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혼화재료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22초

촉진염화물 확산계수의 시간의존성을 고려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염화물 침투 해석기법 (Analysis Technique for Chloride Penetration in High Performance Concrete Behavior Considering Time-Dependent Accelerated Chloride Diffusivity)

  • 권성준;박선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45-153
    • /
    • 2013
  • 촉진 염화물 확산계수는 최근들어 염화물 거동 평가를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촉진 염화물 확산계수는 겉보기 확산계수와 마찬가지로 재령에 따라 감소하는데, 이 연구에서는 공극률을 이용하여 촉진확산계수의 감소를 구현하였다. DUCO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5 배합에 대한 공극률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회귀분석하여 재령 270일 동안 감소하는 염화물 확산계수를 모델링하였다. 또한 자유염화물과 구속염화물간의 관계인 비선형 구속능을 고려하여, 고성능 콘크리트내의 염화물 거동을 평가하였다. 기존의 실험자료인 180일간 염화물에 침지되어 있는 시편을 이용하여, 이 연구에서 제안한 기법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다양한 물-시멘트비 및 혼화재(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쉬)를 가진 고성능 콘크리트의 염화물 거동을 적절하게 평가하였다. 또한 혼화재료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경우, 확산계수의 시간의존성이 뚜렷하므로 염화물 거동 해석시 재령에 따른 염화물 확산계수의 감소를 반드시 구현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카본블랙을 혼화재료로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Properties of Concrete Used as the Mixture Material with Carbon Black)

  • 류현기;권용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9-6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흡착 및 내열, 내화성이 우수한 카본블랙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제반성능을 파악하여,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써 활용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실험결과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는 흡수율 및 미립분의 카본블랙의 충전효과로 인하여 슬럼프증가 및 공기량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블리딩, 관입저항에 의한 응결시간은 양호한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경화콘크리트의 강도 특성에는 Plain보다 높은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포졸란 반응에 의해 장기강도로 갈수록 강도발현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약 $850^{\circ}C$내외의 가열 후의 압축강도에서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내화, 내열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건조수축 역시 양호하게 나타났고, CO, $CO_2$, 포름알데히드의 환경성 평가도 Plain보다 양호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상 결과를 종합하면, 고강도의 배합설계를 고려한 적절한 AE감수제를 사용할 경우 카본블랙이 콘크리트용 혼화재로써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적층 가공에서 적용 가능한 PLA-PEG 복합재료의 MD Simulation (MD Simulation of PLA-PEG Composites for Additive Manufacturing)

  • 함송희;전영준
    • 공업화학
    • /
    • 제34권3호
    • /
    • pp.285-290
    • /
    • 2023
  • 폴리젖산(poly-lactic acid, PLA)은 옥수수 분말이나 sugar beets와 같은 천연 재료로부터 얻어지는 생분해성 및 생체적 합성을 가진 친환경적인 재료로 각광받고 있으며, 특히 적층가공에서 흔히 사용되는 석유로부터 추출된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의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PLA의 유리 전이 온도는 60 ℃로 비교적 낮아 열 저항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PLA는 취성이 강해 충격이 가해졌을 때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PLA의 결정화도 및 연성을 증가시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젖산에 조핵제 또는 가소제 등을 첨가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PEG (polyethylene glycol)은 PLA 사슬에 유동성을 주기 위해 가장 많이 연구된 가소제이나, PLA와 혼화되었을 때 자체적인 결정화가 진행되어 상온에서도 혼화물이 불안정해지며 상분리가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PLA-PEG의 최적의 혼화 비율을 찾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가소제인 PEG를 첨가하였을 때 예측되는 두 물질 간의 혼화도를 Materials Studio 프로그램의 Molecular Dynamic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젖산과 PEG의 함량 변화에 따른 혼화도와 젖산의 거울상 이성질체인 L-lactic acid 및 D-lactic acid의 함량에 따른 혼화도를 거시적인 관점에서 예측하였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한 콘크리트 2차 제품의 고강도화 메커니즘 (High Strengthening Mechanism by Blast Furnace Slag in Concrete Based Products)

  • 김진만;조성현;이대경
    • 청정기술
    • /
    • 제7권2호
    • /
    • pp.109-117
    • /
    • 2001
  • 고로슬래그를 콘크리트의 결합재 또는 혼화재로의 사용은 활성화되어 있으나, 수량을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콘크리트 2차제품에 적용한 예는 극히 적다. 본 연구는 고로슬래그의 재활용 용도를 다양화하기 위한 것으로 시멘트의 일부를 고로슬래그로 대체하여 제조한 콘크리트 2차제품의 강도 증진 메커니즘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 압축강도 $400kgf/cm^2$ 이상의 고강도 스페이서를 개발시 고로슬래그의 사용은 매우 효과적인 혼화재료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로슬래그의 사용에 의한 압축강도 증진의 주요 메커니즘은 콘크리트 2차제품의 전체 입도 분포가 보다 최밀입도에 가깝게 분포하는 최밀입도이론과 포졸란계 재료가 시멘트 수화물인 $Ca(OH)_2$와 상온에서 장기간에 걸쳐 일으키는 포졸란 반응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혼화재료를 혼입한 압출성형 경량콘크리트 패널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xtrusion Lightweight Concrete Panel Using Admixture)

  • 김영진;김우상;백민수;김성식;임남기;정상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97-500
    • /
    • 2003
  •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extrusion lightweight concrete panel mixing by admixture. The standard of water ratio 50% and weight substitution 0%, 10% by Fly-ash. When the products are manufactured, it is used to maintain its form weight substitution and addition among the viscosity agent each Silica-fume and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The study is basic properties and performances of extrusion lightweight concrete panels. Testing methods was specific gravity, water absorption, resistance to impact, thermal conductivity, and sound insulation.

