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물수송체계

Search Result 5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Study on the Situations and Analysis of Rail Freight in Japan and Policy Implication (일본철도화물수송의 현황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 Lee, Yong-S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2 s.73
    • /
    • pp.177-193
    • /
    • 2004
  • 최근의 화물자동차파업사태 등으로 우리나라 물류체계의 경쟁력제고를 위한 여러 가지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환경친화적이며, 사회적 비용이 저렴한 철도화물의 수송분담율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 물류체계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도로운송량의 증가보다 트럭의 공급과잉으로 트럭운송사업자의 수익은 매우 낮고, 철도, 해운 등 대량운송수단의 분담율이 낮아 전체적인 수송효율성이 낮은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은 트럭의 과잉공급을 억제하고, 제조업 물류비 중 46.5%를 점하고 있는 운송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핵심적인 방안이라고 하겠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철도화물의 활성화와 우리나라의 철도구조개혁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 우리와 지형조건이 비슷하고, 1987년에 철도민영화를 시행하여 현재 16년이 경과한 일본철도화물의 현황을 분석하여, 현재까지의 문제점을 밝히고 또한 우리나라의 철도화물수송정책에 시사하는 바를 정리해 보았다. 1987년 민영화 이후 일본철도화물수송현황을 보면 영업거리, 화차대수를 포함한 수송능력 감소로 수송량은 감소하였으나, 화물수송의 장거리와 추세와 컨테이너수송량의 증가, 인력감축으로 영업성적은 전반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문제점으로는 경영면에서는 낮은 생산성 그리고 노후장비 등으로 인한 높은 설비투자비지출, 선로사용료 등의 부담 등이 지적되었다. 운영상에서는 현재 선로를 소유하지 못하여 네트워크가 부족하여 자유로운 열차편성이 어렵고, 포워더 기능이 없어 현재 전체물량의 85%를 점하는 소운송구간에서 다른 운송주체간의 수송으로 일관수송서비스에 어려움이 있으며, 직접적인 영업을 하지 못하여, 새로운 수요창출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책으로는 먼저 정부의 인프라에 명확한 책임분담과 이에 따른 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철도화물활성화의 정책수립필요성의 배경에는 철도화물수송이 효율성과 환경친화성, 높은 안전성 등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때문이다. 철도화물운송회사도 현재의 수송기능과 함께 포워더로서의 기능을 가져야 할 것이며, 운임인하노력과 속도향상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여야 할 것이다.

Development of a Behavioral Mode Choice Model for Road Goods Movement (형태요소를 적용한 화물수송수단 선택 모형의 개발)

  • 최창호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9.03a
    • /
    • pp.95-109
    • /
    • 1999
  • 기존의 추정된 화물 수요모형은 화물의 출하특성과 관련된 설명변수를 중심으로 추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수송수단 선택 과정에서 화주가 느끼는 실제의 인식 상황을 모형내에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갖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화주가 수송수단을 선택할 때 느끼는 인식상황을 모형 내에 적용시켜 수단 선택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의 188개 제조업체에서 화물자동차로 출하한 내수용 화물이며, 연구의 범위도 현실 운송체계 내에서 화주의 수단선택 행태를 설명하는 단기간의 예측으로 제한하였다. 모형추정결과 우리나라의 공로화물수송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출하중량까지를 고려한 다항로짓모형 형태이면서 인식 요소를 행태변수로 추가한 모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이에 따라 주요한 설명 변수들의 탄력성과 화주의 인식 요소에 대한 특성값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활용성 측면에서 직접 활용이 가능한 것과 잠재적인 변화를 예측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구분된다. 먼저 직접활용이 가능한 것은 수송수단과 관계된 변수들을 해석하여 얻는데, 수송비용과 수송시간에 대한 계수값의 크기와 부호, 그리고 탄력성은 정부의 정책부서나 운송인의 계획수립에 직접 적용된다. 다음으로 화주의 인식 요소는 잠재적인 변화를 예측하는데 이용되며 각 요소가 갖는 탄력성 및 특징은 운송인의 고객관리 기준이된다.

A Study on the Urban Freight TSM Techniques (도시 화물차량 TSM 기법에 관한 연구)

  • 김건영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488-495
    • /
    • 1998
  • 대도시지역은 인구와 경제활동의 밀집도가 매우 높은 지역이나 계속되는 교통혼잡의 가중에의한 신속한 물자이동의 제약과 화물작업을 위한 공간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원활한 수송활동과 물류활동을 제한하는 장애요인들이 화물의 이동에 비하여 많은 실정이다. 도시가 존속하고 생산활동, 소비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원자재, 에너지, 제품 등이 도시내·외를 통해 생산부문간과 개인·집단간에 원활한 수송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서울과 같은 대도시는 우리 나라 전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급속하게 증가하는 승용차 위주로 교통소통, 교통체계개선(TSM), 도로망 구축 등의 정책이 시행되어 왔다. 대규모 물류이동이 필수적인 서울의 남대문시장, 동대문시장, 용산전자상가 등 오래전부터 형성되어 온 도심상가지역은 굳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서울 근교 신도시에 점차 확산되고 있는 대형 할인매장 등의 유통업무지구, 대형 사무용 건물 등에 원활하고 적시의 수송지원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물류체계와 화물시스템 못지 않게 그에 따른 도로의 기하하적 구조나 화물차량을 고려한 신호체계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도시 TSM기법 중에서도 화물차량 위주의 TSM기법에 중점을 두고 대도시에 적용 가능한 도로상의 화물차량 소통기법을 연구하여 그 적용성과 기대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크게 도시외곽을 경유하는 화물차량에 관한 도시외곽 화물 TSM 기법과 도시내 통과차량 소통기법, 주·정차 및 조업차량관리기법의도시내 화물TSM 기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외곽 화물 TSM 기법의 주내용은 신호체계 개선과 도로의 기하구조 개선 등이며, 도시내 화물 TSM 기법은 화물차량의 도시내 교통소통 기법과 화물차량의 주·정차 관리 및 조업차량 관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대부분의 TSM 개선방안의 시행주체가 경찰청과 시이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의 원활한 화물교통소통을 위하여 적용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The Analysis on Competitiveness of Railroad Transport Focused on Container, Cement, Steel (컨테이너, 양회, 철강을 중심으로 한 철도의 화물수송경쟁력 분석)

