는 공유그룹과 폐쇄그룹을 추가하여 보안에 대비 하였다. 또 키워드 검색, 메타 검색으로 더 많은 자료를 손쉽게 찾을 수가 있다. 시스템 상에 XML, 웹 서버, WAP 게이트웨이 서버를 탑재하였고, 가상의 네트워크인 VPN 사용, 그리고 DB를 사용한 회원관리 및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향후 P2P 기술은 P2P 검색, P2P 커뮤니케이션, 무선인터넷관련 기술, XML을 이용한 표준통합기술의 발전으로 더욱 침체된 시장에 활력소 역할을 할 것이다.

  • PDF

Reconstruction of Color-Volume Data for Three-Dimensional Human Anatomic Atlas (3차원 인체 해부도 작성을 위한 칼라 볼륨 데이터의 입체 영상 재구성)

  • 김보형;이철희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19 no.2
    • /
    • pp.199-210
    • /
    • 1998
  • In this paper, we present a 3D reconstruction method of color volume data for a computerized human atlas. Binary volume rendering which takes the advantages of object-order ray traversal and run-length encoding visualizes 3D organs at an interactive speed in a general PC without the help of specific hardwares. This rendering method improves the rendering speed by simplifying the determination of the pixel value of an intermediate depth image and applying newly developed normal vector calculation method. Moreover, we describe the 3D boundary encoding that reduces the involved data considerably without the penalty of image quality. The interactive speed of the binary rendering and the storage efficiency of 3D boundary encoding will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the PC-based human atla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