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홍수정보제공

Search Result 368,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A Study on the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f Bridge Construction Projects (교량 공사 프로젝트의 정량적 리스크 평가에 관한 연구)

  • Ahn, Sung-J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0 no.1
    • /
    • pp.83-91
    • /
    • 2020
  • The recent bridge construction projects is demanded more sophisticated risk management measures and loss forecasts to brace for risk losses from an increase in the trend of bridge construc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isk factors that caused the loss of material in actual bridge construction and to develop a quantified predictive loss model, based on the past record of insurance payment by major domestic insurance companies for bridge construction projects. For the development of quantitative bridge construction loss model, the dependent variable was selected as the loss ratio, i.e., the ratio of insurance payout divided by the total project cost, while the independent variable adopted 1) Technical factors: superstructure type, foundation type, construction method, and bridge length 2) Natural hazards: typhoon and flood 3) Project information: construction period and total project cost. Among the selected independent variables, superstructure type, construction method, and project period were shown to affect the ratio of bridge construction lo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government agencies, bridge construction design and construction and insurance companies with the quantitative damage prediction and risk assessment services, using risk indicators and loss prediction functions derived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nd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future basic bridge risk assessment development research.

A Study on Vector-based Converting Method for Hydrological Application of Rainfall Radar Image (레이더 영상의 수문학적 활용을 위한 벡터 변환방법 연구)

  • Jee, Gye-Hwan;Oh, Kyoung-Doo;An, Won-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7
    • /
    • pp.729-741
    • /
    • 2012
  • Among the methods of precipitation data acquisition, a rain gauge station has a distinctive advantage of direct measurement of rainfall itself, but multiple stations should be installed in order to obtain areal precipitation data required for hydrological analysis. On the other hand, a rainfall radar may provide areal distribution of rainfall in real time though it is an indirect measurement of radar echoes on rain drops. Rainfall radars have been shown useful especially for forecasting short-term localized torrential storms that may cause catastrophic flash floods. CAPPI (Constant Altitude Plan Position Indicator), which is one of the several types of radar rainfall image data, has been provided on the Internet in real time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It is one of the most widely available rainfall data in Korea with fairly high level of confidence as it is produced with bias adjustment and quality control procedures by KM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mproved way to extract quantitative rainfall data applicable to even very small watersheds from CAPPI using CIVCOM, which is a new image processing method based on a vector-based scheme proposed in this study rather than raster-based schemes proposed by other researchers. This study shows usefulness of CIVCOM through comparison of rainfall data produced by image processing methods including traditional raster-based schemes and a newly proposed vector-based one.

Effects of Growth and Flowering on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by Nitrogen Fertilization (질소 시비량이 바위솔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 Lee, Chang-Woo;Jeon, Seung-Ho;Kim, Hong-Young;Shin, Sung-Cheol;Kang, Jin-Ho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15 no.6
    • /
    • pp.429-433
    • /
    • 2007
  • Shoot weight of Orostachys japonicus should determine its profitability.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 effect of nitrogen (N) fertilization level (0, 5, 10, 20kg/10a) on its growth,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flowering. Night-break treatment of 2 hours at midnight were done since Aug. 25 when afterward samples were taken every 4 weeks to Nov. 16. Growth, morphological and flowering related characters were measured from each sample. Plant height, inflorescence length, number of leaves including bracts and stem diameter were decreased with increased N levels. Leaf and bract, floret, shoot and total dry weights as well as withering rate showed similar response to the above morphological characters. Florets were less formed with increased N levels but were not flowered due to the night-break treatment, meaning that N fertilization had little effect on its growth and anthesis of the florets.

Study for implementation of smart water management system on Cisangkuy river basin in Indonesia (인도네시아 찌상쿠이강 유역의 지능형 물관리 시스템 적용 연구)