  • Kim, Eun-Mi;Park, Dong-Joo;Ko, Young-Seung;Kim, Hyun-Seung;Park, Hyeong-J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2 no.5
    • /
    • pp.613-622
    • /
    • 2009
  • The modal spilt of highway has been increased and the one of railway has been decreased from 17.2%(1990) to 6.3%(2006). In this context,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competitiveness of the railroad of Ko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etitiveness of railroad with the highway so that countermeasures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railroad could be suggested. For this, firs of all, indicators represent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railroad transport are determined.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for mode choice include transport time, transport cost and level of service. Three types of commodity, container, cement and steel are the target for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competitiveness of railroad transport is weaker compared with highway even for the main freight origin-destination pairs. It means that the freight transport system is focused on road rather than railroad. Therefore, we need to remeasure the competitiveness of railroad transport related to methods for freight railroad competitiveness improvement.

A Study on Transportation Systems of Container Cargo in Busan Port (부산항 컨테이너 화물수송체계에 관한 연구)

  • 오석기;오윤표;윤칠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0.11a
    • /
    • pp.7-1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ment strategies for transportation systems of container cargo in Busan port. Therefore, it was forecasted the future container cargo demand using logistic curve formula. In 2011, container cargo demand was forecasted 8.791 million TEU(T/S including 12.559 million TEU). In order to improvement transportation systems of container cargo, this study presented following; $\circled1$ port facilities expansion, $\circled2$ diversity of container transport modes. $\circled3$ make up ICD and exclusive container roads, $\circled4$ the second Seoul-Busan Expressway.

  • PDF

A Study on Transportation Systems of Container Cargoes in Busan Port (부산항 컨테이너 화물수송체계에 관한 연구)

  • 오석기;오윤표;윤칠용
    • Journal of Korean Port Research
    • /
    • v.15 no.1
    • /
    • pp.19-2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trategies for transportation systems of container cargoes in Busan port. Therefore, container cargoes forecasting is done through logistic methods based on past trends. In 2011, container cargoes demand was forecasted 8.791 million TEU(T/S including 12.559 million TEU). In order to improve transportation systems of container cargo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circled1 port facilities expansion, \circled2 diversity of container transport modes, \circled3 make up ICD and exclusive container roads, \circled4 the second Seoul-Busan Expressway.

  • PDF

소화물 일관 수송체계 비용 최소화 연구

  • 김병종;이영혁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529-529
    • /
    • 1998
  • 운송 서비스산업에 대한 지속적인 규제완화는 운송 기업의 진입 및 퇴출을 자유롭게 하였고, 외국 기업의 국내에서의 영업 활동이 가능하게 했을 뿐 아니라, 업종간 분류를 무의미하게 하여 운송기업은 전방위 경쟁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경쟁 환경하에서 운송 기업의 효율적인 운영은 국가 물류비 절감 측면에서, 그리고 해당 기업의 사활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소화물 일관 수송은 택배 또는 특송이라 불리우는 운송 서비스업의 일종으로, 화주 한명의 화물량이 차량 한 대 분량에 못 미치고, 고객이 원하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운반해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소화물 일괄 수송은 지역을 순화하면서 화물을 접수하여 인근 터미널까지 운반하는 수집과정, 터미널과 터미널을 연결하는간선수송 과정, 터미널에서 최종 목적지까지 운반하는 배달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본 연구를 통하여 터미널과 터미널을 연결하는 간선 수송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줄이는 화물운송경로를 찾아주는 네트웍 최적화 모형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실제 업무에 적용하여 화물운송 경로를 조정함으로써 적재율 20%이상 개선, 운송비용 10%이상 절감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CO_2$ Emission and Road Freight Environmental Index for Logistics Companies (물류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도로화물환경지표 산정에 관한 연구)

  • Kim, Jong-Hyeon;Kim, Hong-Sang;Choe, Sang-Jin;Park, Seong-Gyu;Kim, Jeong;Jang, Yeong-G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9 no.2
    • /
    • pp.25-35
    • /
    • 2011
  • In order to reduce Green House Gas(GHG) reduction in the road freight sector and thus establish green logistics, running efficiency of goods vehicles is of paramount importance. Providing effectiv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can contribute to achieve the green logistics by reducing empty running of heavy goods vehicles and van, increasing the average payload on the vehicle, and shifting the transportation mode. In order to reduce the environmental impact from the road freight sector, it is essential to quantify the amount of environmental loading from the sector. However, any systematic survey on the environmental loading from the logistics companies has not been carried out in Korea. In this study, the environmental index for the road freight sector is defined as the amount of $CO_2$ emission per ton km generated from goods vehicles. The computational analysis shows that the average $CO_2$ emission per ton km generated by the logistics companies in Korea is $363g-CO_2/ton{\cdot}km$. Compared to UK (=$130g-CO_2/ton{\cdot}km$) and France (=$97g-CO_2/ton{\cdot}km$), the efficiency of logistics in Korea is 2.8 and 3.7 times as low as in the advanced countries. It also indicates that the main reasons for the low efficiency are mainly due to the high rate of empty operation of goods vehicles and the low payl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