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홍화 황색소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7초

홍화 황색소의 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한 염착성 증진 (Improving Dyeability of Safflower Yellow Colorants on Cellulose Fibers)

  • 신윤숙;조아랑;류동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754-1760
    • /
    • 2007
  • 홍화 황색소의 면, 마, 레이온과 같은 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한 염착량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키토산 전처리를 행하였다. 키토산 전처리가 염착성, 색상, 염색견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섬유 종류에 관계없이 키토산 전처리는 염착성을 증진시켰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계속 증가하였다. 2% 처리농도에서 미처리와 비교할 때 면은 5.6배, 모시는 7.2배, 레이온은 3.7배 염착량이 증가하였다. 키토산 전처리한 면과 모시는 YR 색상에서 Y 색상으로 변화하였으며, 레이온의 경우에는 전처리와 상관없이 Y 계열의 색상을 보였다. 키토산 전처리에 의해 색상은 노란색이 강하여졌으며 더 진하고 깊은 색상으로 변하였다. 키토산 전처리 직물은 염색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였는데 공통적으로 50, $70^{\circ}C$에서는 YR 색상을 30, $90^{\circ}C$에서는 Y 색상을 나타냈다. 염색온도가 높을수록 색상은 진하고 칙칙하였다. 세탁견뢰도는 아주 낮았으며, 일광에 매우 약한 홍화 황색소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일광견뢰도는 양호한 편이었다. 기존의 자동 염색기로 염색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초음파 염색법이 면과 모시의 염착량을 30% 이상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레이온의 경우, 두 방법간의 염착량 차이는 없었다.

홍화종실분말 첨가 유과의 관능적.기계적 특성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Yukwa Added Safflower Seed Powder)

  • 박금순;이계순;신영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88-1094
    • /
    • 2001
  • 유과의 팽화도는 홍화종실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기름흡수율은 반면에 홍화종실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아졌다. 유과의 수분함량은 홍화종실 분말 5%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나 흥화종실 분말의 섬유소가 유과의 이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의 기호도 측정에서 외관의 기호도와 맛의 기호도는 홍화종실 분말 1% 첨가군이 가장 좋다고 평가하였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평가되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홍화분말 1% 첨가군을 가장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이 그 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색도측정 결과 명도 L값은 홍화종실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한 반면 적 색도 a값과 황색도 b값은 증가하였다. 조직감 측정에서 경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응집성은 1%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관능검사와 기계적 검사의 상관관계에서 경도와 부서짐성이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화학적 검사와 기계적 검사의 상관관계에서는 팽화도가 높을수록 응집성과 탄력성이 높았고. 지방흡수율과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껌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흥화분말 1% 첨가군의 품질특성이 가장 높게 평가되어 유과 제조시 홍화종실 분말의 첨가량은 1%정도가 적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

Monascus anka Y7이 생성하는 황색소의 항균 특성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Yellow-Pigment Produced by Monascus anka Y7)

  • 이호재;박미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38-342
    • /
    • 2002
  • Monascus anka Y7이 생성하는 황색소의 항균활성 특성을 규명하였다. Y7의 조황색소는 그람 양성균보다 그람 음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Candida 등과 같은 효모에 대해서도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특히 황색소의 항균성분 중 TLC로 분리한 E2 분획은 E.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이 크며 373 nm에서 주된 흡광 특성을 보이고 있고 흡수 파장 범위가 장파장 부위로 넓어져 있어 외관상 진한 밝은 황색을 나타내는 형광색소이다. Y7의 조색소 및 각 TLC 분획의 HPLC분석 결과 citrinin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는 Y7의 항균 특성이 최근 Monascus 색소에서 안전성의 논란이 되고 있는 citrinin과는 무관한 것을 의미한다. 한편 E2 분획을 주로하는 조황색소는 식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황색소인 치자황색소, 아나토색소, 홍화색소보다 황색도(b/a)가 매우 높고 이들 색소와 유사한 색조를 나타내므로 항균성을 보유한 대체 황색소로서의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파종기 추동 및 질소비료수준차이가 홍화의 생육,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ifting Planting - time and Different Nitrogen Level on the Yield and Characteristics of Plant Growth i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 박종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6-102
    • /
    • 1981
  • 본 실험은 홍화에 대한 파종기 7수준(3월 17일부터 5월 16일까지 10일 간격)과 질소 비료 5개 수준(무배비, 0.5배비, 표준비, 1.5배비 및 2배비)으로 각각 파종하여 알맞는 파종 적기 및 시비량 수준에 따른 형질간의 변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상지대학 농학과 실습 포장에서 실시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율은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되고 발아세는 파종기가 늦어질 수록 증가하였다. 발아 최감기는 위의 결과와 반대로 반종기가 늦어질수록 단축되였다. 발아 소요 기간도 파종기가 늦어갈 수록 단축되었다. 2.초장, 분지수, 치경에서도 파종기가 늦어질 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 수록 초장 및 분지수는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3. 꼬투리와 1,000입중도 파종기가 지연될수록 감소되었고 1,000입중은 파종기가 이를 수록 무거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질소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꼬뚜리수와 수량에서토 현저한 증가를 보여 주었다. 4. 파종기 차이에 따른 등황색 및 등홍색 꽃의 중량은 4월 상순 파종구가 가장 무거웠다. 그러나 질소 시비량의 증가는 개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5. 본 실험의 결과로서 파종 적기는 4월 상순이라고 믿어졌고 홍화 재배에서는 다비의 효과가 있는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