  • PDF

P형 슈미트해머에 의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추정에 미치는 재료요인의 영향 (Influence of Material Factors on Estimation of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by P Type Schmidt Rammer)

  • 한천구;이용성;한민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459-465
    • /
    • 2004
  • 본 연구는 시멘트, 혼화재료 및 골재 등 콘크리트용 재료가 P형 슈미트해머에 의한 압축강도 추정 비파괴 시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알루미나 시멘트를 제외한 시멘트 종류, 혼화재 종류와 치환율, 골재 종류 및 굵은골재 최대치수 등 사용재료 요인이 P형 슈미트해머법 비파괴시험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작은 것으로 나타나 P형 슈미트해머를 여러조건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콘크리트에 광범위하게 적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P형 슈미트해머의 반발도와 압축강도간의 상관성은 콘크리트의 사용재료에 관계없이 매우 양호하게 나타나(상관계수 0.96 이상) P형 슈미트해머를 이용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압축강도를 추정할 수 있었다. 본 실험조건을 종합한 반발도에 의한 압축강도 추정식은 다음과 같다. $\cdot$수평면 타격 : Fc = 0.765RH - 5.74 (R=0.965) $\cdot$ 수직면 타격 : Fc = 0.793RV - 8.66 (R=0.959)

Fly Ash를 사용한 수중불분리 콘크리트의 유동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uidity of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Containing Fly Ash)

  • 권중현;배기성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3-161
    • /
    • 1998
  •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Fluidity of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containing Fly Ash. The results of study are concluded as follows: the increase in Slump Flow value did not happen in the plain concrete which was replaced cement by Fly Ash; however, the maximum value could reach in the replacement of 30% of Fly Ash by weight of cement in the Fly Ash replaced concrete. On the condition of Fly Ash-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in expecting 50 cm of the Slump Flow, it was necessary that the usage amount of Superplasticizer be around 1% of unit Binder, and 1.5% in 60 cm of the Slump Flow, respoectively.

  • PDF

폴리이미드/NaX막의 기체투과 특성에 미치는 NaX의 영향 (Effectss of Zeolite contained in Polyimide Membrane for Gas Permeation Properties)

  • 최익창;김건중;남세종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7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51-52
    • /
    • 1997
  • 1. 서론 : 폴리이미드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열적, 화학적 안정성으로 인해 최근 막분리 재료로 많이 연구 검토되고 있다. 대부분의 폴리이미드는 비교적 높은 선택도를 가지고 있으나 투과계수가 떨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어소 이를 극복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 결과 투과계수를 크게 증가시킨 폴리이미드를 함성하였으나 선택도는 감소하여 투과특성의 상위한계를 넘지는 못하였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의해서 복합잴를 이용하거나 UV,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고분자막의 수식 등 많은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NaX형 제올라이트를 폴리이미드에 혼화시킨 막으로 산소/질소의 분리투과특성의 개선을 시도하였으며, NaX형 제올라이트와 폴리이미드 혼화방법, 혼화비율 등이 기체투과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NaX형 제올라이트는 직접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폴리이미드는 2,3,5,6-Tetramethyl-1,4-phenylenediamine(p-TeMPD)과 (3,3,4,4'-dicarboxyphenyl)-hexafluoropropene-dianhydride(6FDA)로 합성한 6FDA-p-TeMPD 폴리이미드를 사용하였고, 그 투과계수는 122Barrer, 선택도$\alpha$$_{N_2/O_2}$ = 3.4이다.

  • PDF

혼화재를 조합 사용한 초지연 콘크리트의 응결시간 추정 (Estimation of the Setting Time of the Super Retarding Concrete Combining Mineral Admixtures)

  • 한민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11-117
    • /
    • 2008
  • This study provides the setting time prediction method of super retarding concrete incorporating mineral admixtures at the same time including fly ash(FA), blast furnace slag(BS) based on maturity method. The setting time was retarded, as super retarding agent contents increase and curing temperature decreases. In addition, apparent activation energy by Arrhenius function was ranged from $24{\sim}35KJ/mol$ with slightly difference along with mixture proportion. This value is smaller than existing value $30{\sim}50KJ/mol$. It is Indicated that equivalent age using setting time can be a proper method to predict setting time and it also exhibited comparable relativity between prediction value and measurement value. Therefore, this study provided setting time prediction value with super retarding agent contents and mineral admixture combination. Setting time prediction equation provided herein is possibly valid for estimating precise setting time of the super retarding concrete at the job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