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혼합 독성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36초

커피와 작두콩 추출물의 혼합에 따른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 mixture of coffee and sword bean extracts)

  • 배훈천;박정업;문제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37-243
    • /
    • 2020
  • 커피에 작두콩 추출물의 혼합에 따른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였다. 커피 추출물과 작두콩 추출물을 1:1, 1:2, 1:3, 1:4, 1:5 (v/v)의 비율로 혼합한 시료를 대상으로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평가와 세포독성 평가 및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염증 매개물질인 NO, 염증성 cytokine인 TNF-α와 IL-6의 생성 및 iNOS 단백질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은 작두콩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커피와 작두콩 1:4 (v/v)의 혼합 비율에서 대략 80%의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을 보였다. MTS assay로 세포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커피와 작두콩 1:1, 1:2, 1:3, 1:4, 1:5(v/v) 혼합 추출물 모두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TNF-α의 발현 저해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iNOS 단백질 발현과 그에 따른 NO와 IL-6의 생성은 효과적으로 억제됨이 확인되었다. 특히, 커피와 작두콩 1:2 (v/v) 혼합 비율에서 IL-6와 iNOS의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볼 때, 작두콩을 커피의 블렌딩 소재로 이용함으로써 항산화와 항염증 기능이 향상된 커피음료의 제조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시사되었다.

Glass ionomer cement와 혼합한 mineral trioxide aggregate의 생체친화성 (Biocompatibility of experimental mixture of mineral trioxide aggregate and glass ionomer cement)

  • 오민제;정유나;배인호;양소영;박범전;고정태;황윤찬;황인남;오원만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5호
    • /
    • pp.359-367
    • /
    • 2010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glass ionomer cement (GIC)와 혼합된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의 생체친화성을 평가하고 이것을 MTA, GIC, IRM, SuperEBA와 비교해보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재료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MG-63세포를 이용해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과 XTT assay를 실시하였다. 결과: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에서는 GIC와 혼합한 MTA, MTA, GIC의 표면에서 세포질 돌기를 가진 많은 세포들이 밀집되고 융합된 형태로 관찰되었다. 반면 IRM과 SuperEBA에서는 세포들의 수가 적고 둥근 양상을 보여주었다. XTT assay에서는 GIC와 혼합한 MTA에서의 세포 활성도는 모든 시점에서 MTA 또는 GIC와 유사하였다. 반면 IRM과 SuperEBA에서는 모든 시점에서 세포활성도가 다른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더 낮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GIC와 혼합된 MTA는 MTA, GIC와 유사한 세포 반응을 나타냈다. 이것은 GIC와 혼합된 MTA가 MTA, GIC와 마찬가지로 좋은 생체친화성을 가진 재료라는 것을 시사한다.

Anti-Helicobacter pylori IgY의 안전성 및 임상적 효과 (The Safety and Clinical Test of Anti-Helicobacter pylori IgY)

  • 정순희;김현주;이수원;류영수;박형석;이남형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65-471
    • /
    • 2005
  • 본 연구는 H. pylori를 산란계에 과면역시켜서 얻은 anti-H pylori IgY난황 분말의 안전성과 위염 환자에 있어서 H. pylori에 대한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Anti-H. pylori IgY난황 분말의 안전성 실험은 급성 독성실험과 아급성 독성실험으로 알아보았다. 급성 독성 실험시 식이섭취나 성장 모두 정상적이었고, 마우스의 체중(kg)당 400mg까지 투여했을 때 이상을 관찰할 수 없었다. 아급성 독성실험에서 외관상의 이상현상은 관찰할 수 없었고, 혈청의 CBC 검사에서 백혈구 수치도 정상적이었다. 그리고 소화기관과 간조직의 병리학적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로 미루어 anti-H pylori IgY난황분말은 독성이 없음이 확인되었다. 임상실험에서는 WSF 분말 급이군의 UBT 수치는 58.65에서 35.33으로 약 23.31 감소하였으며, anti-H pylori IgY 난황분말 혼합 급이군의 UBT 수치는 47.77에서 28.81로 약 17.95 감소 효과를 보였다. WSF 분말 급이군은 anti-H. pylori IgY 난황분말 혼합 급이군보다 UBT 수치의 감소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임상실험에서 anti-H, pylori IgY는 H. pylori의 억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SD흰쥐를 이용한 n-decane의 28일 반복흡입독성연구 (A Twenty-Eight Days Inhalation Toxicity Study of N-decane in Sprague Dawley Rats)

