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홍성찬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초

빅데이터를 활용한 드론의 이상 예측시스템 연구 (A Study on the Anomaly Prediction System of Drone Using Big Data)

  • 이양규;홍준기;홍성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7-37
    • /
    • 2020
  • 최근 국내외 빅데이터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급부상하고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의 발달과 더불어 드론에 대한 활용도와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관한 결과로 이제 드론은 일상생활과 다양한 산업 활동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드론의 활용이 많아지면서 추락의 위험 또한 높아지고 있다. 드론은 비행 시 드론 내부 특성상의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작은 문제에도 쉽게 추락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항상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드론 추락 위험요소를 예측하고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드론의 구동 모터와 일체형으로 ESC(Electronic Speed Control)를 부착하고 그 안에 가속도 센서를 장착해 진동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저장하고 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 및 모니터링 한다. 그리고 모니터링 상황에서 얻어진 빅데이터를 통한 데이터를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FF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집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드론 추락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예측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기업의 빅데이터 적용방안 연구 -A사, Y사 빅데이터 시스템 적용 사례-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s of Big Data at a Corporation -Cases of A and Y corporation Big Data System Projects-)

  • 이재성;홍성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03-112
    • /
    • 2014
  • 지난 수년간 스마트 폰 같은 스마트 기기의 빠른 확산과 함께 인터넷과 SNS 등 소셜 미디어가 급성장함에 따라 개인 정보와 소비패턴,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된 가치 있는 데이터가 매 순간 엄청난 양으로 생성되고 있으며, M2M (Machine to Machine)과 IoT (Internet of Things) 등이 활성화되면서 IT 및 생산인프라 자체도 다량의 데이터를 직접 생성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의 대표적 유형인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의 적용사례를 고찰함으로써 데이터 유형에 따른적용 영역별 파급효과를 알아본다. 또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비정형 빅데이터는 물론 정형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로 기업에 보다 나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대한연구 결과로 빅데이터의 기업내 활동이 나아갈 수 있는 지향점으로써 내 외부에서 발생하는 정형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를 적절히 결합함으로써 분석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물류 유통 서비스 분야에서 전자태그 정보 처리를 위한 데이터 모델 설계 (A Design of Data Model for Electronic Tag Information Processing in Logistics Distribution Service Parts)

  • 김창수;홍성찬;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712-719
    • /
    • 2005
  • 인터넷과 컴퓨터 네트워크의 발전에 힘입어 차세대 컴퓨팅 패러다임으로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등장하였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RFID 응용 시스템에서 상호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MIT Auto-ID Center 에서는 물리적 객체의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표준 언어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기반의 PML(Physical Markup Language)을 제안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Auto-ID Center에서 제시한 PML은 객체의 정보를 기술하기 위한 핵심부분만 정의 되어 있고, 실제 적용에 필요한 부분은 별도로 확장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Auto-ID Center의 PML Core에 기반하여 RFID 응용 서비스에서 전자태그 정보 처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객체 타입을 정의하고 물류 유통 서비스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객체 정보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였다.

WiFi 채널분석에 따른 스마트 플랫폼의 HDMI 해상도 조정 (HDMI Resolution Control of Smart Platform with WiFi Channel Analysis)

  • 홍성찬;강민구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3-2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ISM(Industry-Science-Medical) 대역의 와이파이-AP(Access Point)의 채널추정에 따라 스마트 미디어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해상도를 조정하고자 한다. 2.4/5GHz 대역에서의 채널모델은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와 같은 RF특성에 따라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별히, 스마트 디바이스의 증가와 무선 랜 공유기(AP)로 인한 동일채널 간섭으로 인한 와이파이의 전송 속도저하와 미디어 스트리밍의 화질저하가 발생된다. 이때 무선채널의 전송속도에 따라 HDMI-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를 활용한 동영상 비디오 형식(Video Format Timing)의 최적화를 설계한다. 이로서 스마트 다바이스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다양한 전송방식(Protocol)에 따라 홈 게이트웨이와 디지털TV 등의 HDMI 해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화질유지의 기법 및 PIP 위치설정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임베디드 IoT 과목 설계 및 만족도 분석 (Design and Satisfaction Analysis of Embedded IoT Course)

  • 홍준기;백종호;강민구;홍성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9-26
    • /
    • 2019
  • 최근 IoT와 관련 임베디드 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에 따른 IoT와 임베디드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대학에선 효율적인 임베디드 IoT교육과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선 아두이노와 스마트폰을 사용하본 논문에선 학부 학생들에게 블루투스를 통해 스마트폰과 아두이노 키트를 연결하여 IoT와 임베디드를 학습하는 수업을 제안한다. 제안한 과정의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학생들의 평균 기말고사 점수는 중간고사 점수보다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 결과를 통해 제안한 임베디드 시스템 수업이 학생들에게 IoT와 임베디드 시스템을 이해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75%의 학생이 제안한 과목에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청크 기반 시계열 음성의 감정 인식 연구 (A Study on Emotion Recognition of Chunk-Based Time Series Speech)

