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홈오토메이션

Search Result 130,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Development of embedded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Multi-sensor (다기능센서를 이용한 임베디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개발)

  • Kim, In-Keong;Ryu, Jeong-Tak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1 no.5
    • /
    • pp.11-17
    • /
    • 2006
  • Recently, IT industry by digital technique is improved gradually. Therefore many electronic appliance became the digital, and this is magnified gradually. The development of embedded home automation system combined embedded and internet technique is taking many interest. Specially in the times of the ubiquitous, excellent economically home automation system is preferred even in general family. Therefore, in this paper, we escape from monotonic control of home automation and draw a plan intelligent home automation to be developed.

  • PDF

Implementation of Voice Interface for HomeAutomation (홈오토메이션에서 음성인터페이스의 구현)

  • 박정남;이종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10a
    • /
    • pp.300-303
    • /
    • 2003
  • 정보 통신의 발전으로 교육, 문화, 의료, 경제 등 사회 시스템과 가정이 결합하여 주택의 개념이 바뀌고 있다. 따라서 생활의 편의를 위한 가정 내 가전기기 및 각종 기기의 원격 제어 욕구가 증가하여 주택시설의 첨단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복잡하고 많은 기기를 쉽고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음성 명령어를 편집할 수 있는 음성인터 페이스를 제안하고 이를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적용하여 더 높은 사용자편리성을 제공하였다.

  • PDF

Home Automation Design of Ubiquitous Environment (유비쿼터스 환경의 홈 오토메이션 설계)

  • Jung Ki-Hwan;Park Sung-June;Yang Hae-So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453-456
    • /
    • 2004
  • 홈 오토메이션은 집안의 모든 가전제품, 냉난방, 방재, 방범 및 통신의 기능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제어함으로써 좀 편안하고 윤택한 삶을 사는데 도움을 받기 위해 예전부터 꾸준하게 연구되어 왔다. 어느덧 인터넷의 빠른 보급과 개인휴대 단말기의 빠른 보급은 홈 오토메이션의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큰 인프라를 만들어주었다. 여기에 유비쿼터스를 뒷받침 해주는 많은 네트워크 기술들의 등장으로 어느새 홈 오토메이션은 연구의 대상이 아닌 상용화의 괴도에 오르게 되었다. 홈 오토메이션에 필요한 여러 기술들을 이용하여 설계를 하여본다.

  • PDF

홈오토메이션(HA)기기에 대한 안전인증제도 단일화 추진 - 비디오폰 -

  • 한국전기제품안전진흥회
    • Product Safety
    • /
    • s.92
    • /
    • pp.82-88
    • /
    • 2001
  • 전기제품인 비디오폰{일명 홈오토메이션(HA)기기}은 전기용품안전관리법의 안전인증, 소방법의 형식승인과 검정, 전기통신기본법의 형식승인 등 3개의 법에 의해 각각 동일 또는 유사한 시험을 거쳐 안전인증 및 형식승인을 받아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이에 한국전기제품안전진흥원에서는 중복된 인증제도를 단일화하여 제조업체의 불편을 해소하고자 규제개혁위원회에 다음과 같은 개선안을 건의하여 제조업체들의 과도한 부담을 제거하고 홈오토메이션기기 산업발전을 촉진하고자

  • PDF

User interface of Home-Automation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in wearable computing environment (웨어러블 환경에서의 수족사용 불능자를 위한 홈오토메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 Kang, Sun-Kyung;Kim, Young-Un;Han, Dae-Kyung;Jung, Sung-Ta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3 no.5
    • /
    • pp.187-193
    • /
    • 2008
  • Interface technologies for a user to control home automation system in wearable computing environment has been studied recently. This paper proposes a new interface method for a disabled person to control home automation system in wearable computing environment by using EOG sensing circuit and marker recognition. In the proposed interface method, the operations of a home network device are represented with human readable markers and displayed around the device. A user wearing a HMD, a video camera, and a computer selects the desired operation by seeing the markers and selecting one of them with eye movement from the HMD display The requested operation is executed by sending the control command for the selected marker to the home network control device. By using the EOG sensing circuit and the marker recognition system a user having problem with moving hands and fit can manipulate a home automation system with only eye movement.