  • 임경택;김현영;송경석;정용현;장희경;한정희;이성배;전윤석;이용묵;유일재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9권4호
    • /
    • pp.345-352
    • /
    • 2004
  • N-decane은 지방족탄화수소로 다른 탄환수소들과 같이 혼합된 형태로 존재하며 페인트 제거제나 드라이 크리닝 제품에 사용된다. 최근의 본 연구팀이 실시한 전자산업계의 MSDS 신뢰성조사 결과에 따르면 세정제의 사용 경향은 과거의 방향족 탄화수소나 CFC. HCFC에서 $C_{10}$이상의 지방족탄화수소 물질로 변화되고 있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Stoddard solvent나 나프타 같은 탄화수소 혼합물에 대한 작업 환경노출기준은 설정되어있지만 n-decane에 대해서는 제한적인 독성자료 밖에 없으며 작업환경노출기준은 설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작업환경에 대한 적절한 관리기준제시와 독성학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n-decane을 28일 반복 흡입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6주령 흰쥐로 체중이 229$\pm$10g되는 숫컷과 165$\pm$7g되는 암컷 흰쥐를 4개 용량군 즉 대조군, 저농도군(50ppm), 중농도군(200ppm), 고농도군(800ppm) (각군당 10마리)으로 설정하여 하루 6시간, 주5일로 4주간 흡입쳄버에서 노출시켰다. 28일간 노출 후 n-decane의 노출용량에 따른 암수의 체중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유의한 혈액학적 생화학적 변화도 발견되지 않았다. 고농도로 노출된 수컷 몇 마리에서 고환 세정관에서의 공포화(vacuolization)가 발견되었으나, 간신장, 비장, 폐, 부신, 심장, 뇌 등 다른 장기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는 뚜렷한 조직병리학적인 변화를 발견할 수 없었다.

농업용 폐비닐 열분해 파생물질의 조성분석과 유해성 평가

  • 신혜순;강주연;김미경;정기화;심성훈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3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151-151
    • /
    • 2003
  • 토양에 방치된 농업용 폐비닐은 거의 분해가 되지 않으며, 수분과 공기의 유통을 차단하고 토양 내 미생물들의 흐름을 막아 토양을 더욱 황폐화시키게 된다. 불법적인 소각 때는 산불의 위험에다 다이옥신, 염소 및 염화수소가스 등을 배출해 대기오염을 유발시킨다. 폐비닐을 열분해과정으로 처리하여 아주 작은 입자로 미분쇄하고 겔상태로 용융된 원료물질속으로 완전히 균일하게 혼합하여 골재로 활용하는 과정에서 가스상과 액상의 여러 가지 중간생성물질이 발생하게 되며, 농약의 살포에 의한 잔류농약 둥 인체에 유해가능한 요소들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공정이나 제품에서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에 대하여 유해성을 평가하고 용응 겔 및 가스와 오일에 함유된 화학성분을 분석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시험동물의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는 농업용 폐비닐물질 및 열분해 파생물질의 혈청 Cholesterol, 혈청 Alanine aminotranseferse와 Aspartate aminotransferse, Albumin 수치, LDH, Glucose, Uric acid, A/C 비 등의 생화학적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들에서는 농업용 폐비닐물질을 투여한 시험군에서 나타난 결과와 비교하여 열분해 파생물질을 투여한 시험군에서 나타난 결과가 감소된 통계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들은 농업용 폐비닐물질을 투여한 시험군보다 열분해 파생물질을 투여한 시험군의 외부독성물질 투여에 의한 생체독성의 영향과 생체에 가해진 스트레스강도가 작았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잔류농약분석에서는 시료로부터 농약을 추출하는 용매추출과정, 시료추출물 중 공존하는 방해성분을 제거하는 정제과정, 폐비닐물질 및 열분해 파생물질 성분을 100mg/kg 이상군의 투여 후 시험동물의 부검시 모든 투여군에서 독성소견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 열분해 및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생물질의 분석결과를 응용하여 대기오염을 방지하고 인체 유해물질을 차단하는 공해 방지 설계의 기초자료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추출발효에 의한 구연산 생산 (Citric Acid Production by Extractive Fermentation)

