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농성 관절염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econdary Septic Arthritis Due to Lateral Malleolar Bursitis -A Case Report- (외과 점액낭염에서 발생한 2차적 화농성 관절염 -증례보고 1예-)

  • Ji, Jong-Hoon;Kim, Weon-Yoo;Lee, Yean-Soo;Park, Sang-Eun;Ra, Ki-Hang;Kwon, Oh-Soo
    •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 /
    • v.10 no.2
    • /
    • pp.274-278
    • /
    • 2006
  • Lateral malleolar bursitis rarely progresses to septic arthritis. In our case, the 27 year old man visited due to progressive left ankle pain, despite the antibiotics treatment of lateral malleolar bursitis. 8 years ago, modified Brostrom procedure was performed owing to chronic ankle instability. Previous surgery altered anatomical structure of lateral ankle bursa, so it may cause the infection to spread to the ankle joint. We reported rare case of secondary septic arthritis caused by lateral malleolar bursitis.

  • PDF

Secondary Septic Arthritis Due to Olecranon Bursitis -A Case Report- (주두 점액낭염(olecranon bursitis)에서 발생한 2차적 화농성 관절염(septic arthritis) -증례 보고 1례-)

  • Ji, Jong-Hun;Kim, Weon-Yoo;Kim, Jin-Young;Jung, Sang-Ryoung;Kim, Ji-Chang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v.6 no.2
    • /
    • pp.167-172
    • /
    • 2003
  • Olecranon bursitis rarely Progresses to septic arthritis. In our case, the 24 year old woman was visited due to progressing right elbow pain, despite antibiotic treatment of chronic olecranon bursitis caused by elbow laceration 2 months ago. Pus draining sinus, localized heating and swelling could be seen on physical examination. Septic arthritis and pathologic fracture was diagnosed under arthroscopic examination. Arthroscopic irrigation and synovectomy for elbow joint, olecranon bursectomy and curettage of olecranon bone was done. In the operation field, the elbow and draining sinus over olecranon was communicated each other on saline irrigation test. The patient was treated for 3 weeks with intravenous antibiotics. At postoperative 4 weeks, bone graft was done. The possibility of chronic osteomyelitis and septic arthritis must be considered in a patient with chronic olecranon bursitis.

MRI of Acute Septic Arthritis of the Shoulder Joint; Correlation with Arthroscopic Findings (급성 화농성 견관절염의 자기공명영상; 관절경적 소견과의 비교 연구)

  • Seo Kyung-Jin;Cheon Sang-Ho;Seo Jae-Sung;Ko Sang-Hun;Choi Chang-Hyuk;Jeon In-Ho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v.8 no.2
    • /
    • pp.110-116
    • /
    • 2005
  • Purpose: Urgent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septic arthritis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o correlate preoperative MRI findings with arthroscopic findings in septic arthritis of the glenohumeral joint. Materials and Methods: Eleven patients with acute septic arthritis of the glenohumeral joint were treated with combination of arthroscopic lavage, debridement, and systemic antibiotics. The arthroscopic staging of infection was made based on the modified criteria of $G\"{a}chter$ and five major findings of MRI were marked in each stage of septic shoulder. Results: Bone and cartilage erosion was the end stage finding and two patients with all five positive findings had failed with arthroscopic treatment. Reactive bone marrow edema was evident in the greater tuberosity. Joint effusion, synovial thickening and soft tissue edema were rather non-specific finding and presented in all stages of septic shoulder. Conclusion: Diffuse marrow edema with metaphyseal cyst formation in the preoperative MRI implied advanced stage of septic arthritis, which may fail with arthroscopic debridement.

The Effect of Youndamsagan-tang on a Case of Septic Knee: A Case Report (용담사간탕을 투여한 화농성 슬관절염 환자의 치검 1례)

  • Kang Dae Hee;Kim Young Dal;Kim Chang Nyun;Min Ji Yeun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 /
    • v.17 no.6
    • /
    • pp.1547-1551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haracterized the effect of Youndamsagan-tang on a Case of Septic Knee. After we gave Youndamsagan-tang to a patient of septic knee, we examined not only symptom of patient but also the thickness and circumference of knee, the change of WBC, ESR, body temperature, VAS. As admission time passes, the pain, flare, swelling and movement of left-side knee joint were improved. The thickness and circumference of knee joint were decreased, and the count of WBC, ESR were decreased. And patient's pain by VAS was subsided. From the above result, administration of Youndamsagan-tang reduces the progressing of pain, flare, swelling and movement in knee joint.

Electrocautery as Adjuvant Treatment of Giant Cell Tumor (거대세포종의 보조 요법으로의 전기소작술)

  • Han, Chung-Soo;Kim, Se-Dong;Park, Sung-Hyuk;Kim, Jung-Rae;Shin, Duk-Seop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12 no.1
    • /
    • pp.15-22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nd oncological results of giant cell tumor, treated with electrocautery as an adjuvant.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47 giant cell tumors treated in both institution from 1989 to 2004, retrospectively. We treated all 47 cases with intralesional curettage and speed burring and followed electrocautery as an local adjuvant. Results: The mean follow up periods was 44 months and ranged from 12 to 180 months. The local recurrence occurred in 8 patients (17%) and one case lung metastasis was found. There was one case complication (septic knee) associated with electrocautery as an adjuvant. Conclusions: We thought electrocautery was feasible adjuvant treatment method of giant cell tumor, because it is very convenient technique, and the local recurrence rate was similar to any other methods.

