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화면구도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4초

TV 드라마의 구도에 관한 미학적 분석 (An Aesthetic on the Visual Composition of TV Drama)

  • 싱신신;최원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9-40
    • /
    • 2019
  • TV 드라마에서 화면구도는 연출의도와 메시지를 전달하는 주요한 경로이다. 공간의 배치에 따라 시청자가 이를 인지, 해석, 수용하기 때문이다. 이에 연구자는 TV 드라마에 나타난 화면구도를 분석하여 구체화함으로써, 향후의 TV 드라마 제작과 해독에 기여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화면구도로 연구를 진행하여 미학적 근거를 찾고자 한다.

  • PDF

어린이그림책일러스트레이션의 화면구도에 따른 인지효과 연구 (A Study on the Cognition Effect as to the illustration Layout in Children's Picture Books)

  • 유동관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263-272
    • /
    • 2005
  • 그림책화면에서 구도는 조형요소들의 놓여진 위치와 배열에 따라 어린이의 심리적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이야기내용에 따른 주제와 배경의 관계, 등장인물의 움직임 등을 전달하는 시각적 진술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어린이그림책의 화면구도가 시각적 심리적으로 어린이에게 어떻게 작용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어린이의 지각발달과 지각경험이 어린이의 연령에 따라, 그리고 어린이마다 과거의 경험, 심리작용, 생리적 욕구, 감정상태, 성장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살펴보았으며, 시각적 심리적 지각은 4세에서 7세까지 전조작기에 해당하는 어린이를 발달심리학을 중심으로 선행연구자의 이론을 지각특성과 지각과정으로 접근하였다. 또한 실증조사를 통하여 분석한 내용을 조화롭고 효과적인 화면구도방식으로 유추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제작된 어린이그림책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가 제시한 결론은 일러스트레이터의 개성과 창의성이 바탕이 된 화면제작에 도움이 됨은 물론, 일러스트레이션을 배우는 학생들의 효과적인 표현방법연구와 실험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접사 사진의 주요 객체 검출 및 구도 분석 (Major Object Detection and Composition Analysis for Closed-up Pictures)

  • 이장군;이상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42-44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접사에서의 주요 객체 검출과 검출된 주요객체의 가장 최적화된 구도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대부분의 접사는 주요객체에 초점을 맞추고 배경이 되는 영역은 아웃 포커싱 기법을 사용하여 촬영한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주요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주요객체와 사진 구도의 3등분할점과 구도점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계산하여 최적의 구도라고 판단되는 화면으로 사용자를 유도한다. 제안하는 방법으로의 실험했을 때 좋은 결과를 얻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천마총 출토 죽제 천마문 금동장식 장니의 화면구도와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Image Composition 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Bamboo Mudguard with Gilt-bronze Openwork from Cheonmachong Ancient Tomb)

  • 이승렬;신용비;정원섭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1-154
    • /
    • 2016
  • 1973년 천마총에서 출토된 죽제 천마문 금동장식 장니는 대부분 온전한 형태를 갖춘 국내에는 유례가 없는 유물이다. 죽제 장니의 출토 사례는 천마총 외에도 금관총 금령총 출토품이 있으나, 모두 편으로만 존재하여 정확한 형태나 제작기법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없다. 본 고에서는 천마총에서 출토된 죽제 천마문 금동장식 장니의 화면구도와 제작기법에 대해 육안관찰과 X선형광분석(XRF), X선투과분석 등을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죽제 장니는 3등분할구조를 기본으로 방사선 형태의 중앙집중구도를 이루고 있으며, 표면을 장식한 10매의 투조금동판과 직물판, 죽제판 그리고 외연을 고정시켜주는 4매의 복륜으로 구성되어 있다. 금동판에는 다양한 세공법과 영락장식으로 표면을 장식하였고, 죽제판은 약 300개의 대오리를 사용하여 세올짜기를 바탕으로 집수를 넣어 엮음으로써 물결무늬를 표현하였다. 직물판은 2종류의 직물을 사용한 것으로 관찰되며, 가죽은 부분적으로 존재하여 판으로 제작되었는지는 확인 할 수 없었다. 각 판을 결합하기 위해서 금동원두정과 영락장식, 복륜 등을 사용하였다. 이번 조사로 금관총 금령총 출토품에 대한 기본조사와 함께 5~6세기 신라시대 죽제 장니의 대한 연구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웨스 앤더슨 감독의 영화에서 '화면 깊이감'의 활용과 미학적 함의 -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과 <문라이즈 킹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pth of the Film Image' and its aesthetic implications in the Wes Anderson's films: Focusing on the film and )