  • 조중웅;이진석홍석인
    • KSBB Journal
    • /
    • 제9권4호
    • /
    • pp.406-411
    • /
    • 1994
  • 용매추출에 의한 구연산발효를 시도하였다. 발효 배지내 구연산 농도와 추출용매의 독성이 구연산의 생산성을 결정하는 주 인자였다. 특히 이온화되지 않은 구연산은 강력한 발효억제효과를 가져 구연산 농도가 $5g/\ell$ 이상이면 구연산 생산은 거의 중지되었다. 구연산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해 3차 아민과 oleyl alcohol의 혼합액을 용매로 사용하였다. 구연산의 추출발효에 척함한 용매조성은 30% 아민 70 % oleyl alcohol로 밝혀졌다. 이 조건에서 추출발효시 구연산농도는 $15.2g/\ell$ 로 동임한 조건에셔 용매 를 첨가하지 않고 발효하여 얻은 구연산농도 $5g/\ell$에 비해 3배 이상 높았다. 아빈 농도가 30%를 념으 면 추출능은 향상되나 용매의 독성효과로 생산성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균체에 대한 용매의 독성효과는 균체를 polyure-thane foam에 고정화함으로써 현저하게 줄일 수 있었다.

  • PDF

수질 예측 모형 개발을 위한 해석기법 검토 (Analysis techniques review for the development of a water quality prediction model)

  • 성호제;이동섭;박인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301-301
    • /
    • 2020
  • 물은 보다 나은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자원이며,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받는 것은 국민 생활 영위에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국내 주요 수자원은 하천수를 통해 확보하고 있으며, 안전한 수자원 공급을 위해서는 하천관리를 통한 수질오염사고에 대비한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페놀, 황산 등 독성오염물질 유출로 인한 수질오염사고가 발생한 바 있고, 그 피해액이 수백억에 달한다. 이러한 수질오염사고로 인한 피해액을 감소시키고 안전한 수자원 공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의 거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국내하천의 경우, 대부분 하폭 대비 수심비가 크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2차원 혼합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 내 오염물질의 2차원적 혼합거동을 해석할 수 있는 수치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며, 현장에 적합한 해석기법을 검토하고 모형 개발 방향을 결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내 수질오염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수질 분석 및 예측을 목표로 오염물질 혼합해석에 주로 활용되는 격자기반 모형과 입자추적 기반 모형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했다. 용존성 오염물질을 대상으로 격자 기반 및 입자 기반 혼합해석 모형을 개발했으며, 오염물질의 주입형태와 하천 내 유속 분포를 가정해 혼합해석을 수행했다. 격자 기반 모형의 경우, 경계조건과 분산계수의 결정이 필요하고 수렴/발산 문제로 인해 모형의 안정적 실행을 위한 조건 수립이 필요하다. 입자 기반 모형의 경우에도 입자 수에 따른 계산시간 개선이 필요하지만, 입력조건 결정이 간편하고 분산계수 입력이 필요 없어 신속한 모의조건 설정이 가능하다. 오염물질 혼합해석 모형 개발을 위한 해석기법 검토 결과, 신속한 수질 분석 및 예측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계산시간 개선을 전제로 모의조건 설정이 용이한 입자 기반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llyl Alcohol 및 Ethanol 혼합투여에 의한 혈중 농도 변화 및 독성과의 상관성 (Kinetic Studies of Parent Compounds and Its Metabolite by Combined Treatment of Allyl Alcohol with Ethanol in vivo)

  • 이주영;정승민;이무열;정진호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557-562
    • /
    • 1998
  • Allyl alcohol is metabolized in the liver through two steps, first to reactive acrolein by alcohol dehydrogenase (ADH), subsequently to acrylic acid by aldehyde dehydrogenase (ALDH). Since ethanol could compete the same enzymes to be metabolized in the liver, we have determined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allyl alcohol and ethanol followed by combined treatment. Pretreatment of rats with 2g/kg ethanol followed by ip administration of 40mg/kg allyl alcohol increased the lethality significantly. Determination of in vivo blood concentrations revealed that ethanol pretreatment caused the apparent decrease in allyl alcohol clearance, whereas acetaldehyde level in blood increased significantly by allyl alcohol treatment, as determined by head space GC analysis. Treatment of 4-methylpyrazole, an inhibitor of ADH, delayed allyl alcohol elimination significantly and reduced its lethality. Coll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reduction of allyl alcohol clearance in the presence oj ethanol was mediated through ADH competitive inhibition.