  • Kim, Eugene;Ko, Ick Hwan;Park, Chan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69-469
    • /
    • 2017
  • 기후 변화 및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물부족 국가가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집중형 강우의 형태가 많아짐에 따라 홍수피해 및 상수공급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최근 20여 년간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도시화 과정에서 인도네시아는 인구와 산업의 과도한 도시집중으로 지난 1960-80년대 한국이 산업화 과정에서 겪었던 것보다 훨씬 심각한 환경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자카르타와 반둥을 포함하는 광역 수도권 지역의 물 부족과 수질 오염, 환경문제가 이미 매우 위험한 수준에 도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찌따룸강 중상류에 위치한 인도네시아 3대 도시인 반둥시는 고질적인 용수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 2010년 현재 약 일평균 15 CMS의 용수가 부족한 상황이며, 2030년에는 지속적인 인구증가로 약 23 CMS의 용수가 추가로 더 필요한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용수공급 문제 해결을 위해 반둥시 및 찌따룸강 유역관리청은 댐 및 지하수 개발, 유역 간 물이동 등의 구조적인 대책뿐만 아니라 비구조적인 대책으로써 기존 및 신규 저수지 연계운영을 통한 용수이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해당유역의 용수공급 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비구조적인 대책의 일환으로써 다양한 댐 및 보, 소수력 발전, 취수장 등 유역 내 수리 시설물의 운영 최적화를 위한 지능형 물관리 시스템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지능형 물관리 시스템은 센서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 기술을 바탕으로 시설물 및 운영자, 유관기관 간의 양방향 통신을 통해 유기적인 상호연계 체계를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유역의 수문상황과 시설물의 운영현황, 용수공급 및 수요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수요에 따른 즉각적인 용수공급량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 및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통해 개별 물관리 시설물에 대한 최적 운영룰을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유역의 수문상황과 용수 수요 현황을 고려하여 최적의 용수공급 우선순위를 선정할 수 있다. 지능형 물관리 시스템 개발의 목적은 찌상쿠이 유역의 수문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하천시설물의 운영을 분석하여 최적의 용수공급 및 배분을 통해 유역의 수자원 활용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문자료의 수집체계를 구축하고 기관간 정보공유체계를 수립함으로써 분석을 위한 기반 인프라를 구성하며, 이를 기반으로 유역 유출을 비롯한 저수지 운영,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 및 예측결과, 과거 운영 자료를 토대로 새로운 물관리 시설 운영룰 및 시설물 간 연계운영 방안, 용수공급 우선순위 의사결정 등을 지원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지능형 물관리 시스템은 통합 DB를 기반으로 수리수문 현상의 모의 분석을 통해 하천 시설물 운영의 합리적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관리주체들의 시설물운영에 대한 이견 및 분쟁을 해소하고, 한정된 수자원과 다양한 수요 간의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분배 및 시설물 운영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사결정도구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oju Sold at Restaurants Located in Jeonju (전주지역 음식점에서 판매되는 모주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

  • Lee, Bo-Young;Kim, Sang-Jun;Doo, Hong-Soo;Kwon, Tae-Ho;Kim, Jong-Wook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8 no.6
    • /
    • pp.907-915
    • /
    • 2011
  • Moju is a low-alcoholic beverage made by filtering after boiling a mixture of makgeolli, ginseng, arrowroot, licorice root, cinnamon, jujube, ginger, and raw sugar. It is known to alleviate hangovers. To provide information for use in the development of palatable Moju, this study evaluate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22 kinds of Moju being sold at different restaurants in Jeonju city. The mean values of obtained in the physicochem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water content, 91.28%; alcohol content, 1.09%; pH, 4.25; total acidity, 0.27%; reducing sugar content, 40.68 mg/mL; soluble solid content, 13.75 $^{\circ}Brix$; and viscosity 11.19 cP. The Lactic-, malic-, and citric- acid contents were higher than the contents of other organic acids. The sucrose content was higher than the contents of other free sugars. The mean value of the free amino acids was 175.3 mg%, lower than that of Takju, the main ingredient of Moju. It was considered that the free amino acids in Takju can be used as a substrate for the browning reaction in the process of Moju manufacture.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Moju with 0.15~0.25% total acidity, 10.6~13.4 $^{\circ}Brix$, and 5.73~9.57 cP was preferred.

