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홈 카메라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ptimal Smart Home Security Monitoring System (최적의 스마트 홈 시큐리티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Lee, Hyoung-Ro;Lin, Chi-Ho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6 no.6
    • /
    • pp.197-202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optimal smart home security monitoring system. Proposeed optimal smart home security system using the three types of ultrasonic sensors were tested to obtain reliable data. and Using Raspberry Pi3, the smart home security system was implemented.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rough experiments optimal efficiency with a small amoun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ensor of the home security system by the two ultrasonic sensors located in the optimal position. It was able to use two ultrasonic sensors to determine whether the intruder's highly efficient and reliable intrusion, and connect the servo motor at the bottom of the camera so you can shoot adjusted to the attacker's location to shoot the intruder's image. In addition, by using a Web server and stored the recorded image and two ultrasonic sensor data and provide a Web page for a user to monitor at all remote locations.

Implementation of Home Monitoring System Using a Vacuum Robot with Wireless Router (유무선공유기와 청소로봇을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현)

  • Jeon, Byung-Chan;Choi, Gyoo-Seok;Kang, Jeong-Ji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8 no.5
    • /
    • pp.73-80
    • /
    • 2008
  • The recent trend in home network system includes intelligent home environments that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ervice is achieved without restrictions by device types, time, and place. Also the use of a vacuum robot in homes is gradually generalized on account of the convenience of the use. In this paper, we proposed and realized new home-monitoring system with the employment of an self-movement robot as one trial for realizing an intelligent home under home network environment. The proposed system can freely monitor every where in home, because the system effectively overcame the surveillanc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monitoring system by attaching a Wireless Router and WebCam to a commercial vacuum robot. The outdoor users of this system can readily monitor any place which they want to supervise by controlling a vacuum robot with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PDA. The wireless router installed with Linux operation system "OpenWrt" made it possible for the system users to transmit images and to control a vacuum robot with RS-232 communication.

  • PDF

Development of Visual Programming Tool for Controlling $Robosapien^{TM}$ over Home Networks (로보사피엔($Robosapien^{TM}$) 제어를 위한 비주얼 프로그래밍 도구 개발)

  • Kim, Chang-Yeun;Park, Sung-Jin;Byun, T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616-618
    • /
    • 2005
  • 본 논문은 적외선 리모트 컨트롤러로 제어가 가능한 가정용 소형 로봇인 $Robosapien^{TM}$을 홈 네트워크 제어를 위한 홈 서버를 통해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또한 $Robosapien^{TM}$의 연속적인 동작을 쉽게 프로그래밍하고 실행시킬 수 인터프리터 (interpreter)의 세부 구현내용을 기술하였다. 본 구현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개념 정립이 부족한 일반 사용자나 컴퓨터 프로그밍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이 쉽게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 비주얼 프로그래밍 도구를 개발하였다. 특히 구현 시 필요한 구성 요소 및 기능을 설계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편리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의 구현에 중점을 두었다. 본 비주얼 프로그래밍 도구는 가정의 데스크톱 PC뿐만 아니라, 실외에서 PDA와 같은 소형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가정의 홈 서버에 접속하여 $Robosapien^{TM}$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가정의 웹 카메라를 통하여 $Robosapien^{TM}$이 정확하게 동작하고 있는지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다.

  • PDF

Implemantation of Smart Home with Fire Detection and Initial Suppression Function (화재 감지 및 초기진압 기능을 가진 스마트 홈 구현)

  • Yeo, Sang-Sam;Kim, Dong-Hwan;Kim, Yang-u;Park, Rae-chang;Kim, Hyeon-u;Kim, Chan-yeong;Kim, Dong-geun;Yu, In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439-440
    • /
    • 2022
  • 대부분의 주거환경은 가전제품이나 전등 등을 수동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환경을 스마트화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줄이고 효율적인 환경관리와 보안을 강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은 아두이노, 여러 센서와 블루투스모듈을 사용하여 집 내부 환경을 자동제어관리하고 사용자가 스마트폰 어플로 집 내부 환경을 파악하고 가전제품을 제어함으로써 편리함을 추구함과 동시에 에너지 절약에 도움이 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와이파이로 연결된 카메라로 영상을 스트리밍하여 집 내부를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게 하여, 현대인의 집을 스마트하게 관리할 수 있는 "아두이노를 이용한 스마트홈"을 제안한다. 기존의 주거환경과 다르게 집 내부의 환경을 자동제어 및 환경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직접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으며, CCTV를 통해 집 내부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화재가 감지되면 경보와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여 초기진압을 할 수 있다.

  • PDF

Home Monitoring System using Ubiquitous (Ubiquitous를 이용한 홈 모니터링 시스템)

  • Son, Seung-Kwon;Lee, Kang-Won;Kim, Tag-Yong;Hong, Jin-Wo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2024-2025
    • /
    • 2007
  • 현재 사용 중인 홈 네트워크는 고성능 정보단말기를 이용해 서버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기기들을 제어가 가능케 하고 있다.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전화선의 신호를 받아 기기를 구동시켜 서버를 통하지 않고 접속하는 방식의 시스템으로 각각의 설정부분을 음성으로써 설명을 해주어 편리성과 저비용으로 사용하며 Bluetooth를 이용한 무선 데이터 시스템 방식을 채용함으로 설치위치선정 및 복잡한 회로설계부분이 없어 설계 및 설치가 용이하다. 더불어 설정에 맞는 동작의 확인은 장착된 카메라로 체크하여 안전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었다.

