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산

Search Result 1,17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f Volcanic Cave and Cave Topography in Cheju Island (제주도의 화산동굴과 동굴지형지물 소고)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51
    • /
    • pp.9-14
    • /
    • 1997
  • 제주도는 동아시아 한반도의 서남해상에 위치하는 화산섬이다. Aspite 화산형을 이루는 한라산체를 주체로 하는 동서로 길다란 타원형의 화산섬이다. 이 제주도에는 대소 370개소에 달하는 분석구(기생화산)이 전지역에 산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소 80개소에 달하는 화산동굴이 분포되고 있어 세계화산학자들의 학술연구대상지가 되고 있는 섬이다.(중략)

  • PDF

제주도의 화산동굴과 동굴지형지물 소고

  • 홍시환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54-59
    • /
    • 1997
  • 제주도는 동아시아 한반도의 서남해상에 위치하는 화산섬이다. Aspite화산형을 이루는 한라산체를 주체로 하는 동서로 길다란 타원형의 화산섬이다. 이 제주도에는 대소 370개소에 달하는 분석구(기생화산)이 전지역에 산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소 80개소에 달하는 화산동굴이 분포되고 있어 세계화산학자들의 학술연구대상지가 되고 있는 섬이다.(중략)

  • PDF

Study of the Last Volcanic Activity on Historical Records on Jeju Island, Korea (고문헌에 기록된 제주도 최후기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 Ahn, Ung San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1
    • /
    • pp.69-83
    • /
    • 2016
  • Radiocarbon and OSL ages of three monogenetic volcanoes inferred to be the last volcanoes on Jeju Island, Korea were determined to identify a volcano described in historical records. The results show that the ages of those volcanoes are roughly <3.8 ka (Songaksan), >4.5 ka (Biyangdo), and <6~7 ka (Ilchulbong). Though our efforts to make a positive match between historical records and volcano-chronological dating were not successful, we make a new suggestion in this paper that two historical records of volcanic activity in 1002 and 1007 A.D. could be interpreted to be the sequential volcanic events from a single monogenetic volcano. In addition, based on a volcanological reinterpretation of historical records, we infer that the volcano described therein is most likely Mt. Songaksan, in Daejeongeup, which had early phreatomagmatic and late magmatic activities after 3.8 ka ago. Furthermore, considering the geo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Goryeo Dynasty and the Tamna Kingdom, in addition with the culture of the era, this study sheds new light on the possibility that there is a time gap between the actual eruptions and the historical recording of them by ancient people.

Characteristics on Volcanoes Monitoring and Disaster System of Japan (일본의 화산감시 및 분화대응 특성)

  • Jang, Eun Su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88-188
    • /
    • 2011
  • 작년 아이슬란드에서의 화산폭발로 발생된 화산재가 대기 중으로 이동하면서 유럽 공항 곳곳의 항공기 수천 편이 운항 중지되기도 하였다. 한반도내의 백두산은 약 1000전(서기 946년~947년 경) 대규모로 분화하였고, 서기 1903년, 소규모 분화한 후, 앞으로 수년~수십 년 사이에 폭발적인 분화를 재개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백두산 분화 시, 아이슬란드 화산폭발 때보다 훨씬 심각한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백두산 화산에 대한 현지 자료의 수집과 꾸준한 모니터링(감시, 관측) 자료의 분석과 재해 예상 범위 및 대응 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으로 가까이 있으며 108개 활화산의 화산재해 방재에 관하여 꾸준히 활동하고 있는 일본에서의 화산감시 및 분화대응 시스템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의 화산재해대책을 수립하기위한 시사점들을 고찰하였다. 화산의 평균적인 분화 간격은 풍수해나 지진 등 다른 재해에 비해 길기 때문에 일본 기상청에서는 과거1만년 이내에 분화한 증거가 있는 화산이 활화산으로서 인정되고 있다. 백두산은 약 1000년 전에 분화한 뒤 최근 분화의 전조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중국과 북한에 인접하여 있으므로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피해는 예상되지 않으나, 우리나라에 일본과 같은 활화산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생소하였던 화산재해란 어떠한 것이며, 향후 잠재적인 분화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백두산폭발로 인한 재해의 종류를 미리 예상하고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일본의 경우 계속적인 감시와 관측을 통한 분화예보, 경보를 발령하고 분화 시 즉각적인 방재정보를 전달, 지역주민들이 빠르게 인지, 주의하도록 화산재해 대책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중국과 북한에 인접한 백두산에 대한 관측 자료가 거의 없고, 연구를 위한 접근 또한 쉽지 않은 상황이다. 분화로 인한 직접적인 영향권에서는 벗어난다할지라도 계절적인 기상장의 영향 및 아직 예측 불가능한 백두산의 잠재적인 폭발규모에 따라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경우에 대비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우리나라의 화산재해 방재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백두산 폭발로 인한 재해위험범위를 가시화하고, 분화 시에 대한 구체적인 가상시나리오를 작성하여, 화산재 및 대기오염물질의 확산시뮬레이션, 기후변화에 끼치는 영향 등을 포함하는 화산재해대책을 미리 세워 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방재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 PDF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n Paldang-dam Surface Area through the Estimation of Volcanic Ash Toxic Components from Mt. Baekdu (백두산 화산재 유해성분 추정을 통한 팔당댐 유역 수질영향 평가)

