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홈 네트워크 환경

Search Result 572,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Design of Mobile Agent Authentication and Domain Management Scheme in Home Network Environment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이동 에이전트 인증 기법 및 도메인 관리 기법 설계)

  • Kim, Jae-Gon;Kim, Gu Su;Eom, Young 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197-1200
    • /
    • 2004
  • 홈 네트워크 환경은 댁내의 가전 기기들을 원격 접속 및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연결한 네트워크 환경이다. 이동 에이전트는 네트워크 상에서 스스로 이동하면서 사용자 또는 다른 개체 대신 행동 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원격 상호작용과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서비스를 요청한 개체 및 서비스 주체에 대한 인증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이동 에이전트 인증을 위한 다음 세 가지의 사항을 고려한다. 첫 째,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한적인 성능, 둘 째,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이동성, 셋 째, 이동 에이전트의 코드 및 상태 정보 이동성. 이들에 대한 고려를 통하여 홈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도메인 관리 기법과 인증기법을 설계한다.

  • PDF

Response and Threat of Home Network in Ubiquitous Environment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침해 위협 및 대응 방안)

  • 유동영;김영태;노병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355-357
    • /
    • 2004
  • 최근 들어 홈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정부에서는 IT839 전략의 하나인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시범 사업을 통해 활성화하려고 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가 일반 대중들에게 혜택을 누리게 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한데 이러한 노력 중 가장 중요한 것이 표준화이다. 현재 홈 네트워크 표준화는 사용자 서비스 측면에서 많은 부분에서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시큐리티(Secrutity) 요구 사항이 반영이 되고 있지 않은 부분이 있다. 이러한 시큐리티 요구가 반영되고 있지 않은 이유로는 홈 네트워크의 위협에 대해서 간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홈 네트워크는 유선(Wired)과 무선(Wireless)이 공존하고 있다. 이것들이 새로운 기술이 아니고, 기존에 존재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되기 때문에 기존의 외부 위협들은 그대로 홈 네트워크에 반영될 것이다. 또한 향후 도래할 유비쿼터스 환경도 홈 네트워크에 접목될 것이라고 누구나 인지하고 있다. 유비쿼터스와 같은 다양한 환경에서는 현재보다도 복잡한 위협이 존재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홈 네트워크 환경을 분석하고 이에 따르는 보안 위협과 향후 다가올 유비쿼터스 환경의 침해 유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홈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디바이스 인증 프로토콜 요구사항

  • 이정환;황유동;박동규;한종욱
    • Review of KIISC
    • /
    • v.15 no.6
    • /
    • pp.53-59
    • /
    • 2005
  • 미래의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다양한 홈 디바이스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외부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이 되기 때문에 기존의 인터넷에 존재하는 보안 위협 이외에도 다양한 보안 위협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디바이스 사이에 안전한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는 보안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며 그 중에서도 디바이스인증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존에 연구되던 방식들을 분석하고 신뢰할 수 있는 홈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홈 디바이스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디바이스 인증 프로토콜 요구사항을 정리하고 자 한다.

The Agent System for Group Management of Home Servers in Home Network Environment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홈 서버 그룹 관리를 위한 에이전트 시스템)

  • Heo Hyuk;Kook Yoon-Gyu;Eum Young-Hyun;;Choi You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373-375
    • /
    • 2005
  •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 내에 각종 디지털 장치를 하나의 통신망으로 통합하여 장치들 간의 정보 공유, 제어 그리고 동작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서버를 중심으로 동작 한다. 현재 초고속 통신망과 디지털 가전기기의 보급으로 인하여 가정 내의 홈 네트워크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홈 네트워크화 된 논리적인 지역에는 수많은 홈 서버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홈 서버의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드러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홈 서버 관리를 위한 에이전트 시스템을 제안 한다. 에이전트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의 홈 서버 관리를 위하여 홈 서버와 동작 환경을 모니터링 한다. 이렇게 모니터링 된 점보를 참조하여 홈 서버의 서비스 모듈을 관리하며, 홈 서버 정상 유무에 대한 대처를 한다. 또한 그룹 관리 서버에서 생성된 서비스 에이전트가 홈 서버를 이주 하며 수집 해온 정보를 참조 하여 통합 검침, 방범 및 화제 등에 대한 대처를 할 수 있으며, 홈 서버에 새로운 서비스 적용할 경우 관리 서버에 등록 하고 이를 에이전트를 통하여 홈 서버에 배포함으로써 홈 네트워크에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다.