  • PDF

Diagnostic Methods Used in the Bone Infections in Children (소아기 골 감염의 진단방법에 관한 조사)

  • Lee, Eun Sil;Choi, Kwang Hae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v.4 no.2
    • /
    • pp.210-217
    • /
    • 1997
  • Purpose: To prevent residual physical disability and chronic infection, prompt diagnosis and adequate treatment are important in the skeletal infections in children. Although radioisotope scanning is knwon as the method of choice for early diagnosis of bone infection, we conducted a study on twenty nine children who had skeletal infections to reevaluate the most appropriate way in diagnosis and management.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twenty nine children, who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s of Pediatrics and Orthopedic Surgery and who had acute osteomyelitis or septic arthritis, through review of medical records, radiologic & radioisotope study results. Their diagnoses were confirmed by bacteriologic cultures on the aspirated specimens from suspected bony lesions. Results: 1) Among twenty nine patients, there were 6 infants including 5 newborn infants, and 23 children were aged between 1 and 15 years. Male to female ratio was 1.4 to 1. 2) Point tenderness was noted in all cases, and the common physical signs were swelling, limitation of motion, fever and local heat in the order of frequency. 3) Fifty two percents of the patients were diagnosed within a week after onset of symptoms and all cases were within 15 days. 4) Leukocytosis was noted in only 58.6% of cases but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was increased in all cases except only one case. Staphylococcus aureus was revealed as the most common etiologic agent. 5) Radioisotope scans showed hot uptake in five of six cases(83.3%) who had no abnormal finding on plain skeletal radiolograms. Conclusions: Although radioisotope scan and MRI are helpful in early diagnosis before radiologic finding was detected on plain X-ray film, the antimicrobial therapy can be started after bacteriologic study of the aspirated specimens from the suspected skeletal lesions if skeletal infection is highly suspected clinically.

  • PDF

Congenital Bronchoesophageal Fistula of Adult in Korea (한국내 성인에서의 선천성 기관지 식도루)

  • Yum, Ho-Kee;Choi, Soo-Jeon;Kim, Dong-Soo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44 no.4
    • /
    • pp.907-913
    • /
    • 1997
  • Background : Congenital bronchoesophageal fistula(BEF) presented in adult life is a rare disorder and has characteristic clinical findings such as paroxysmal cough after water ingestion and recurrent respiratory infections. It usually manifested recurrent pneumonia and chronic cough with purulent phlegmon which was mis-or under-diagnosed as chronic bronchitis, bronchiectasis or lung abscess so forth. Methods : We reviewed retrospectively 13 cases of congenital BEF in adult of Paik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including 22 cases of congenital BEF previously reported in literature of Korea from 1979 through 1995. Results : The mean age at diagnosis was $40.2{\pm}14.3$.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x ratio(Male : Female 18 : 17). The most common symptom was cough(91.4%), followed by chronic sputum(74.3), hemoptysis(25.7), and paroxysmal nocturnal cough at specific position(20%). Twenty one of 31 patients who were able to review have the most specific sign, Ono's sign presented as paroxysmal cough after liquid ingestion. By classification of Braimbridge-Keith, Fourteen(45.1%) of 31 patients were group I (associated with esophageal diverticulum), 15(48.4%) were group II (simple fistula), and group Ill and IV was one case in each. The opening of fistula confined to right lower lobe in 26(76.5%), left lower lobe in 6(17.6%), and left main bronchus in 2(5.9%) cases. Conclusion : Congenital bronchoesophageal fistula is uncommon disorder which has characteristic histories and specific symptoms such as chronic and recurrent lower respiratory infections, and paroxysmal cough after liquid ingestion. Medical attention and careful history should be done in patients who have localized recurrent lower respiratory infections in right lower lobe.

  • PDF

Risk Factors of Catheter-related Bloodstream Infection Due to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극소저체중 출생아에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으로 인한 카테터 연관 혈류감염의 위험인자)

  • Cho, Il-Hyun;Jung, Tae-Woong;Lee, Ju-Young;Moon, Se-Na;Bin, Joong-Hyun;Lee, Hyun-Seung;Lee, Jung-Hyun;Kim, So-Young;Sung, In-Kyung
    • Neonatal Medicine
    • /
    • v.18 no.2
    • /
    • pp.288-292
    • /
    • 2011
  • Purpose: The incidenc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nfection has increased in children and in neonates, and is particularly associated with frequent use of central venous catheter in very low birth weight (VLBW) infants. It is known that the morbidity and mortality of MRSA infection are low in neonates, as compared with adul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VLBW infants that survived and those that did not, a catheter-related bloodstream infection (CRBSI) of MRSA. Methods: Thirty-four VLBW infants had laboratory-confirmed bloodstream infection with S. aureus. We examined the incidence, mortality and morbidity of CRBSI, and predi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mortality. Results: Twenty-six infants had same pathogen (24 MRSA, 2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in the blood and in the catheter tip. Eight infants (25.8%) died in the CRBSI and they all had MRSA blood infections. Sex ratio, gestational age, duration between blood col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pathogens, and WBC and platelet cou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atients that died from and patients that survived CRBSI of MRSA. C-reactive protein (CR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VLBW infants that died. Mean age of onset and hospital day was earlier (9.1${\pm}$6.6 vs. 26.9${\pm}$20.2; P=0.005) and shorter for patients that died (10.1${\pm}$7.0 vs. 73.0${\pm}$32.4; P=0.000). Two survivors had complications of pyogenic arthritis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soft tissue infection, respectively. Conclusion: Mortality of CRBSI was likely to be high in VLBW infants and might be anticipated by CRP and early onset of disease.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8 no.2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