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상

검색결과 2,562건 처리시간 0.026초

DNS 시스템과의 호환을 위한 화상인식 URI 구조 (Icon­uri structure for compatibility with DNS system)

  • 강현식;김기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3)
    • /
    • pp.580-58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환경의 발전으로 인한 휴대폰 및 PDA등의 문자 입력이 느린 단말기를 위하여 기존의 문자열로 되어 있는 DNS와 현재 개발 및 상용화가 이루어 지고 있는 화상인식 URI서비스를 분석하여 보고 기존의 화상인식 URI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인 DNS와의 호환을 통하여 적합한 화상인식 URI와 서비스 환경을 제시한다.

  • PDF

현미 세 면(윗면, 측면, 앞면)의 화상을 이용한 품종 판별 (Identification of Rice Species by Three Side (Top, Side and Front) Images of Brown Rice)

  • 김상숙;이상효;류미라;김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73-479
    • /
    • 1998
  • 국산 19품종의 현미(40점)를 대상으로 현미 1알로부터 3개의 화상(윗면, 측면, 앞면)의 9개 화상특성(면적, 장단축비, 장축길이, 단축길이, 둘레길이, 원형도, 적색도, 녹색도, 청색도), 도합 27개 화상특성을 측정하여 품종 판별을 시도하였다. 판별식의 도출과 검증을 위하여 현미 시료 1점당 각각 105알과 20알이 사용되었다. 현미의 화상특성 중 윗면 화상, 측면 화상에서의 면적, 장단축비, 장축길이, 단축길이, 둘레, 원형도, 앞면 화상에서의 면적, 둘레는 품종 간 차이가 큰 특성이었다. 27개 화상 특성중 판별에 기여율이 가장 낮은 앞면 화상의 둘레길이, 측면 화상의 원형도, 윗면의 둘레길이를 제외한 24개 화상특성을 사용하였을 때 84.75%로 가장 판별율이 높았다. 품종 판별율은 품종 농안의 경우 최고 99.05%, 화성의 경우 최저 50.63%로 품종 간 차이가 많았다. 품종 판별식을 검증한 결과 평균 84.93%의 품종 판별율을 보였으며, 농안과 팔공의 경우 최고 100%, 화성의 경우 최저 47.62%의 품종 판별율을 보였다. 이 결과, 단지 화상분석에 의한 품종 판별율은 품종에 따라 커다란 차이가 있어 전체 품종 판별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좀더 신뢰성 있는 품종 판별을 위해서는 화상분석 이외에 품종이 지닌 고유의 특성을 분석하는 다른 판별분석법도 병행하여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웹 기반 실시간 화상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real-time video communication system)

  • 반태학;정경모;편도길;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12-714
    • /
    • 2012
  • 오늘날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실시간 화상통신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웹 브라우저를 활용한 실시간 화상통신 기술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웹 기반의 실시간 화상통신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에서는 서로 상이한 웹 브라우저들의 웹서버를 통해 RTC API와 HTTP/WebSockets 등을 사용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실시간 화상통신이 가능하게 하다. 이는 네트워크가 연결된 모든 환경에서 웹 브라우저의 이용이 가능한 모든 단말에서 사용가능하며, 제한적인 환경에서의 화상통신분야에 활용될 것이다.

  • PDF

안전한 화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영상암호화 (Image Cryptography for Secure Video Conference System)

  • 고석만;오무송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70-75
    • /
    • 2002
  • 화상회의 시스템은 원거리에 있는 사람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이야기함으로 발생될 수 있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제거함으로써 정보전달과 업무처리의 신속성을 이끌어 낼 수 있다. 그러나 화상회의를 실행함에 있어서 중요한 회의 내용의 유출, 도용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확보된 화상회의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상회의 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사용자 인증과 같은 일반적인 암호화 기법 이외에 화상정보의 변조와 유출, 도용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영상 정보를 암호화 하는 기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영상 정보를 암호화하기 위해서 개선된 Vernam의 암호화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보다 안전한 화상회의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영상 분할 통신 기법을 이용하여 화상을 여러 개의 모듈로 분할한 후 각각의 모듈별로 암호를 합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수학교육을 위한 화상교육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Real-Time Video System for Mathematics Education)

  • 박지수;최범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1호
    • /
    • pp.29-34
    • /
    • 2021
  • 실시간 화상교육은 원격지에서 강의자와 학습자의 면대면 교육을 대체하는 효과적인 수업 운영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영상통화 및 화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하는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는 영상을 통한 강의에 치중하게 되어 어학교육에서 효과성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그 외의 교육에서는 활용도가 미비한 실정이다. 최근 코로나로 인해 영상 중심의 화상 교육이 있으면서 화상 회의 시스템이 가지는 영상 중심 화상교육의 제한점을 개선하여 강의자와 학습 참여자 모두에게 수업 중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수학교육에서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시간 화상 시스템의 설계 모델을 제시한다.