  • Jee, Yong Keum;Lee, Gyeng Bin;Choi, Jung Ryel;Kim, Ji T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3
    • /
    • pp.237-245
    • /
    • 2014
  • Volcanic ash components of Mt. Baekdu were estimated to response the change of water quality environment affected by Mt. Baekdu volcanic ash ejected during eruption. Then the change of water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 sedimentation of volcanic ash components were analysed. To estimate volcanic ash components of Mt. Baekdu, similar volcanos were selected through the comparison of main foreign volcano's magma type and the selected volcanic ash components supposed as Baekdu Mountain's. To analyse the change of water concentrations, the change of harmful components affected by volcanic ash sedimentation were analys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domestic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As the result, Al, Cd, F, Fe, Pb, Mg, Cl and Sr could affect to water quality. Among those components, concentrations of Cd, F, Fe, Pb and Mg were estimated to exceed the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Eruption Cycles and Volcanic Form of the Dokdo Volcano, Korea (독도 화산의 분출윤회와 화산형태)

  • 황상구;전영권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6 no.6
    • /
    • pp.527-536
    • /
    • 2003
  • The Dokdo volcano in the south-central part of the East Sea is classified into 8 rock units. The units and sequence suggest that the Dok Island forms a small stratovolcano constructed from at least 3 times eruption cycles above the sea level and proceeded with transformation of a few different eruption styles during each cycle. Reconstruction of the volcanic form, from the geologic structures and spatial lithofacies changes, suggests that the island is remnants of the southwestern caldera rim of the stratovolcano whose central part lies several hundred meters to the northeast. The subaqueous volcano shows abig guyot, which looks like a shield volcano, that represents gentle slope at 90-175 m deep and relatively steep one in 200∼2,000m, and 25∼30km wise base on sea floor. Therefore the total Dokdo volcano represents a multiple volcano that stratovolcano with small caldera overlies the big guyot.

Selecting Hazardous Volcanoes that May Cause a Widespread Volcanic Ash Disaster to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에 광역화산재 재해를 발생할 수 있는 위험화산의 선정)

  • Yun, Sung-Hyo;Choi, Eun-Kyeong;Chang, Cheolwo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7 no.6
    • /
    • pp.346-358
    • /
    • 2016
  • This study built the volcano Data Base(DB) of 289 active volcano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Japan, China (include Taiwan), and Russia Kamchatka area. Twenty nine more hazardous volcanoes including Baekdusan, Ulleungdo and 27 Japanese volcanoes that can cause a widespread ash-fall on the Korean peninsula by potentially explosive eruption were selected. This selection was based on the presence of volcanic activity, whether or not containing dangerous explosive eruption rock types, distance from Seoul, and volcanoes having Plinian eruption history with volcanic explosivity index (VEI) 4 or 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tilized for screening high-risk volcanoes that may affect the volcanic disaster caused by a widespread fallout ash. By predicting the extent of spread of ash caused by these hazardous volcanic activities and by analyzing the impact on the Korean peninsula, we suggest that it should be used for helping to predict volcanic ash damages and conduct hazards mitigation research as well.

화산

  • Heo, Ju-Hui
    • The Science & Technology
    • /
    • no.2 s.405
    • /
    • pp.10-15
    • /
    • 2003
  • 우리가 사는 지구 내부에서 만물을 순식간에 녹여버릴 듯한 불덩이가 솟구치는데, 그것을 화산이라고 한다. 화산이라는 용어인 volcano는 '불의 신'이라 불리는 'vulcan'에서 유래되었다. 즉, 이 '불의 신'이 끓어오르는 '화기(火氣)'를 주체하지 못할 때 화산활동은 시작되는 것이다. 화산활동이 일어나는 지역의 원시부족들은 불을 내뿜는 화산을 '신의 분노' 혹은 '신의 저주'라고 해석한다.

  • PDF

A Study of Formation Process and Special Quality for Volcanic Cave in Che-Joo Island (제주도 화산동굴의 생성과정과 특수성 연구)

  • 이영혜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50
    • /
    • pp.35-44
    • /
    • 1997
  • 화산동굴은 흔히 용암동굴, 용암터널 등으로 불려지고 있다. 흔히 화산활동의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진 동굴인데 엄격히 구분하면 화산동굴은 용암굴, 용암수형, 화구 등으로 세분되고 있으니 그 대부분이 용암동굴이고 그 규모도 크기 때문에 화산동굴은 용암굴로 불리고 있다. 이와 같은 화산동굴은 우리나라에서는 그 대부분이 제주도에 극한 분포되고 있다.(중략)

  • PDF

오대연지의 화산호

  • 김석주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4.11a
    • /
    • pp.121-123
    • /
    • 1994
  • 오대연지는 중국 흑룡강성의 덕도현 경내에 자리잡고 있는 화산지역이다. 본 지역에는 제4기이래에 형성된 화산들이 많이 분포되여 있는데 그 중심부위에는 구슬 모양으로 된 다섯개 못이 있기에 오대연지라 한다. 본 지역의 면적은 막 800$\textrm{km}^2$ 가 되는데 지형상에서는 주로 화산추와 용암대지로 이루어져 있다. 화산의 형성시대가 다르고 자연경관이 전형적이기 때문에 국내외에서 자연적인 화산박물관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