  • PDF

질트리코모나스에 대한 림포카인황성대식세포의 세포독성능 (Cytotoxicity of lymphokine activated peritoneal macrophages against Trichomonas vaginalis)

  • 윤경;류재숙;민득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4호
    • /
    • pp.381-388
    • /
    • 1991
  • 정상 BALB/c 마우스의 복강에서 분리한 대식세포를 조제 림포카인 및 재조합 림포카인 (rGM-CSF, rIL-2, rIL-4, $rIFN-{\gamma}$)으로 18 시간 반응시켜 활성화시키고 대식세포 $1{\times}10^5$ 개와 $methyl-[^3H]-thymidine$으로 표지된 질트리코모나스 $1{\times}10^4$ 개를 10:1 비율로 넣고 18 시간 동안 $37^{\circ}C$, 5% $CO^2$ 항온항습기에서 반응시킨 다음 상청액 $100{\;}{\mu}l$씩을 scintillation cocktail 2ml에 넣어 방사능을 측정하여 세포독성을 관찰하고 nitrite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rIL-2 40U/m1나 $rIFN-{\gamma}$ 100U/ml로 활성화시킨 대식세포는 대조군 보다 높은 세포독성을 보였으나 2개의 림포카인을 촌합시켰을때 낮은 세포독성을 보였다. rIL-4를 rGM-CSF, rIL-2 및 $rIFN-{\gamma}$와 각각 혼합시켰을 때 각 림포카인에 의한 대식세포의 세포독성은 감소되었다. 조제 림포 카인에서 IL-2에 대한 항체는 세포독성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Nitrite 생산량은 $rIFN-{\gamma}$ 및 rIL-4 각각으로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켰을 때 세포독성 정도와 비례되었고, rIL-2와 $rIFN-{\gamma}$을 혼합 시켰을 때 nitrite 생산량이 높고 증식이 억제되었으나 세포독성은 낮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rIL-2 및 $rIFN-{\gamma}$는 각각 단독으로도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질트리모나스에 세포독성을 나타내며 rIL-4 는 세포독성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며, nitrite 생산량은 세포독성과 반드시 비례하지 않으나 nitric oxide가 질트리코모나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GS 인체 위암세포에서 DR5의 발현 및 ROS 생성의 증가를 통한 sanguinarine과 TRAIL 혼합처리의 apoptosis 유도 활성 촉진 (Sanguinarine Increases Sensitivity of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to TRAIL-mediated Apoptosis by Inducing DR5 Expression and ROS Generation)

  • 이택주;임용균;최우영;최성현;황원덕;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9호
    • /
    • pp.927-934
    • /
    • 2014
  • 혈근초(Sanguinaria canadensis) 뿌리에서 유래된 benzophenanthridine alkaloid의 일종인 sanguinarine은 항균, 항산화 및 항암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록 TRAIL이 암세포에서는 apoptosis를 유도하지만 정상세포에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큰 장점으로 제 2 임상 단계에서 유의적인 성과를 이루었지만, TRAIL 저항성을 극복해야 하는 큰 어려움이 남아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TRAIL이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범위의 sanguinarine과 혼합처리에 의하여 TRAIL 저항성 AGS 위암세포에서 apoptosis를 유발하였음을 보고한 바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sanguinarine의 TRAIL 저항성 관련 극복에 대한 추가적인 기전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sanguinarine과 TRAIL의 혼합처리는 각각의 단독 처리에 비하여 AGS 세포의 증식억제 및 apoptosis 유도의 상승 효과가 있었으며, 이를 MTT assay, agarode gel 전기영동, 염색질 응축 현상 및 flow cytometry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sanguinarine과 TRAIL의 혼합처리는 DR5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ROS의 생성을 촉진시켰다. 그러나 동일 조건에서 MAPKs 신호 전달계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아울러 ROS 생성을 인위적으로 차단하였을 경우, sanguinarine과 TRAIL의 혼합처리에 의한 생존도 저하가 유의적으로 회복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sanguinarine과 TRAIL이 DR5의 발현 증가와 ROS의 생성을 촉진시킴으로서 apoptosis 신호를 활성화하였음을 의미하는 결과로서 TRAIL 저항성 극복을 위한 sanguinarine 활용의 유용성을 보여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