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혼합 감염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9초

가을철 유행하는 급성열성질환의 혼합감염 양상 (The Behavior of Acute Febrile Illness with Incidence the Fall Mixed Infection)

  • 오혜종;윤현;최성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304-312
    • /
    • 2012
  • 본 연구는 가을철 급성열성질환인 쯔쯔가무시병의 단독감염과 신증후군 출혈열과의 혼합감염 시 임상증상 및 혈액검사의 양상을 보고자 전라남도 일개종합병원에서 최근 5년간 쯔쯔가무시병 혈청학적 확진검사에서 항체역가가 1:80이상인 양성 환자 221명을 분석하였다. 쯔쯔가무시병 단독감염 환자는 183명이며, 신증후군 출혈열과의 혼합감염 환자는 38명이었다. 연령별 환자발생은 70세 이상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성별 분포는 남성이 70명(31.7%), 여성이 151명(66.8%)으로 여성에서 다소 높았다. 발생 시기는 10월과 11월에 전체 발생율의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대상자의 임상증상은 발열(p=0.028)과, 가려움증(p=0.000), 근육통(p=0.000)에서 단독감염보다 혼합감염 시 유의하게 높았으며, 혈액검사 상 AST(p=0.000), ALT (p=0.000), 혈액요소질소(p=0.002), 총 빌리루빈(p=0.000)수치가 단독감염보다 혼합감염 시 유의하게 높았다.

토양전염성 맥류바이러스 발생지역 및 맥류품종의 저항성 조사 (Survey of Barley (Hordeum vulgare L.) Cultivars Resistance to Mosaic Viruses and Areas Infected with Soil-borne Barley Mosaic Viruses)

  • 이귀재;김형무;이왕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86-294
    • /
    • 2001
  •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전국42개 지역에서 토양전염성 맥류바이러스를 조사한 결과 강원도 영월, 전라북도 무주, 충청남도 공주, 보령, 서천 포장을 제외한 37개 포장에서 BaYMV, BaMMV 및 SbWMV가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토양전염성 맥류바이러스 상습 발병지 10개 장소에 겉보리 10품종, 쌀보리 16품종, 맥주보리 6품종, 밀 2품종을 파종하고 저항성 조사를 실시한 결과 겉보리는 조강보리, 쌀보리는 내한쌀보리 및 논산과1-6품종이 비교적 여러지역에서 저항성 높은 품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본에서 분양 받은 15품종도 대부분이병성으로 나타났으나 특이하게 익산, 영광 및 예산지역에서 저항성 품종이 많았다. 지역간 품종에 따른 바이러스 혼합 감염을 조사한 결과 조사 10개 지역 모두 BaYMV, 및 BaMMV가 혼합 감염되어 있었고, BbWMV는 예산, 진주, 나주 및 익산지역에 혼합감염되어 있었다. 그러나 영광지역에서는 사천6호 품종을 제외하곤 BaYMV만이 발생하였다. 일본 분양 품종은 예산에서만 BaYMV가 감염되었고 나머지 지역에서 모두 BaMMV 및 BaYMV에 혼합 감염되 어 있었다.

  • PDF

마늘 잠복 바이러스의 순수분리 및 증식 (Purification and Amplification of Garlic Latent Virus)

  • 최진남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3호
    • /
    • pp.259-263
    • /
    • 1992
  • 한국 마늘에 감염되어 있는 주된 바이러스 중의 하나로 알려진 마늘 잠복 바이러스 (GMV)의 분자 구조와 병 발생 메카니즘을 이해하기 위하여, 국부 감염 숙주 식물인 Vicia faba에 연속적으로 감염시킴으로써 마늘 잠복 바이러스를 정제하였고, GMV에 대한 전신 감염성 숙주 식물로 생각되는 leek에서 GLV를 대량으로 증식시켰다.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입자를 관찰한 결과, 마늘 바이러스들의 입자의 길이는 200-2000 nm의 분포를 보였으나 입자의 대부분은 600-900 nm의 범위 안에 존재하였다. 반면 순수 분리된 GLV 입자는 평균 690 nm의 길이를 보여주었고, 유연한 실 모양이었다. SDS-PAGE 분석으로 혼합 감염된 마늘 잎으로부터 분리된 마늘 바이러스의 구조 단백질은 분자량 24,500-38,000 Da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나, GLV 껍질 단백질의 분자량은 34,000 Da으로 나타났다.

  • PDF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 Edwardsiella tarda와 Streptococcus iniae 단독 또는 혼합감염의 병원성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Pathogenicity Following Single or Coinfection with Edwardsiella tarda and Streptococcus iniae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권문경;정승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591-601
    • /
    • 2012
  • 양식 넙치에 Edwardsiella tarda 또는 Streptococcus iniae를 단독 또는 혼합감염하여 넙치에서 병원성을 비교하였다. 넙치에 단독 또는 혼합감염 후 혈액생화학적 성상으로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tate aminotransferase (AST), glucose 농도, total protein 농도를 조사하였으며, 라이소자임 활성, 신장과 비장 조직 중의 세균수, 조직병리학적 변화와 누적폐사율을 조사하였다. 혼합감염구는 다른 시험구에 비하여 누적폐사율, 신장과 비장 조직 중의 세균수, AST활성과 병리조직학적 변화가 크게 나타났으나, 라이소자임 활성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E. tarda와 S. iniae의 혼합감염은 신장과 비장 조직 중의 세균수 증가와 내부 장기의 손상으로 숙주에 높은 병원성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2000~2010년 우리나라 양식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병원체 감염현황 (Current status of pathogen infection in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between 2000 and 2010)