모듈러 특성을 이용한 공간영역 기반의 심층암호 (Steganographic Method on Spatial Domain Using Modular Characteristic)

  • 박영란;신상욱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13-119
    • /
    • 2006
  • 화상을 이용한 심층암호는 화상에 숨긴 비밀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비밀 통신의 한 방법이다. 디지털 화상에 비밀 메시지를 은닉시키기 위해서 엄폐화상은 은닉 알고리즘에 의해 변경이 되며, 그 결과 은닉화상이 생성된다. 송신자는 의미 없는 일반적인 엄폐화상에 비밀 메시지를 숨긴 은닉화상을 수신자에게 전송한다. 본 논문에서는 화상의 연속 두 화소간의 차분과 비밀 양자화 범위를 이용하여 비밀 메시지를 은닉하는 공간 영역 기반의 심층암호 기법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 방식은 삽입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모듈러 연산을 이용한다. 제안 방식은 모듈러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관련 방식[6]보다 비밀 메시지의 삽입용량을 평균 60% 정도 더 증가시킬 수 있었다.

멀티 마이크로폰 기반 원격지 간 화상회의 시선 일치 기법 (Gaze Matching Based on Multi-microphone for Remote Tele-conference)

  • 이대성;조동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29-431
    • /
    • 2021
  • 최근, 대면 회의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 원격지 간 화상 회의 시스템의 활용도가 높아졌다. 기존 화상회의 시스템은 원격지 사용자의 시선 불일치로 인해 몰입감 있는 화상회의 환경을 제공하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원격지 간 참여자의 시선 정보를 일치하여 화상 회의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 적용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원격지 간 화상회의 참여자의 시선을 일치하기 위해 로컬에 설치된 멀티 마이크로폰 기반으로 화자의 위치를 추정하여 시선이 일치된 화상회의 영상을 구현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본 연구논문의 방법을 이용하면 원격지 간 화상회의 뿐 아니라 로봇 상호작용, 가상 휴먼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 확대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칼라 지정을 이용한 내용기반 화상검색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System with Color Assignments)

  • 김철원;최기호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933-943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화상의 칼라 지정을 이용한 내용기반 화상검색 시스템 구현에 관하여 연구 하였다. 화상의 칼라는 사람이 느끼는 칼라에 적합하도록 RGB칼라 공간을 HSC(hue, saturation, value) 칼라공간으로 변환시켜 그 특징을 추출하였다. 칼라특징 추출시 화상을 9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의 대표칼라 3개를 칼라 히스토 그램을 사용 하여 선택하였다. 키워드로 화상의 종류를 선택가능하도록 했으며, 검색은 화상 입력 에 의한 검색과,칼라지정을 이용한 키워드에 의한 검색, 칼라지정을 이용한 키워드와 화상 입력을 결합한 화상검색, 화상내의 특징 객체를 선택하여 검색하는 4가지 질의방법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각각의 방법에서 Pre-cision/Recall이 0.55/0.37, 0.57/0.43, 0.59/0.45, 0.63/0.61의 결과를 얻었으며, 칼라지정을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검색효율을 보였다.

  • PDF

화상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on Burden in Families Caregivers of Patients with Burn)

  • 정계현;나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275-28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화상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이다. 연구 대상자는 D시, S시, B시, P시에 소재한 4개 화상전문병원에 입원한 $2^{\circ}$ 이상의 화상환자를 돌보는 가족들 120명을 편의 표집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t-test, ANOVA, Scheffe' test, Multiple linear regrassion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화상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감 중 돌봄의 의미와 평가, 환자의 미래에 대한 부담감이 가장 높았다. 화상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감 영향요인으로는 결혼상태, 간병시간, 피부이식수술, 체표면적(%)이었고, 설명력은 25.9%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장시간 화상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의 신체적, 정서적 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간병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간병서비스가 필요하다.

돌발화염으로 인한 화상예측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Skin Burn Injury due to Flash Flame Exposure)

  • 이준경;방창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13-20
    • /
    • 2012
  • 매년 많은 소방공무원들이 화재나 고온 조건 등에 노출되어 화상으로 고통 받고 있어, 화상 예측에 대한 연구를 통해 화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피부조직의 비선형성, 혈류에 의한 열전달 분석의 불확실성 등 인체 내부의 복잡한 물리현상으로 인해 화상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이 실정이며, 특히 국내의 경우는 이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심각한 화상을 유발할 수 있는 돌발화염(80 kW/$m^2$ 이상의 고열 유속 조건)하에서의 2도 화상 발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였다. 생체 열전달 방정식(Bio-heat transfer)을 이용하여 지배방정식을 유도하였으며, 유한차분법(Finite Difference Method)을 활용하여 화상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는 수치해석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기존의 여러 연구결과로부터 인체 피부의 열물성치를 정리하였고, 그것을 바탕으로 계산을 수행하였다. 기존의 낮은 열유속에 대한 화상 실험 결과와 예측 결과를 비교하여 가장 오차가 적은 열물성치 모델을 파악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고열유속의 돌발화염에서의 2도 화상발생 노출시간을 예측하여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