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홍채 카메라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Iriscode Extraction for Iris Recognition in Cellular Phone (휴대폰 환경에서의 홍채 인식을 위한 홍채 코드 추출에 관한 연구)

  • Jung, Dae-Sik;Park, Kang-R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813-816
    • /
    • 2005
  • 최근 휴대폰의 활용 범위는 단순히 사용자간의 통신이라는 기본적인 목적을 넘어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중 휴대폰에 카메라를 탑재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혼합한 휴대폰은 최근 각광을 받고 있으며 휴대폰에 탑재된 카메라의 기능은 디지털 카메라의 메가 픽셀 급 화질을 제공하는 정도의 수준으로 발전하였으며 이미 그 수요는 대중화되어 가고 있다. 이런 카메라 폰을 응용한 연구 분야로 생체 인식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휴대폰 환경에서의 홍채 인식을 위한 홍채 영역에서의 홍채 코드 추출에 관한 방법을 제안한다. 휴대폰에서의 홍채 인식에 사용되는 홍채 코드 추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폰 카메라를 통해 얻은 메가 픽셀 급 영상($2048{\times}1536$ pixel 8bit gray Image)에서 동공위치 추적 & 홍채 영역 추출 알고리즘[1]을 이용하여 눈 영상($640{\times}480$ pixel 8bit gray Image))을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눈 영상 중에 홍채 코드 인식 에러율을 좀더 낮추기 위해 눈썹영역, 안경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Specular Reflection), 눈꺼풀 영역을 눈 영역에서 제거 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얻어진 홍채 영상에 그대로 극좌표 가버 필터[2]를 씌워 홍채 코드를 추출해내기 때문에 기존 보간법을 이용한 스트레칭 된 홍채 영상에서의 홍채 코드 추출보다 잘못된 홍채 코드 정보를 줄일 수 있으며 휴대폰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의 홍채 코드 추출이란 점을 고려하여 가버 필터를 고주파와 저주파로 나누어 미리 설계해두어 좀더 빠르고 정확한 홍채 코드를 추출해 내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기존 방식보다 극좌표 가버 필터를 사용한 홍채 코드 추출 실험에서 보다 높은 인식률을 보였다.

  • PDF

Development of High Resolution Iris Camera Module using IoT Device (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고해상도 홍채 카메라 모듈 개발)

  • Seo, Jin-beom;Cho, Young-b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4 no.3
    • /
    • pp.371-377
    • /
    • 2020
  • Currently used iris cameras are expensive and have many limitations in their use. Existing iris cameras are inconvenient in interworking with newly developed software, and light reflections generated during iris photography are inadequate for medical use.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utilize the existing camera to take an image by yourself. In this paper, the iris camera is newly constructed so that the iris can be photographed by ourselves and the area of interest can be seen well. Anyone can easily wear glasses-type iris cameras to acquire images using IoT devices, and the acquired images are linked to the iris analysis program and used to read genetic weak parts. The proposed iris camera module automatically provides light reflection, shake, and accurate focus when capturing images, increasing the accuracy of image analysis to 91.49%. In addition, we have proved through experiments that one image processing time is fast as 0.007ms due to accurate image input.

Three dimensional feature extraction of iris images for biometrics (생체 인식을 위한 홍채 영상에서의 3차원 특징 추출)

  • 김석민;김재한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11a
    • /
    • pp.309-312
    • /
    • 2003
  • 기존 홍채 인식 시스템의 접안식 영상 획득상 불편한 사항을 해결하고 인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원격으로 영상을 획득할 수 있어야 하며, 홍채의 경계선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기존 홍채 영역 검출 방법의 문제점인 홍채를 원으로 가정하는 방식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조명에 의한 glint 정보와 intensity gradient를 이용하여 홍채의 경계를 산출하였으며, 아울러 스테레오스코픽 카메라를 이용하여 홍채 경계의 3차원 좌표를 획득함으로써, 카메라를 기준으로 하는 홍채의 주시각을 찾아 홍채의 원형 변환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Iris Image Restoration Using Focus Value of Iris Image (영상의 초점값을 이용한 홍채 영상 복원 연구)