  • PDF

Intelligent Home Automation System Based on Condition (조건기반의 지능형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 Choi, Jung-Do;Lee, ,Ju-Youb;Kang, Su-Hoon;Park, Jin-Hui;Shin, Do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9.01a
    • /
    • pp.121-124
    • /
    • 2009
  • 현재 홈 네트워크 환경은 각 디바이스들을 위한 독립적인 서비스 보다 모든 디바이스를 통합관리 지원하는 지능적인 홈 오토메이션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신원확인만으로 댁내의 모든 디바이스들을 사용자 개인의 특성에 맞게 자동 제어할 수 있는 지능형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제안한다. 등록된 사용자의 정의된 규칙을 이용하여 가정내의 모든 디바이스들을 자동 제어한 수 있는 조건기반엔진을 설계하여 모든 디바이스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을 보완함으로써 지능적인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 PDF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WirelessUSB based on PSoC (PSoC 기반의 WirelessUSB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구현)

  • Lee, Sang-Hee;Kim, Ha-Na;Jung, Chan-Ho;Lee, Jun-Hee;Shin, Dong-Suk;Kang, Sung-In;Kim, Gwa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791-794
    • /
    • 2008
  • 최근 홈오토메이션 시스템(Home Automation System) 즉,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커지면서 이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여러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이란 가정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전기기 및 센서장비를 이용하여 집 안의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가정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하여 인간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Cypress사의 PSoC 기반으로 가정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온도, 습도, 가스검출, 불꽃감지와 같은 여러 환경 센서 및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한 방범 센서 장치 구현방법을 제안하고, PSoC 기반의 WirelessUSB를 이용하여 센서 및 호스트 PC와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mote Image Monitoring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영상 감시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Shin, Won;Chung, Koo-Hi;Kim, Tae-Wan;Chang, Chun-Hy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995-998
    • /
    • 2003
  • 인터넷 정보가전 제품의 보급과 편리한 서비스를 요구하는 사용자의 욕구증대로 인하여 홈 오토메이션이라는 기술이 대두 되었다. 초기의 홈 오토메이션은 셋톱박스, CCTV와 같은 장비들이 요구 되어 가정, 사무실과 같은 소규모 공간에서의 도입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언제 어디서나 영상 감시와 제어를 할 수 있고 별도의 장비 없이 소규모 공간에서도 손쉽게 적용 시킬 수 있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이 요구된다.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서는 기반기술인 영상 감시와 제어기술이 구현되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홈 오토메이션의 기반 기술인 영상 감시기술 구현을 위해 원격 영상 감시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였다. 원격 영상 감시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에서 선택한 웹카메라의 동화상 캡쳐시 버퍼링을 중지함으로써 영상지연을 최소화하였으며, 카메라 선택 모듈의 사용으로 모든 영상이 아닌 선택된 영상만을 전송함으로써 자원 소모를 줄였다. 이러한 원격 영상 감시 시스템은 전력 감시 시스템, 분산 제어 시스템 등의 산업분야 뿐만 아니라 교육 분야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 PDF

Design of The Intelligent Home Automation System (지능형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설계)

  • Jeong, Jae-Wook;Kim, Jong-Hyuck;Kim, Hyeong-Nam;Kim, Tai-Woo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2 no.3
    • /
    • pp.7-15
    • /
    • 2016
  • These days, a lot of research has been in progress for a home automation system. In this study, the intelligent home automation system is develope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illumination of the house. The difference with other research can be adjusted individually according to your taste and lifestyle of each individual, it is that it provides a more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through the accumulated lifestyle database. In addition, proposed system can use the mobile app to easily control the lighting devices, a electric fans, and heaters. Moreover the mobile app of proposed system offers function that allows you to search for residential environments statistics on their lifestyle.

Remote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LonWorks Networks (LonWorks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 Son, Young-Sung;Park, Jun-Hee;Lee, Chang-Eun;Moon, Kyung-Doek;Kim, Chae-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833-836
    • /
    • 2001
  • 본 논문은 LonWorks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최근 홈네트워킹 개념의 확산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전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 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정보 가전 기기를 연동하기 위한 다양한 매체(IEEE1394, USB, PLC, TP, IRDA, BLUETOOTH 등)가 제시되고 있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미들웨어(Jini, Havi, LonWorks 등)가 거론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가능한 서비스를 미리 살펴보고 이를 구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요소 기술의 필요성을 살펴본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원격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제어 미들웨어에서 표준이 되고 있는 LonWorks를 이용하여 인터넷에서 홈내부의 디바이스를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구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