  • PDF

Home device control using hand motion recognition for the disabled (장애인을 위한 손 동작 인식을 이용한 홈 디바이스 제어)

  • Lee, Se-Hoon;Im, So-Jung;Kim, Hyun-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259-260
    • /
    • 2019
  •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극한 상황에 쉽게 노출될 수 있어 큰 주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OpenCV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한 손동작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장애인을 비롯한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간단한 동작만으로 집 안의 모듈을 제어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OpenCV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카메라 촬영을 통해 손동작을 인식하여 물체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A Study on functional priority of smart home service for single-person household - focusing on Perceived Attributes of Innovations - (1인 가구를 위한 스마트 홈 서비스 기능의 우선순위 연구 - 인지된 혁신 특성 요인을 중심으로 -)

  • Lim, Se Eun;Park, Seung Ho
    • Design Convergence Study
    • /
    • v.15 no.2
    • /
    • pp.37-5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unctional priority to increase probability to be adopted by single-person household by designating single-person household as potential early adopter of smart home service. Smart home service is spread slowly for its value. This study applied diffusion of innovations theory to solve this problem. Single-person household who has no other family member who can take care of household is chosen as potential early adopter. This study tried to find grounds of functional priorities through an online survey.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as following. First, representative attributes of single- person household were reviewed, then measuring questions according to the attributes were recomposed based upon preceding study. After that, concept and status of smart home service were reviewed. and smart home service functions to be measured in this study were selected through analysis based upon representative cases, then Measuring questionnaire were made were three factors which chosen by referring to preceding study about perceived attributes of innovations applied to selected functions. As a result of analyzed 62 responses, except excluded functions which has perceived any special value, set priorites with 9 functions. These functional priorities obtained from these studies will play a role as fundamental data to provide valuable service to single-person household and have a meaning as a starting point to increase rate of adoption for smart home service.

Personalized User Interface for U-Service Selection and Interaction (U-서비스의 선택 및 상호작용을 위한 개인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 Yoon, Hyo-Seok;Kim, Hye-Jin;Woo, Woon-Tac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360-366
    • /
    • 2007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사용자는 환경에서 제공되는 수 많은 서비스 (U-서비스)중에서, 사용자의 특성, 필요, 선호도에 따라 적합한 서비스를 쉽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맥락에 따라 U-서비스를 선택하고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personal companion 을 제안한다. Personal companion 은 서비스 발견 기법과 카메라 기반의 상호작용 방법을 통해 서비스를 선택하고, 선택한 서비스의 인터페이스를 개인화 함으로써 다수의 서비스와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가능케 한다. 이를 위해 기존 마커의 가시성을 줄이는 새로운 형태의 마커를 제안하고 카메라 기반의 상호작용 방법에 응용한다. Personal companion 의 유용성 검증을 위해 PDA 와 UMPC 플랫폼에 구현한 후, 스마트 홈 테스트 베드의 여러 응용 서비스를 선택하고 상호작용을 하는데 적용하였다. 제안한 personal companion 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와 U-서비스를 사용자 중심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중요한 매개체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esearch on Human Motion Tracking System for Intelligent Home (지능적인 홈을 위한 사용자 모션 트래킹 시스템에 관한 연구)

  • Choi, Soon-Yong;Choi, Jong-Hwa;Shin, Dong-Kyo;Shin,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919-922
    • /
    • 2005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사용자의 위치인식 및 행동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인식을 하기위해 카메라를 쓰는 것은 센서를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여러 가지 장점들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여러 대의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한 실내에서의 사용자의 위치인식 및 행동인식을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사용자의 위치인식, 행동인식을 위하여 시스템에서는 영상처리기법들이 사용된다. 또한 행동인식에서는 추가적으로 SVM을 이용한 학습 및 예측 방법이 사용된다.

  • PDF

Implementation of Multi-device Remote Control System using Gaze Estimation Algorithm (시선 방향 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한 다중 사물 제어 시스템의 구현)

  • Yu, Hyemi;Lee, Jooyoung;Jeon, Surim;Nah, Je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812-814
    • /
    • 2022
  • 제어할 사물을 선택하기 위해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기존 '스마트 홈'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추정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에 있는 사물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일반 RGB 카메라를 통해 Pose Estimation으로 추출한 Landmark들의 좌표 값을 이용하여 시선 방향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였으며, 이는 근적외선 카메라와 Gaze Tracking 모델링을 통해 이루어지던 기존의 시선 추적 기술에 비해 가벼운 데이터를 산출하고 사용자와 센서간의 위치 제약이 적으며 별도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해당 알고리즘으로 산출한 시선 추적의 정확도가 실제 주거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실효성이 있음을 실험을 통해 입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이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적외선 기기와 Google Home 제품에 사용할 수 있는 시선 방향 사물 제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