  • Kang, Byung-Jun;Park, Kang-R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781-784
    • /
    • 2005
  • 홍채 인식은 동공과 흰자위 사이에 존재하는 도넛 모양의 홍채 패턴(Iris pattern)을 이용하여 자신인지 타인인지 판별하는 매우 신뢰도가 높은 생체인식기술 가운데 하나이다. 홍채 인식은 홍채 영상의 홍채 패턴으로부터 홍채 코드(Iris code)를 추출하여 인식하기 때문에 좋은 질의 홍채영상을 취득하는 것은 정확한 홍채 인식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홍채 영상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가 초점(focus)이다. 초점이 맞지 않아 흐려진(blurring) 영상은 홍채 인식에서 자신임에도 불구하고 타인으로 인식하는 FRR(false reject error)를 증가시킨다. 홍채 인식 시스템의 카메라는 고정 초점 방식과 가변 초점 방식이 있다. 고정 초점 방식은 초점렌즈가 고정되어 있어서 초점이 맞지 않는 영상을 취득할 경우 사용자에게 다시 요구하여 입력받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한다. 가변 초점 방식은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초점렌즈를 움직여서 초점이 잘 맞은 선명한 영상을 얻는다. 하지만, 초점렌즈를 움직이기 위해서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와 초점렌즈를 움직이는 모터등과 같은 부가 장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카메라의 부피가 커지고,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므로 본 논문은 고정 초점 카메라를 사용하여 부가 장비 없이 홍채 영상 복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초점이 맞지 않아 흐려진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초점값을 이용하여 열화(degradation)의 정도를 판단하였으며, 초점값(focus value)에 따라 점확산함수(point spread function)를 설계하여 홍채영상을 복원하였다.

  • PDF

A Study on Iris Image Restoration Based on Focus Value of Iris Image (홍채 영상 초점 값에 기반한 홍채 영상 복원 연구)

  • Kang Byung-Jun;Park Kang-Ryou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3 no.2 s.308
    • /
    • pp.30-39
    • /
    • 2006
  • Iris recognition is that identifies a user based on the unique iris texture patterns which has the functionalities of dilating or contracting pupil region. Iris recognition systems extract the iris pattern in iris image captured by iris recognition camera. Therefore performance of iris recognition is affected by the quality of iris image which includes iris pattern. If iris image is blurred, iris pattern is transformed. It causes FRR(False Rejection Error) to be increased. Optical defocusing is the main factor to make blurred iris images. In conventional iris recognition camera, they use two kinds of focusing methods such as lilted and auto-focusing method. In case of fixed focusing method, the users should repeatedly align their eyes in DOF(Depth of Field), while the iris recognition system acquires good focused is image. Therefore it can give much inconvenience to the users. In case of auto-focusing method, the iris recognition camera moves focus lens with auto-focusing algorithm for capturing the best focused image. However, that needs additional H/W equipment such as distance measuring sensor between users and camera lens, and motor to move focus lens. Therefore the size and cost of iris recognition camera are increased and this kind of camera cannot be used for small sized mobile device. To overcome those problems, we propose method to increase DOF by iris image restoration algorithm based on focus value of iris image. When we tested our proposed algorithm with BM-ET100 made by Panasonic, we could increase operation range from 48-53cm to 46-56cm.

휴대폰에서의 홍채인식 연구

  • 박강령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3 no.1 s.260
    • /
    • pp.35-45
    • /
    • 2006
  • 최근 휴대폰에서 개인 정보 보안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생체인식 기능을 내장한 휴대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기기에 홍채인식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하다. 기존의 홍채인식 알고리즘은 인식을 위해 확대된 홍채영상을 사용하여 처리하였고, 이러한 홍채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 고 배율의 줌 렌즈(zoom lens)와 초점 렌즈(focus lens)를 사용하였다. 그런데, 휴대폰에서의 홍채인식을 시도하기 위해 줌렌즈와 초점렌즈를 장착하게 되면 가격이 상승하고 부피가 증가되어, 작고 휴대하기 편리한 휴대폰의 특징에 맞지 않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러나 최근 휴대폰의 멀티미디어 기기 융복합 추세로 인해 휴대폰 내에 장착된 메가 픽셀 카메라(Mega-pixel Camera)의 성능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고 배율의 줌, 초점 렌즈 없이도 확대된 홍채영상의 획득이 가능하게 되었다. 즉, 메가 픽셀 카메라 폰을 사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원거리에서 취득한 얼굴영상에서 홍채 영역이 홍채인식을 위해 충분한 픽셀정보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입력 얼굴영상에서 눈 영역을 먼저 찾는 과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얼굴영상에서 각막에 의해 반사되는 조명 반사광을 기반으로 휴대폰에서의 홍채인식을 위한 고속 동공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입력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밝기와 대조 값을 조정하여 동공의 검은 영역과 조명 밝은 반사 위치를 추출함으로써, 정확한 홍채 영역을 보다 빠르고 쉽게 추출할 수 있는 방법 역시 제안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휴대폰에서 홍채 인식의 경우 손으로 들고 사용하므로, 손 흔들림에 의한 영상 흐림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영상 복원 기법을 적용하여 흐려진 홍채 영상을 복원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휴대폰의 경우 실외에서 사용이 빈번함으로, 입력 홍채 영상에서 태양광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홍채 인식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 역시 소개하고자 한다.