  • 신현삼;홍준기;홍성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1-18
    • /
    • 2023
  • 최근 음성 감정 인식(Speech Emotion Recognition, SER)분야는 음성 특징과 모델링을 활용하여 인식률을 개선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 음성 감정 인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모델링 연구 이외에도 음성 특징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 감정이 시간 흐름과 연관이 있음을 착안하여 시계열 방식으로 음성파일을 시간 구간별로 분리한다. 파일 분리 이후, 음성 특징인 Mel, Chroma, zero-crossing rate (ZCR), root mean square (RMS), mel-frequency cepastral coefficients (MFCC)를 추출하여서 순차적 데이터 처리에 사용하는 순환형 신경망 모델에 적용하여 음성 데이터에서 감정을 분류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은 librosa를 사용하여 음성 특징들을 모든 파일에서 추출하여, 신경망 모델에 적용하였다. 시뮬레이션은 영어 데이터 셋인 Interactive Emotional Dyadic Motion Capture (IEMOCAP)을 이용하여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long short-term memory (LSTM) and gated recurrent unit(GRU)의 모델들의 성능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부산 다대포 지역 해안 단구 제1면의 구정선 고도와 형성 시기 (The Elevation of Paleo-shoreline and Formation Age of the 1st Marine Terrace in Dadaepo, Busan, South Korea)

  • 신재열;홍영민;홍성찬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7-79
    • /
    • 2019
  • This study documents the level of paleo-shoreline and the timing of formation of the lowest marine terrace (1st terrace) distributed in Dadaepo, Busan, South Korea. In the study area, the elevation of paleo-shoreline of the 1st terrace is clearly identified as 5 meters above mean high tide based on the elevation of wave-cut platforms and the elevation of boundary between marine and terrestial sediments. This is well consistent with the fact that are found along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Daepo-dong, Sacheon-si. The timing of formation of the 1st terrace in Dadaepo is confirmed to have been deposited around 70,000~80,000 years BP (MIS 5a) according to OSL and IRSL dating ages. However, because the formation age of the 1st terrace in Sacheon-si Daepo-dong (Southerm coast) and Pohang-si Umok-ri (Eastern coast) previously identified as about 90,000~100,000 years BP (MIS 5c), further discussion of what is needed. Possibly,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ub-interglacial (MIS 5a and 5c) sea-level records during the last interglacial period are likely to be selective on land depending on regions.

서해안 서천군 당정리 일대에 분포하는 육상 고해안 퇴적물의 형성 과정과 형성 시기(II): 추가 연대 자료 및 제4기 후기 연안 지형 발달 모델 (The Formative Processes and Ages of Paleo-coastal Sediments in Dangjeong-ri, Seocheon-gun in the Western Coast, South Korea (II): Complementation of Chronological Data and a Developmental Model of Coastal Geomorphology over the Past 200,000 Years)

  • 신재열;홍영민;류희경;홍성찬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1-61
    • /
    • 2021
  • Following the previous study, we report a complementary dating data on the silty layers deposited in paleo-tidal conditions of the study area, Dangjeong-ri, Seocheon-gun and suggest coastal terrain development processes over the past 200,000 years. Based on the dating results, the silty layers distributed up to 25 m above mean sea level were deposited between 171 and 183 ka, and the gravel layer deposited in a fluvial environment of a paleo-Dangjeong stream was found to have formed between 78 and 83 ka. Considering relative altitudes of distribution, an uplift rate of the study area in the western coast is judged to be relatively 0.5~0.7 low to that of Pohang area in the eastern coast. Compared to Busan and Sacheon areas in the southern coast, it is assumed that an uplift rate of the study area shows a similar level with those during the late Quaternary.

조선시대(1392-1910) 해일 발생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Surges and Tsunamis in the Korean Peninsula from 1392 to 1910)

  • 김다해;홍성찬;최광희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7-49
    • /
    • 2021
  • Analysis and prediction of storm surges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 global warming has raised sea levels and increased the frequency of massive typhoons, accelerating damage of coastal flooding. However, the data for storm surge prediction is lacking due to the short history of observation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 surges and tsunamis based on the historical documents published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we tried to evaluate the damage and spatial extent of such disasters, using the expressions about surge records including heights and number of administrative divisions. As a result, a total of 175 records of surges and tsunamis were compiled from 1392 to 1910: 145 events were extrac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ncient documents, and 30 events were from the previous research. Most of the strorm surges occurred along the west coast during summer season. More than half of the total surges were concentrated for 120 years from the mid 1600s to the mid 1700s, which was estimated to be highly relevant to the climate conditions in East Asia during the Little Ice Age. Hazardous areas by storm and tidal surges were also extracted, including Asan, Ganghwa, and Siheung during the Joseon Dyanisity period.

서해안 서천군 당정리 일대에 분포하는 육상 고해안 퇴적물의 형성 과정과 형성 시기: 한반도 제4기 후기 지각운동의 양식과 변형률 산출을 위한 연구(III) (The Formative Processes and Ages of Paleo-coastal Sediments in Dangjeong-ri, Seocheon-gun in the Western Coast, South Korea: Evaluation of the Mode and Strain Rate of the Late Quaternary Tectonism (III))

  • 신재열;홍영민;홍성찬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3-45
    • /
    • 2020
  • A number of unconsolidated deposits, consisting of a layer of gravels and silt, are found in Dangjeong-ri, Seocheon-gun in the western coast. From below in the stratigraphic sequence, the gravel layer ranging up to a maximum thickness of about 2 meters is interpreted as being formed by fluvial processes of an old channel (Dangjeong S.), and the overlying silt or sandy silt layer of 2 to 3 thickness meters is assumed to be emerged paleo-tidal sediments which was deposited in low tidal-energy environments. As the results of rock surface IRSL datings, the depositional ages of gravels are confirmed as ca. 78,000 ~ 83,000 years BP, indicating that the layer was formed in response to a high-stand sea level of MIS 5a along the Dangjeongcheon estuary. It is presumed that the relative height of 4.5 meter between the altitude of the stream bed (9.5 m) and the altitude of the bedrock boundary in the gravel layer (14 m) indicates the uplift amount since deposition. Paleo-sedimentary environments and an altitude of paleo-shoreline in the study area will be discussed with additional age dating focused on the silt la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