The Effect of Natural Disaster Safety Education on Young Children's Safety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Eco-friendly Attitudes (자연재해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문제해결사고 및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Lim, Eun Ok;Kim, Ji Eun
    •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 Care
    • /
    • v.18 no.4
    • /
    • pp.227-245
    • /
    • 2018
  • Objective: In this study, educational activities were organiz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natural disaster safety education by reflecting the recent rapid increases in natural disasters. The study focused on story-sharing, art, and game activities to effectively conduct natural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four-year-old children, and in doing so, aimed to improve the children's safety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eco-friendly attitude. Methods: Based on the types of natural disasters that are handl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the Chungcheongbuk-do Office of Education, earthquakes, yellow dust, heat waves, floods, typhoons, bolts of lighting, fires, snowstorms, and global warming were included as the study's educational contents, and a total 20 sessions of natural disaster safety education activities were planned. For the subjects, 20 four-year-old children at K Kindergarten attached to a school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20 four-year-old children at N Kindergarten attached to a school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Both kindergartens were located in C City, Chungcheongbuk-do.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structed to perform the study's education activities, whereas the control group only carried out general activities based on the Nuri Curriculum's subjects of daily life. Results: As a result,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natural disaster safety education, improved their safety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eco-friendly attitude when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is outcome proved that the natural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ducted by the present study offers educational activities that can positively affect improvements in children's safety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eco-friendly attitude. Conclusion/Implication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is likely to provide concrete information to teachers who plan to conduct natural disaster safety education in the actual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alysis of the Hydrological Components of the Chatancheon Catchment for the Year 2021 (2021년 차탄천 유역의 수문성분 분석)

  • Kim, Dong Phil;Chung, Il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08-408
    • /
    • 2022
  • 환경부 홍수통제소의 경우는 전국단위의 강수량(지상, 레이더), 하천수위, 유사량 관측과 국부적으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기상청 및 다른 공공기관도 각 목적에 맞게 수문기상관측이 이루어지나 유역(또는 지역) 단위의 물순환 과정(강우량, 유출량, 증발산량, 지하수함양량, 토양수분량 등 포함)을 규명하는 조사·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개별적인 물순환 성분별 수문조사에서 벗어난 전체적인 관점을 고려한 유역단위의 물순환 과정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즉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수문량 산정 결과는 수자원 개발과 물환경 보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중·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소규모 유역 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차탄천 유역(보막교 수위관측소 기준, 유역면적 88.17km2, 유로연장 18.69km, 유로경사 1.62%, 경기도 연천군 소재)의 2021년 수문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지표수 물순환 성분인 강우량, 하천유출량, 증발산량의 자료를 산정하였다. 기본 관측자료인 강우량은 각 지점강우량의 관측자료의 비교·검토 등 품질관리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고 유역평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하천수위는 기준수위표와의 검토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였으며, 하천유출량은 기존 유량측정성과와 단면검토를 통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고, 확정된 수위자료를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그리고 증발산량은 유역내의 기상관측자료와 유역인근 3개 관측소(동두천, 파주, 철원)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여 추정한 값이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생성된 2021년의 차탄천 유역(보막교 수위관측소 기준)의 총강우량은 1,149.8mm이며, 하천유출량은 701.2mm(총강우량 대비 61.0%), 실제증발산량(잠재증발산량 추정값)은 381.3mm(33.2%)이며, 그 외는 유역 손실량이다. 이와 같이 산정된 물순환 성분별 자료는 유역의 물순환 과정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유역 물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the Hydrological Components of the Seolmacheon Catchment 2019 Year (2019년 설마천 유역의 수문성분 분석)

  • Kim, Dong 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74-274
    • /
    • 2020
  • 환경부 홍수통제소의 경우는 전국단위의 강수량(지상, 레이더), 하천수위, 유사량 관측과 국부적으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기상청 및 다른 공공기관도 각 목적에 맞게 수문기상관측이 이루어지나 유역(또는 지역) 단위의 물순환 과정(강우량, 유출량, 증발산량, 지하수함양량, 토양수분량 등 포함)을 규명하는 조사·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개별적인 물순환 성분별 수문조사에서 벗어난 전체적인 관점을 고려한 유역단위의 물순환 과정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즉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수문량 산정 결과는 수자원 개발과 물환경 보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중·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소규모 유역 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설마천 유역(유역면적 8.48㎢, 유로경사 2.15%,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소재)의 신뢰성 높은 2019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물순환 성분인 강우량, 하천유출량, 증발산량과 지하수 함양량의 자료를 산정하였으며, 물순환 성분별 균형을 이루는 자료를 생성하였다. 기본 관측자료인 강우량은 각 지점강우량의 관측자료의 비교·검토 등 품질관리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고 유역평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하천수위는 기준수위표와의 검토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였으며, 하천유출량은 유량측정성과와 단면검토를 통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고, 확정된 수위자료를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그리고 증발산량은 유역내의 기상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였으며, 지하수함양량은 유역내에 관측된 지하수위자료를 이용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산정된 자료는 과거년 자료와 비교·평가를 통해 균형성을 판단하였다. 각 성분별 최대치와 최소범위, 평균값을 고려하고, 강우일수, 강우의 강우강도와 지속기간, 기상자료(기온, 일조시간, 습도, 풍속 등)를 충분히 고려하였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생성된 2019년의 설마천 유역의 총강우량은 1,024.1mm이며, 하천유출량은 608.6mm(총강우량 대비 59.4%), 실제증발산량은 385.1mm(37.6%), 지하수함양량은 30.4mm(3.0%)이다. 여기서, 실제증발산량과 지하수 함양량은 1개 지점에서 산정값이나, 물순환의 폐합 조건을 고려하여 산정된 결과이다. 향후 유역 전체를 대표하는 기법의 개발은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산정된 물순환 성분별 자료는 유역의 물순환 과정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유역 물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the Hydrological Components of the Chatancheon Catchment 2019 Year (2019년 차탄천 유역의 수문성분 분석)