  • 최현주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3호
    • /
    • pp.343-362
    • /
    • 2016
  • 웨스 앤더슨 감독은 개성이 뚜렷한 감독으로, 화면 구성, 움직임, 조명 및 소품까지 세밀하게 고려하여 촬영하며, 그만의 독특한 방법으로 영화 세계를 구축하고 있는 감독이다. 앤더슨 감독의 영화는 '대칭적'이고 '평면적'인 영상 구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연구는 그가 평면적인 영상 구성뿐만 아니라 '깊이감있는 영상 구성'을 추구하였음을 장면 분석을 통하여 고찰하였으며, '화면의 깊이감'이 그의 영화에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은 그의 최근 대표 작품인 <문라이즈 킹덤>(2012)과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2014)을 대상으로 하였다. 웨스 앤더슨 감독은 그의 영화에서 1점 투시도법이나 Z축 블로킹과 같은 기법을 활용하여 화면의 깊은 공간감을 구사하면서도 중앙을 기점으로 완벽히 좌우대칭의 화면을 만들어낸다. 이는 일반적인 대칭구도가 지니는 평면성과 상당히 다를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화면의 깊이감'이 추구하는 현실성과도 거리가 있다. 깊이감 있게 구성된 화면이 완벽히 대칭구도를 이룸으로써 영화 속 세계가 현실 세계와는 동떨어진 세계라는 느낌을 준다. 따라서 '깊이감 있는 대칭구도'는 앤더슨 감독이 판타지 세계를 표현하는 그만의 독특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수평과 수직, 앞과 뒤로 직선적으로 움직이는 카메라 움직임을 구사하면서도 '화면의 깊이감'을 구현해내고 있다. 카메라의 움직임이 사람의 움직임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가로로 때로는 세로로 직선적으로 움직임으로써 현실 세계를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카메라워킹이 아니라 현실세계와 거리두기를 하는 것이다. 즉, 그는 현실 세계의 재현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현실 세계와 거리두기를 하면서 그만의 영화적 세계를 구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그가 보여주는 영화세계는 '동화적'이라는 단어로 표현할 수 있다. 화면 구성에서부터 카메라 움직임까지 그는 영화 속 공간을 '깊이감' 있게 구성해 내면서도, 이러한 '깊이감'을 통해 현실성을 확보하기 보다는 그의 영화 세계가 현실과는 동떨어진 판타지의 세계임을 강조하는데, 이는 동화 같은 스토리에 동화책을 보는 듯한 파스텔톤의 색감과 함께 '동화 세계'를 구축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왕초보를 위한 사진 촬영 기초강좌(4) - 사진의 완성도를 결정짓는 '구도'

  • 윤정인
    • 광학세계
    • /
    • 통권123호
    • /
    • pp.58-63
    • /
    • 2009
  • 사진을 결정하는 것은 노출, 초점, 구도 등 3가지 이다. 지난 3월호부터 조리개와 셔터속도로 적정노출을 맞추고 어두운 곳에서 셔터속도가 나오지 않을 때는 ISO(감도)를 높여서 셔터속도를 확보해 노출을 맞추자 했고, 5월호에서는 측광모드에서 측거점에 의한 초점을 맞추어 원하는 사진을 표현하고자 했다. 7월호에서는 빛의 각도를 활용해 작가가 의도하는 작품을 얻을 수 있다고 했다. 이번호에서는 사진의 완성도를 결정짓는 구도까지 공부하고 나면 노출, 초점, 구도의 3박자가 어우러져 정말 화면의 짜임새 있는 좋은 사진을 만들 수 있다. 특히 '빛'을 보는 시각까지 익혔다면 그야말로 환상의 조합이다. "세상은 악보요. 사진은 연주다." 사진가는 전체를 총괄하며 지휘해야 한다. 주제, 톤, 콘트라스트, 계조, 색상, 프레임속에 짜임새있게 사진의 요소를 배치하는 것까지... 이제부터 구도를 공부해서 나만의 오케스트라를 연주하는 지휘자가 되보자.

  • PDF

극적 내러티브의 시각적 연출 특성 연구 -<도가니>의 구도기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Visual Characteristic of Directing For Dramatic Narrative -Focusing on Composition Technique of )

  • 안병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68-79
    • /
    • 2012
  • 영화는 내러티브의 구현을 위해 다양한 기법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여 관객의 지각에 영향을 준다. 영화 형식을 구성하는 기법들은 형식적 체계로서 영화의 내용과 동기화되어 특정한 효과를 유발시켜 관객의 정서적 체험의 강도와 깊이를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시각적 내러티브의 하나인 구도미학에 관한 연구로 충격적인 실화를 재구성한 영화 <도가니 SILENCE>(2011)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치밀한 화면구성과 기법의 활용이 극대화된 영화 <도가니>의 내러티브에 적용된 구도기법을 분석해보고, 나아가 영화형식의 의미와 중요성을 제고해 보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는 영화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와 정서가 쇼트를 통해 어떻게 시각적으로 구현되는지, 나아가 구도가 서사화법으로서 어떻게 영화재 기능을 수행하는지 고찰해 보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 영상화면에 나타난 카메라의 구도적 관점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Compositional Viewpoint Of Camera Appears In Animation Picture Screen (Revolves Around Nonverbal Communication))

