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혼화재료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59초

POFA를 혼입한 시멘트의 포졸란 반응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ozzolan Reaction Degree of Palm Oil Fuel Ash as a Mineral Admixture for Sustainable Concrete)

  • 이형민;이한승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335-336
    • /
    • 2010
  • POFA(Palm oil fuel ash)는 Palm fiber 와 shell의 부산물로써 콘크리트용 혼화재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POFA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포졸란 반응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적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른 콘크리트용 혼화재료와 동일한 수준으로 POFA의 혼입 치환율을 달리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및 활성도 지수, 포졸란 활성도 지수(API)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혼화재료로서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 PDF

혼화재 종류 및 치환율이 콘크리트의 내염성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the Kinds and Replacement Ratios of Mineral Admixtures on the Development of Concrete Resistance against the Penetration of Chloride Ions)

  • 김영진;이상수;김동석;유재강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319-326
    • /
    • 2004
  • 본 연구는 콘크리트의 시공성 및 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혼화재료(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미분말, 실리카퓸 및 메타카올린)를 해양환경에 노출되는 콘크리트에 적용할 경우, 혼화재료가 콘크리트의 내염성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비교적 단기간에 평가할 수 있는 전기적 촉진시험방법을 사용하여 혼화재 종류 및 치환율, 물-결합재비, 재령에 따른 염화물 확산계수를 비교$\cdot$평가하였다. 혼화재 종류 및 치환율에 따른 염화물 확산계수 평가결과 물-결합재비 수준에 따라 성능의 차이는 있지만 각 혼화재별로 염화물 침투저항성이 우수한 치환율 수준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염화물확산계수는 물-결합재비 수준에 따른 영향과 더불어 적정의 치환율을 적용한 혼화재의 사용에 의해서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의 경과와 함께 염화물 확산계수도 감소되는 시간의존적인 특성은 혼화재 종류 및 치환율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압축강도와 염화물 확산계수는 반비례의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본 연구의 범위에서 보면 50MPa 이하영역에서는 염화물 확산계수는 압축강도 발현특성과 더불어 혼화재 사용 및 치환율에 따른 영향도 크게 나타나고 있어, 향후 염해 환경하에서 내구성을 고려한 구조물 설계시 보다 정확한 내구성능 평가를 위해서는 압축강도 발현특성 검토와 더불어 염화물 확산계수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ET보강섬유를 혼입한 황토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균열저항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hrinkage and crack resistance of Hwang Toh concrete mixed with PET fiber)

  • 김현영;김성배;이나현;한병구;김장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797-800
    • /
    • 2008
  • 시멘트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포졸란 반응재료들이 혼화재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매장되어 있는 황토는 친환경 재료로서, 포졸란 반응을 하는 활성황토는 콘크리트의 혼화재로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PET보강섬유는 폐 PET병을 재활용하여 만든 친환경재료로서 콘크리트에 혼입되어 미세균열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보강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미비한 실정이고 황토를 혼화재로 사용한 콘크리트의 경우 황토 혼화재의 포졸란 반응과 보강섬유의 보강효과가 복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토와 PET보강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 거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건조수축 시험을 통해 황토와 PET보강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재료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콘크리트용 혼화재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Admixtures for Concrete)

  • 배수호;정영수;박광수;이준구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5-125
    • /
    • 1999
  • 콘크리트의 품질확보와 문제점 해결방안으로서 20세기 전반까지는 주로 시멘트의 종류를 달리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그 후반기부터는 각종 혼화재료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결점을 보완하고 각종 요구성능에 부응하는 다양한 품질의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같은 다양한 요구에 부응키 위해서는 혼화재료의 사용이 필수적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강도증진 및 수화열 저감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리카흄, 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농업부산물인 왕겨재의 특성을 규명키 위하여 이들을 혼입한 콘크리트에 대해서 단위결합재량별(300~600kg/$m^3$)로 이들 각각의 혼입률에 따라서 시공성 및 강도특성을 분석한 후 각 혼화재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최소 결합재량과 시공성 및 강도특성이 가장 우수한 최적 혼입률 등을 도출하였다.

고강도 시멘트 경화체의 특성에 미치는 미세골재 및 혼화재료의 영향 (Effect of Micro-aggregate and Admixtures on the Properties of High Strength Hardened Cement Paste)

  • 김정환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149-157
    • /
    • 1994
  •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수용성 고분자 물질인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HPMC), 미세골재 및 혼화재료를 사용하여 W/C=0.1이 되도록 물을 첨가하고 twin roll mill로 혼합 성형한 후 60일간 양생하여 고강도 시멘트 경화체를 제조하였다. 이 경화체에 대한 휨강도 및 파괴인성을 검토하였다. SiC 분말 및 백색시멘트를 첨가한 경우 휨강도는 약 100MPa정도, 탄성계수는 80-95GPa의 값을 나타내었다. 실리카흄을 첨가한 경우 휨강도는 80MPa, 탄성계수는 60GPa의 값을 나타내었다.

천연 무기 광물계 혼화재료를 혼입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저항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rosion Resistanc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using Natural Inorganic Minerals)

  • 태성호;박재영;김재영;박재승;경제운;남호윤
    • KIEAE Journal
    • /
    • 제7권4호
    • /
    • pp.127-133
    • /
    • 2007
  • As a fundamental study on the corrosion resistanc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using Natural Inorganic Minerals exposed to carbonation environment, The test specimens were concrete(W/C=60%) with Natural Inorganic Minerals content of 0%, 10%. Accelerated carbonation and autoclave corrosion accelerated curing were then conducted with them. The corrosion resistance of steel in concrete with Natural Inorganic Minerals content of 0%, 10% was examined by corrosion form, half-cell potential, polarization resistance, corrosion area and weight loss after 24 hours of autoclave corrosion accelerated curing.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s for steel in concrete with Natural Inorganic Minerals content of 10%, the corrosion resistance was more excellent than steel in concrete with Natural Inorganic Minerals content of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