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홍채인식

Search Result 21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echnologies Trends for Iris Recognition at a Distance (원거리 홍채인식 기술 동향)

  • Ko, J.G.;Yoo, J.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3
    • /
    • pp.67-75
    • /
    • 2013
  • 홍채인식 기술은 개인의 신체적 특징들 중에서 고유한 특징을 가진 홍채 정보를 이용하여 사람을 인식하는 기술이다. 높은 인식 성능을 가지는 기술이지만 사용자의 적극적 협조를 요구하는 불편함과 같이 해결해야 할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홍채 정보를 획득하고 인식하는 원거리 홍채인식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원거리 홍채인식 기술은 수 미터 이상의 거리에서 비강압적 방식으로 홍채영상을 획득하여 인식하는 기술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원거리 홍채인식 기술의 현황 및 관련 이슈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 Fast Iris Identification System for Mobile Device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고속의 홍채인식 시스템)

  • Hong, Sung-Min;Lee, Yoon-Seok;Moon, Sung-Rim;Wee, Young-Cheul;Kim, Do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505-508
    • /
    • 2006
  • 홍채인식 시스템은 홍채영역 검출, 홍채특징 코드 생성, 그리고 홍채코드 비교 판단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존의 논문이나 연구들의 대부분은 앞에서 나열한 홍채인식 시스템의 과정의 일부만을 수정하여 성능개선, 즉 인식속도 향상과 인식률 향상 등을 꾀하였다. 이에 반해, 본 논문에서는 홍채인식 과정 전체의 개선을 통하여, 획기적으로 홍채인식 시간을 단축시키는 홍채인식 방법을 제안 하였다. Hough Transform과 Vertical & Horizontal Histogram을 사용한 홍채영역 검출, gradient를 사용한 홍채코드 생성, 그리고 variance를 이용하는 홍채코드의 비교와 판단 과정을 빠르고 단순한 알고리즘으로 구성하여, 홍채인식 속도를 개선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홍채인식 시스템의 성능을 실험한 결과, mobile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사용 할 수 있는 속도와 기존 홍채인식 시스템과 비슷한 홍채인식률을 나타내었다.

  • PDF

휴대폰에서의 홍채인식 연구

  • 박강령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3 no.1 s.260
    • /
    • pp.35-45
    • /
    • 2006
  • 최근 휴대폰에서 개인 정보 보안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생체인식 기능을 내장한 휴대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기기에 홍채인식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하다. 기존의 홍채인식 알고리즘은 인식을 위해 확대된 홍채영상을 사용하여 처리하였고, 이러한 홍채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 고 배율의 줌 렌즈(zoom lens)와 초점 렌즈(focus lens)를 사용하였다. 그런데, 휴대폰에서의 홍채인식을 시도하기 위해 줌렌즈와 초점렌즈를 장착하게 되면 가격이 상승하고 부피가 증가되어, 작고 휴대하기 편리한 휴대폰의 특징에 맞지 않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러나 최근 휴대폰의 멀티미디어 기기 융복합 추세로 인해 휴대폰 내에 장착된 메가 픽셀 카메라(Mega-pixel Camera)의 성능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고 배율의 줌, 초점 렌즈 없이도 확대된 홍채영상의 획득이 가능하게 되었다. 즉, 메가 픽셀 카메라 폰을 사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원거리에서 취득한 얼굴영상에서 홍채 영역이 홍채인식을 위해 충분한 픽셀정보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입력 얼굴영상에서 눈 영역을 먼저 찾는 과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얼굴영상에서 각막에 의해 반사되는 조명 반사광을 기반으로 휴대폰에서의 홍채인식을 위한 고속 동공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입력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밝기와 대조 값을 조정하여 동공의 검은 영역과 조명 밝은 반사 위치를 추출함으로써, 정확한 홍채 영역을 보다 빠르고 쉽게 추출할 수 있는 방법 역시 제안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휴대폰에서 홍채 인식의 경우 손으로 들고 사용하므로, 손 흔들림에 의한 영상 흐림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영상 복원 기법을 적용하여 흐려진 홍채 영상을 복원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휴대폰의 경우 실외에서 사용이 빈번함으로, 입력 홍채 영상에서 태양광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홍채 인식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 역시 소개하고자 한다.

  • PDF

Feature Extraction Methods using Iris Region Segmentation for Iris Recognition (홍채인식을 위한 홍채영역 분할 특징추출 방법)

  • Eun, In-Ki;Lee, Kwa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c
    • /
    • pp.432-435
    • /
    • 2007
  • 본 논문은 신원확인 수단으로 부각되어 관심이 높은 홍채인식에 대한 연구이다 홍채인식 시스템의 경우 홍채영역에 따라 각 영상들의 특징 값이 차지하는 비중이 서로 다르게 분포되어 있고 눈썹이나 조명에 의한 잡음으로 인하여 인식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이 경우 기존에 등록되어 인증된 사용자의 홍채영상일지라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인증에 실패할 수 있으며, 실세계에서의 홍채영역 사용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단일 생체인식 시스템에서 홍채인식을 할 경우, 중요한 특징을 그대로 유지하고 인식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획득된 홍채 영상의 정규화와 전처리 과정을 거친 다음 홍채영역을 분할한 후 각 영역에서의 보정치 적용을 통한 특징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웨이블릿 변환과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인식 성능이 개선된 특징추출 방법임을 보인다.