  • 김위식;옥하나;김도형;김흥윤;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7-245
    • /
    • 2011
  • 2000~2010년까지 감염성질병 발생에 의한 것으로 의심되는 폐사가 발생한 23개소 양식장의 병든 뱀장어를 대상으로 총 29건의 병원체 검사를 실시하였다. 총 7종의 병원체 감염이 확인되었고, 병원체의 감염률은 Pseudodactylogyrus sp. (65.5%, 19/29 시료), aquabirnavirus (ABV, 62.5%, 15/24 시료), Edwardsiella sp. (44%, 11/25 시료), anguillid herpesvirus 1 (AngHV1, 16.7%, 2/12 시료), Heterosporis sp. (10.3%, 3/29 시료), Vibrio sp. (8%, 2/25 시료), Trichodina sp. (3.4%, 1/29 시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병원체의 감염은 단독감염 (44.8%, 13/29 시료) 보다 혼합감염(62.1%, 18/29 시료) 이 높게 나타났으며, 혼합감염의 경우 2~5종의 병원체가 복합적으로 감염되어 있었다. 혼합감염률은 Pseudodactylogyrus sp.-Edwardsiella sp. (10.3%, 3/29 시료), Pseudodactylogyrus sp.-ABV (10.3%, 3/29 시료), Edwardsiella sp.-ABV (6.9%, 2/29 시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생충, 세균 및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은 조사된 대부분의 지역에서 나타났으며, 수온 $25{\sim}30^{\circ}C$ 범위에 사육되고 있는 뱀장어 치어를 비롯한 성어에 이르기까지 무차별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돼지의 기관분비에서 Sulfadiazine과 Trimethoprim의 약물동태학 (Pharmacokinetics of Sultadiazine/Trimethoprim from Bronchial Secretion in Pigs.)

  • 김길수;윤효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2-47
    • /
    • 1997
  • 돼지의 호흡기감염은 양돈산업에서 과밀한 사육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주요한 질환중의 하나이다. 호흡기감염을 일으키는 병원체들은 주로 기관분비물과 점액에 상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호흡기감염의 치료를 위하여 기관분비물내에 항균약제의 농도는 적절하게 유지되어져야 한다. sulfadiazine(SDZ)과 trimethoprim(TMP)의 혼합제제는 전세계적으로 돼지의 호흡기감염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기관분비물에서 약물의 동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찾아 볼 수가 없었다. 본 연구는 돼지의 좌측전대정맥으로 SDZ/TMP혼합제제를 일회 투여한 후 형성되는 약물동태학적 매개변수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혈장과 기관분비물에서 SDZ/TMP농도는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측정하여 약물동태학적 매개변수를 산출하였다. 혈장에서 SDZ와 TMP의 약물동태학적 매개변수는 2-compartment 와 1-compartment모델에 적합하였다. 혈장내 TMP의 반감기(0.90$\pm $0.06시간)가 SDZ(7.25$\pm $1.09시간)에 비하여 매우 짧은 점이 주요한 차이점으로 볼 수 있었으며, 더욱이 투여후 8시간이후에서는 측정이 되지 않았다. 기관분비물에서 SDZ의 농도는 전체 실험기간(0.5∼32시간)동안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고, 16시간후에서는 혈장농도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TMP농도는 투여후 2∼3시간에서 혈장농도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호흡기감염의 처치와 예방에 있어서 약물의 용량 및 투여빈도를 결정하는데 응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 PDF

봄철, 기생충을 몰아냅시다

  • 민홍기
    • 건강소식
    • /
    • 제12권3호통권112호
    • /
    • pp.24-27
    • /
    • 1988
  • 어떤 구충제든 1회 복용으로 완전 구충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이며, 여러 종류의 기생충이 혼합 감염되어 있을 때 이들 모두를 한꺼번에 몰아낸다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1차복용 후 재검사로 구충효과를 평가하는 것이 현명하다. 기생충증은 많은 경우 감염되었다는 사실을 모르고 지내기도 하며, 알면서도 대수롭지 않게 여겨 버리기도 하나 선진국 대열에 진입하는 나라의 국민으로서 그리고 올림픽경기를 개최하는 나라의 국민으로서 금년 1988년의 봄철에는 모두가 구충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면 싶은 심정 간절하다.

  • PDF

범주형 자료에 대한 혼합모형 (A generalized linear model for vaccination data on chickenpox)

  • 최재성
    • 응용통계연구
    • /
    • 제10권2호
    • /
    • pp.325-338
    • /
    • 1997
  • 본 논문은 병후면역이 일생동안 지속되는 한 감염성 질병이 발생집단에서 질병발생 집단내 감염되지 않은 개체들에 대한 어떤 처치의 예방접종 효과, 즉 항체생성율이 비감염율 그리고 예방접종율과 같은 관련비율들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통계적 분석모형으로 연속적 종속모형을 제시하고, 모형내 미지모수들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논의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