  • PDF

Iris Feature Extraction barred on Wavelet Transform (웨이블릿 변환을 기반으로 하는 홍채 특징 추출)

  • 기균도;이일병;변영철;이관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382-38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홍채의 특징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접근 방법으로서, 웨이블릿 기반의 다해상도 분석 기법을 홍채영상에 적용한 결과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입력장치인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사람의 눈 영상에서 처리 대상인 홍채영역 만을 분리 추출한 후, 홍채 특징을 압축적이고 효과적으로 표상하기 위하여 2D 다해상도 웨이블릿 변환을 홍채영상에 적용하는 기법과 실제적인 응용을 위하여 등록된 데이터와 미지의 데이터 사이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효율적인 기법을 연구한다. 이러한 기법들을 홍채 인식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처리속도 및 인식률 향상 등으로 고성능의 홍채인식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a Low-Resoltuion Iris Image into a High-Resolution One Based on Multiple Multi-Layered Perceptrons (다중 다층 퍼셉트론을 이용한 저해상도 홍채 영상의 고해상도 복원 연구)

  • Shin, Kwang-Yong;Kang, Byung-Jun;Park, Kang-Ryoung;Shin, Jae-Ho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3 no.3
    • /
    • pp.438-456
    • /
    • 2010
  • Iris recognition uses a unique iris pattern of user to identify person. In order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iris recognition, it is reported that the diameter of iris region should be greater than 200 pixels in the captured iris image. So, the previous iris system used zoom lens camera, which can increase the size and cost of system. To overcome these problems, we propose a new method of enhancing the accuracy of iris recognition on low-resolution iris images which are captured without a zoom lens. This research is novel in the following two ways compared to previous works. First, this research is the first one to analyze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iris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decrease of the image resolution by excluding other factors such as image blurring and the occlusion of eyelid and eyelash. Second, in order to restore a high-resolution iris image from single low-resolution one, we propose a new method based on multiple multi-layered perceptrons (MLPs) which are trained according to the edge direction of iris patterns. From that, the accuracy of iris recognition with the restored images was much enhance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iris images down-sampled by 6% compared to the original image were restored into the high resolution ones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the EER of iris recognition was reduced as much as 0.133% (1.485% - 1.352%) in comparison with that by using bi-linear interpolation

Design of Image Recognition Module for Face and Iris Area based on Pixel with Eye Blinking (눈 깜박임 화소 값 기반의 안면과 홍채영역 영상인식용 모듈설계)

  • Kang, Mingoo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8 no.1
    • /
    • pp.21-26
    • /
    • 2017
  • In this paper, an USB-OTG (Uiversal Serial Bus On-the-go) interface module was designed with the iris information for personal identification. The image recognition algorithm which was searching face and iris areas, was proposed with pixel differences from eye blinking after several facial images were captured and then detected without any activities like as pressing the button of smart phone. The region of pupil and iris could be fast involved with the proper iris area segmentation from the pixel value calculation of frame difference among the images which were detected with two adjacent open-eye and close-eye pictures. This proposed iris recognition could be fast processed with the proper grid size of the eye region, and designed with the frame difference between the adjacent images from the USB-OTG interface with this camera module with the restrict of searching area in face and iris location. As a result, the detection time of iris location can be reduced, and this module can be expected with eliminating the standby time of eye-open.

A Study on Quality Checking of Iris Images (효율적인 홍채 영상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김귀주;기균도;이관용;이일병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604-60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홍채인식 시스템에서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고정 초점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평가하여 인식과정에서 효과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는 영상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획득된 영상이 여과 없이 사용되는 경우 홍채 인식 시스템의 신뢰도 및 성능 저하의 중요 요인으로 작용됨으로 인식 부적합 영상의 몇 가지 형태를 기준으로 영상 판별과정을 거친 후 인식 과정에 영상을 제공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영상 평가 방법은 실제 홍채 인식 시스템에 적용한 결과 시스템의 신뢰도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