  • 장동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3호
    • /
    • pp.127-152
    • /
    • 2013
  • 본 논문은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의 접근방법을 통해 애니메이션작품을 카메라의 구도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수용자와 행위자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모색하기 위한 접근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내용으로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대표작 중에 하나인 '하울의 움직이는 성'을 서사구조와 영상화면 해석의 측면에서 기호학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하였다. 기호학적 분석방법으로는 시퀸스 분석, 행위주 분석, 이접 연접분석 그리고 미디어 기호학의 '숏'을 이용한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상호작용하는 부호적 특성이 관객과 작품을 연결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카메라의 구도적 관점에서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의 적용방법을 사용하여 애니메이션 영상화면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행위자, 작품, 수용자간의 소통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

애니메이션 "바다의 노래(2014)"에 나타난 평면적 스테이징 연구 (A Flat Staging Studies in the Animation "Song of the Sea(2014)")

  • 김숭현;이태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373-38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애니메이션 산업계에서 자신만의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하여 인정받고 있는 톰 무어 감독의 장편 애니메이션 <바다의 노래>에 나타나는 평면적 스테이징을 분석하여 서사구조를 위한 시각적 장치 및 영상에서 나타나는 상징과 화면 구성요소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스테이징에 대한 일반적 이론을 파악하고 <바다의 노래>에서 평면적 스테이징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장면을 추출 후 분석하며, 이를 정리하여 톰 무어 감독의 평면적 스테이징 연출 요소 및 특징을 밝히도록 한다. 그 결과 <바다의 노래>에서는 기본도형을 활용한 화면 구성과 켈트 전통문양인 나선형의 조형적 상징성을 내포한 화면 구성, 균형적 화면구도를 통한 안정적이고 평면적 프레임 표현, 역원근법을 사용한 시대적 배경 표현과 평면적 조형성을 더욱 강조할 수 있는 연출상의 특징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2차원의 평면성이 더욱 극대화되어 애니메이션 전반에 걸쳐 동화책의 삽화를 보는듯한 느낌이 강조되었다. 아일랜드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기 위해 자국의 설화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톰 무어 감독은 서사를 돕는 평면적 스테이징으로 애니메이션의 독창적인 표현성과 작품성을 높이며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가 흥행성과 작품성 모두를 만족하는 독창적이고 우수한 장편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도록 업계 종사자들 및 관련 연구자들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관폭도(觀爆圖)』를 통해 본 경관인식에 관한 기초 연구 (A Study on the Landscape Cognition through Paintings of Viewing Falls)

  • 이원호;안혜인;김재웅;김동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5-75
    • /
    • 2015
  • 관폭도를 대상으로 폭포에 대한 인식적 측면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폭포의 비율에 따라 물이 가져다주는 미감의 차이가 있는데 화면에 폭포가 20%이상 차지하는 관폭도는 폭포를 한층 더 집중시킴으로써 자연과 직접적인 교감을 통한 경관의 인식을 가져다준다. 둘째, 화면에 나타나는 폭포의 대각구도는 폭포와 폭포를 관조하는 인물이 대칭되어서 표현되어지며, 그 영향으로 조망점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또한 조선후기는 진경산수화의 영향으로 화면의 여백이 점점 없어지며 화면을 전체적으로 사용하는 전면구도가 성행하게 되는데, 이는 안정감 있는 구도로 편파구도와 중립구도로 배치함으로써 균형감과 폭포가 갖는 의미를 고조시킨다. 셋째, 조선시대 관폭도에는 원경에서 폭포를 관조하는 형태가 다수 나타났는데, 조선 후기로 갈수록 폭포와 그림 속 인물은 가까워지면서 폭포는 더 이상 관념속의 이상향이 아닌 실재하는 자연과의 직접적인 교감을 통한 미감과 미적관조를 표현하게 되었다. 넷째, 조선시대 관폭도에는 폭포를 바라보는 인물의 표현한 그림이 다수 나타났으며, 수평경, 앙감경, 부감경, 그리고 언뜻 보는 조망행동이 나타났다. 다섯째, 관폭도에 나타난 산수요소 중 바위는 폭포에 생동감을 부여해주고, 음(陰), 양(陽)으로 표현되어 폭포와 암벽의 대비로 폭포가 쏟아지는 절경을 극대화시킨다. 여섯째, 관폭도에 표현 된 식생 중 소나무가 표현된 그림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소나무는 당대 사대부들의 지조와 절개를 상징화하는 것으로 폭포의 상징성과 부합되어 자연을 초탈한 굳은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