  • PDF

Human Iris Recognition Using Wavelet Transform And Multi-Dimensions Winner Decision Competitive Neural Network (웨이블렛 변환과 다차원 승자 결정 방식의 경쟁학습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홍채인식)

  • 조성원;성혁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8.10a
    • /
    • pp.341-345
    • /
    • 1998
  • 본 논문은 웨이블렛 변환과 제안된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홍채인식에 대한 연구이다. 인간의 생물학적 특징중에 최근 각광받는 특징인 홍채로 신원확인 시스템을 구현함을 목적으로 고신뢰도의 홍채인식 시스템을 개발중이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신원확인을 위한 여러 가지 인식 시스템 중 홍채인식의 특성과 비교 우위적 장점을 소개하고, 경쟁학습 신경회로망에서의 효과적인 가중치 초기화 방법과 승자결정 방법에 관한 연구에 대한 실험결과를 소개한다.

  • PDF

Human Iris Recognition Using Gabor Transform and Neural Network (Gabor 변환과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홍채인식)

  • 조성원;성혁인;이필주;임철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7.10a
    • /
    • pp.397-401
    • /
    • 1997
  • 본 논문은 신경회로망과 Gabor변환을 홍채인식에 대한 연구이다. 현재 재발되고 있는 신원확인을 위한 여러 가지 인식 시스템 중 홍채인식의 특성과 비교우위적 장점을 소개하고, LVQ 신경회로망을 효과적인 초기화 방법과 Gabor변환을 이용한 홍채테이터의 특징추출에 대하여 논한다.

  • PDF

A Study on Iris Image Restoration Using Focus Value of Iris Image (영상의 초점값을 이용한 홍채 영상 복원 연구)

  • Kang, Byung-Jun;Park, Kang-R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781-784
    • /
    • 2005
  • 홍채 인식은 동공과 흰자위 사이에 존재하는 도넛 모양의 홍채 패턴(Iris pattern)을 이용하여 자신인지 타인인지 판별하는 매우 신뢰도가 높은 생체인식기술 가운데 하나이다. 홍채 인식은 홍채 영상의 홍채 패턴으로부터 홍채 코드(Iris code)를 추출하여 인식하기 때문에 좋은 질의 홍채영상을 취득하는 것은 정확한 홍채 인식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홍채 영상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가 초점(focus)이다. 초점이 맞지 않아 흐려진(blurring) 영상은 홍채 인식에서 자신임에도 불구하고 타인으로 인식하는 FRR(false reject error)를 증가시킨다. 홍채 인식 시스템의 카메라는 고정 초점 방식과 가변 초점 방식이 있다. 고정 초점 방식은 초점렌즈가 고정되어 있어서 초점이 맞지 않는 영상을 취득할 경우 사용자에게 다시 요구하여 입력받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한다. 가변 초점 방식은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초점렌즈를 움직여서 초점이 잘 맞은 선명한 영상을 얻는다. 하지만, 초점렌즈를 움직이기 위해서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와 초점렌즈를 움직이는 모터등과 같은 부가 장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카메라의 부피가 커지고,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므로 본 논문은 고정 초점 카메라를 사용하여 부가 장비 없이 홍채 영상 복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초점이 맞지 않아 흐려진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초점값을 이용하여 열화(degradation)의 정도를 판단하였으며, 초점값(focus value)에 따라 점확산함수(point spread function)를 설계하여 홍채영상을 복원하였다.

  • PDF

Multi-Modal Biometrics Recognition Using the Iris Recognition and Face Recognition (홍채인식과 얼굴인식을 이용한 다중생체인식)

  • You, Byoung-Jin;Go, Hyoun-Joo;Kwon, Man-Jun;Chun, Myu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427-430
    • /
    • 2005
  • 본 연구는 기존 단일 생체인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중생체인식(Multi-Modal Biometrics Recognition)기법을 연구한 것으로, 홍채영상을 이용한 홍채인식과 얼굴영상을 이용한 얼굴인식을 융합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 보았다. 이에, CBNU 홍채 영상데이터를 사용한 홍채인식은 Gabor Wavelet과 FLDA(Fuzzy Linear Discriminant Analysis)를 이용하였으며, FERET 얼굴영상데이터를 사용한 얼굴인식도 FLDA를 이용하여 패턴의 특징을 추출하고 matching에 따른 score를 각각 획득한다. 얻어진 두 score 값에 대하여 다양한 균등화과정을 사용해 보았으며, 다중생체인식 융합방법중 하나인 Weight sum rule을 적용하여 인식률을 얻었다. 또한, 단일 생체인식의 경우보다 좋은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기 위해 FRR과 FAR등의 인식률 평가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기존 단일생체인식 방법보다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f Security Vulnerability of Iriscode (홍채코드의 보안 취약성에 대한 연구)

  • Youn, Soung-Jo;Anusha, B.V.S;Kim, Gy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193-195
    • /
    • 2018
  • 홍채코드는 홍채의 정보를 이진코드로 표현함으로써 홍채정보를 보호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현재 홍채인식 시스템에서 표준으로 채택된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1-D 가버 필터를 사용하여 홍채 코드로부터 역공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홍채영상을 복원하고, 복원된 홍채 영상과 기존의 홍채영상의 인식 결과를 통해 홍채 인식에 대한 취약성을 연구한다.

A Feature Extraction Method in Iris Image for Biometrics (생체인식을 위한 홍채영상의 특징 추출)

  • Kim Sin-Hong;Cho Yong-Hwan;Kim Tae-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5 no.5
    • /
    • pp.59-64
    • /
    • 2005
  • The biometrics of iris is a very accurate authentication method. The biometrics of iris can recognize and identify a person for shortly. But the image of iris is changed by transformation of body in the life. The existing iris authentication system has problem that can be mis-recognized. In this paper, we proposed and implemented Renewable Iris Authentication Algorithm(RIAA) for biometrics in authentication system. This algorithm tries to present a new way to people identification, we show contour line when shift take photograph in regular side. Namely, it generate iris code based on boundary of projection or submergence side and compared to original, so that it describes iris identification method to people identif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