  • PDF

Security Requirements and Proposals for the Home Server in Ubiquitous Home Networks (유비쿼터스 홈 서버 보안 요구사항 및 구현방안)

  • Kim, J.T.;Beom, M.J.;Park, H.K.;Paik, E.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0 no.2 s.92
    • /
    • pp.83-92
    • /
    • 2005
  • 유비쿼터스 환경의 현실화와 일반화의 시발점인 홈 네트워크 기술은 PC와 노트북, 프린터, 냉장고, DTV, 오디오/비디오를 포함하는 댁내의 모든 가전기기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언제 어디에 있든 인터넷을 이용하여 댁내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모든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현재 대부분의 기업들은 각자 회사의 네트워크를 보호하기 위하여 방화벽(firewall)이나 침입탐지시스템(intrusion detection system) 및 가상 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 등의 방어책을 응용하고 있지만, 홈 네트워크는 기업과 비교하여 규모면에서나 보안 기술에 대한 고려 및 응용이 활발하지 않다. 이러한 다양한 보안 정책은 다가올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중추적 역할을 해야 될 홈 서버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문서의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홈 서버의 보안 요구사항 및 구현방안들을 살펴 본다.

Shared Key and Public Key based Mobile Agent Authentication Scheme supporting Multiple Domain in Home Network Environments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중 도메인을 지원하는 공유키 및 공개키 기반의 이동 에이전트 인증 기법)

  • 김재곤;김구수;엄영익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4 no.5
    • /
    • pp.109-119
    • /
    • 2004
  • The home network environment can be defined as a network environment, connecting digital home devices such as computer systems, digital appliances, and mobile devices. In this kind of home network environments, there will be numerous local/remote interactions to monitor and control the home network devices and the home gateway. Such an environment may result in communication bottleneck. By applying the mobile agents that can migrate among the computing devices autonomously and work on behalf of the user, remote interactions and network traffics can be reduced enormously. The mobile agent authentication is necessary to apply mobile agent concept to the home network environments, as a prerequisite technology for authorization or access control to the home network devices and resources. The existing mobile agent systems have mainly used the public key based authentication scheme, which is not suitable to the home network environments, composed of digital devices of limited computation capabi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shared key based mobile agent authentication scheme for single home domain and expand the scheme to multiple domain environments with the public key based authentication scheme. Application of the shared key encryption scheme to the single domain mobile agent authentication enables to authenticate the mobile agent with less overhead than the public key based authentication scheme.

Home Network using UPnP and TCP/IP (UPnP와 TCP/IP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 전진형;장인훈;이홍기;심귀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04a
    • /
    • pp.532-535
    • /
    • 2004
  • 인터넷의 보급과 프로세서를 장착한 가전기기의 등장으로 홈 네트워크에 대한 요구와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홈 네트워크는 사람이 좀더 편안한 상태로 생활할 수 있도록 가정환경을 제어하는 서비스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러 가지 플랫폼의 가전기기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미들웨어라는 것이 필요하다. 미들웨어는 다양한 가전기기를 사용자가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UPnP 미들웨어를 사용한 홈 네트워크 구성을 제안한다.

  • PDF

An Error Detection running on White Board for Multimedia Collaboration Works of Home Network Environment (홈 네트워크 환경의 멀티미디어 공동 작업을 위한 화이트보드에서의 오류 감지)

  • Ko, Eung Nam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 no.3
    • /
    • pp.49-52
    • /
    • 2008
  • This paper explains a system that is suitable for detecting software error for multimedia distance education based on home network environment. This system consists of an ED, and ES. ED is an agent that detects an error by hooking techniques for multimedia distance education based on home network environment. ES is an agent that is an error sharing system for multimedia distance education based on home network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media collaborative environment, an error application becomes another interactive presentation error is shared with participants engaged in a cooperative work.

  • PDF

Study of Intelligent Home Robot based on Home Network (홈 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흠 로봇의 연구)

  • 정병찬;박진현;최동석;김훈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231-23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홈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지능형 홈 로봇의 구현에 대한 내용을 논의하였다. 기존의 로봇들은 대부분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형태의 로봇이 주류를 이루었다. 현재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홈 네트워크는 가정 내 장치들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로봇을 홈 네트워크 환경과 결합함으로 더욱 지능적이며, 다양한 기능을 구현 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로봇이 모든 일을 처리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네트워크를 이용한 작업의 분산이라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계속적으로 추가되는 가정의 장치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됨으로 로봇은 이들 장치에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다. 향후에는 다양한 방식의 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로봇이 행동하는 지능형 공간 (Smart Space)의 형태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흠 서버, embedded robot,지능형 로봇으로 구성된 흠 네트워크 기반의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Development of a Home Gateway na a Management Server for Home Network Environments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홈 게이트웨이와 관리 서버 개발)

  • Kwon Jinhyuck;Jung Jaeyun;Kim Hagbae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2C no.2 s.98
    • /
    • pp.261-266
    • /
    • 2005
  • This paper proposes two systems. One is a Home Gateway(HG) which efficiently connects and controls digital appliances in the home network environments. The other is a Management Server(MS) that overcomes the physical limitation of the HG. The HG supports networking modules(TCP/IP for Ethernet, ADSL), home networking functions(HomePNA, IEEE1394 PLC) and telecommunication system(PSTN/SLT, VoIP, Video Communication). The HG is expected to be a core device for the integrated digital home environments. The MS is a dedicated server which manages and controls individual HG, home appliances and HA devices implemented at an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