  • Kim, Dong 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73-273
    • /
    • 2020
  • 환경부 홍수통제소의 경우는 전국단위의 강수량(지상, 레이더), 하천수위, 유사량 관측과 국부적으로 증발산량과 토양수분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기상청 및 다른 공공기관도 각 목적에 맞게 수문기상관측이 이루어지나 유역(또는 지역) 단위의 물순환 과정(강우량, 유출량, 증발산량, 지하수함양량, 토양수분량 등 포함)을 규명하는 조사·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개별적인 물순환 성분별 수문조사에서 벗어난 전체적인 관점을 고려한 유역단위의 물순환 과정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즉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수문량 산정 결과는 수자원 개발과 물환경 보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물순환 성분별 명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중·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소규모 유역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차탄천 유역(유역면적 190.64㎢, 유로경사 0.96%, 경기도 연천군 소재)의 신뢰성 높은 2019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물순환 성분인 강우량, 하천유출량, 증발산량의 자료를 산정하였으며, 물순환 성분별 균형을 이루는 자료를 생성하였다. 기본 관측자료인 강우량은 각 지점강우량의 관측자료의 비교·검토 등 품질관리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고 유역평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하천수위는 기준수위표와의 검토, 상·하류 검토를 통해 자료를 확정하였으며, 하천유출량은 유량측정성과와 단면검토를 통해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고, 확정된 수위자료를 적용하여 산정하였다. 그리고 증발산량은 유역내의 기상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산정된 자료는 과거년 자료와 비교·평가를 통해 균형성을 판단하였다. 각 성분별 최대치와 최소범위, 평균값을 고려하고, 강우일수, 강우의 강우강도와 지속기간, 기상자료(기온, 일조시간, 습도, 풍속 등)를 충분히 고려하였다. 각 물순환 성분별로 생성된 2019년의 차탄천 유역의 총강우량은 975.9mm이며, 하천유출량은 507.9mm(총강우량 대비 52.0%), 실제증발산량은 366.4mm(37.5%), 지하수함양량은 101.6mm(10.4%)이다. 여기서, 실제증발산량은 유역내 1개 지점의 잠재증발산량을 산정하여 추정한 값이며,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을 위한 지하수위 관측정이 부재한 상황이나 물순환의 폐합 조건을 고려하여 산정하였다. 이와 같이 산정된 물순환 성분별 자료는 유역의 물순환 과정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유역 물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easurement of Velocity and Discharge In Natural Streams with the Electronic Float System (전자부자 시스템을 활용한 자연하천의 유속과 유량 측정)

  • Lee, Chan Joo;Kim, Won;Kim, Chi Young;Kim, Dong G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4B
    • /
    • pp.329-337
    • /
    • 2009
  • In this study we briefly introduce the electronic float system based on the GPS and R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present some field application results. The system is capable of operating 15 floats simultaneously for making discharge measurement. Since the electronic floats (EFs) acquire flow paths, they can improve velocity measurement accuracy up to 10%. Additionally, measured velocities by the EFs show good agreement with those by an ADCP. Relative difference in sub-section area calculated by the electronic and conventional float methods is -79~71% and, due to convergent tendency of floats flowing along near banks, it increases much larger. It is possible to improve accuracy up to 5~6% in making discharge measurement by the electronic floats at site with irregular flow paths and section arrangement. The electronic float system is capable of calculating more accurate velocity and section area using position information based on GPS. By real-time measurement of velocity, cross-section area and discharge, the electronic float system is expected to reduce manpower and improve accuracy, rapidity and efficiency of flood discharge measur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