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혼합특성

Search Result 7,99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Characteristics of Dual Transverse Injection in Supersonic Flow Fields I-Mixing Characteristics (초음속 유동장 내 이중 수직분사의 특성에 관한 연구 I-혼합특성)

  • Shin, Hun-Bum;Lee, Sang-H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0 no.6
    • /
    • pp.53-60
    • /
    • 2002
  •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single transverse injection in supersonic flow fields, the mixing characteristics of dual transverse injection of hydrogen in supersonic air flow are studied with computational methods. Three-dimensional Navier -Stokes and the k-$\omega$ SST turbulence model were used. A parametric study is conducted with the variation of the distance between two injectors. The flow patterns and the mixing characteristics of two injection flows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flow patterns and the mixing characteristics of the rear injection flow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ose of the first injection flow. The increase of the distance between two injectors up to a specific distance results in the increase of mixing rate and penetration of fuel. However, the increase of the distance over the specific distance results in the decrease of mixing rate and penetration of fuel. From the results it can be stated that there exists a distance between two injectors for optimum mixing characteristics.

A Mixture Phenomena Expressed in Contemporary Knit Fashion - Focus on Woman Collection from 2000 to 2008 - (현대 니트패션에 나타난 혼합현상 - 2000년~2008년 여성컬렉션을 중심으로 -)

  • Park, Moon-Hee;Lee, Youn-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3 no.12
    • /
    • pp.1924-1934
    • /
    • 2009
  • Mixture phenomena are present in the overall culture due to internationalization in a modern society. A unique feel is required in materials due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knit wear and there is a need for a strategic plan to achieve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appearance frequency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mixture phenomena based on selected data from collections related to the mixture phenomena trends in modern women's fashion from 2000 to 2008. Among the mixture phenomena, the mixture of the high and low class cultures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occurrence and was expressed most often since the expansion of design areas was due to vague high and low concepts. The mixture of sexes showed the sharing of knit wear trends between the sexes with the pursuit of functionality. The mixture of style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since the traditional form was transformed into a mixture of typical styles. The mixture of spaces showed a mixture of old and traditional knit wear patterns from Northern Europe and modern elements. The mixture of other materials showed the partial preceding mixture and the decorative materials that existed beyond it. The mixture of functions refers to the used characteristics of the two items. Imagination will grow an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expressions with the mixture of the other areas.

Spatial Analysis of Mixing Characteristics in a River Confluence using ADCP (ADCP를 활용한 하천 합류부 수체 혼합의 공간 특성 분석)

  • Son, Geunsoo;Kim, Dongsu;Kim, Young Do;Lyu, S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5-75
    • /
    • 2017
  • 하천의 합류부는 서로 다른 지형학적 특성과 수리학적 특성을 가지는 두 개의 하천이 하나로 합쳐지는 구간으로 급격한 흐름의 변화 및 퇴적물의 유입과 수리학적 지형변화가 발생하는 구간이다. 이러한 합류부에서는 흐름구조와 물의 물리 화학적인 특성이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고, 침식과 퇴적으로 인한 하상변동과 같은 하도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하천의 합류부는 두 지류가 만나 형성되는 지역으로 하천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간이다. 이러한 합류부 구간의 혼합 매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류의 다양한 유입조건에 따른 본류와의 수체혼합의 공간적인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합류부 연구들은 실측에 기반한 공간적인 수체혼합의 패턴 분석의 어려움으로 인해 수리 및 수질 수치모형에 의존하여, 실측자료에 기반하여 지류의 유입에 따른 수체혼합을 공간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DCP를 활용하여 합류부의 혼합 현상을 규명하는 인자로 유속과 수심 등 기본적인 수리학적 인자들뿐만 아니라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ADCP의 초음파반사율을 활용하여 상이한 농도의 유사가 혼합되는 양상을 측정하여 합류부의 혼합 특성을 공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초음파반사율은 부유사와 관련되는 인자로 SonTek ADCP 이동식으로 측정된 SNR자료를 확산, 물에 의한 흡수를 고려하여 보정한 후 3차원 혼합거동의 공간적인 분포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초음파반사율을 활용한 방식을 검증하고 지류와 본류의 유입 전후 입도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LISST 측정을 수행하였고, 드론 영상을 활용하여 유입 유사의 2차원 공간적인 분포를 확보하여 초음파반사율을 활용한 방법과 비교하였다. ADCP, LISST, 드론의 계측자료는 낙동강과 남강 합류부에서 측정되었고, ADCP로부터 제공되는 유속, 수심자료의 공간적인 분포를 분석하여 합류부의 수리특성을 분석할 수 있었고, 초음파반사율을 유사 혼합의 공간적 특성을 규명하는 인자로 활용하여 본류와 지류의 유입량에 따른 다양한 유사 혼합의 3차원 공간적인 패턴을 분석할 수 있었다.

  • PDF

PLIF 기법을 이용한 액체 로켓용 F-O-O-F 인젝터의 혼합특성 연구

  • 정기훈;윤영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2-2
    • /
    • 2000
  •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의 인젝터에 대한 연구는 연소효율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분무 액적의 크기 및 분포 특성 연구에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액체 로켓 엔진은 고온, 고압의 연소실 내에서 액체상태의 연료 및 산화제 액적이 매우 빠르게 기화되기 때문에, 미립화 특성 보다는 연료와 산화제의 혼합특성이 연소효율을 결정하는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분사된 액체 추진제는 미립화 단계 이전에 기화되어 초기 화염을 형성하므로, 분사 직후의 연료/산화제의 혼합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

  • PDF

Characteristics of Natural Hydraulic Lime Mortar Mixed with Basalt Fiber (바잘트 섬유를 혼합한 천연수경성석회 모르타르의 특성)

  • Moon, Ki-Yeon;Cho, Jin-Sang;Cho, Kye-Hong;Hong, Chang-Woo
    • Resources Recycling
    • /
    • v.24 no.6
    • /
    • pp.61-68
    • /
    • 2015
  • In this study, the strength properties of NHL based mortar with blending basalt fiber were investigated. In the first step, it was evaluated that physical properties of NHL based mortar according to mixing method of four types of basalt fiber and then mixing method of one type was selected. As a result of assessment, it showed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with mixing method of dry blending were better than that of wet blending and mixing method that basalt fiber pre-mixed with NHL for 5 min in a blender was selected and water and aggregate were finally added. Secondly, the investigation of blending fiber length on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for basalt fiber reinforced NHL based mortars was carried out.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decreased with adding fiber, and the flexural strength was increased more than plain mortar. In the case of adding 6 mm fiber,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were improved more than that of others.

Analysis of the mixing effect of the confluence by the difference in water temperature between the main stream and the tributary (본류와 지류의 수온차에 의한 합류부 혼합 양상 분석)

  • Ahn, Seol Ha;Lee, Chang Hyun;Kim, Kyung Dong;Kim, Dong Su;Lyu, Si Wan;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75-175
    • /
    • 2022
  • 하천 합류부는 서로 다른 지형학적 특성과 수리학적 특성을 가지는 두 개의 하천이 하나로 합쳐지는 구간으로 급격한 흐름의 변화 및 퇴적물의 유입과 수리학적 지형변화가 발생하는 구간이다. 합류부 구간에서는 물질의 종류 또는 온도차로 인해 밀도 차이로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것을 밀도류라고 한다. 밀도차이에 의해 성층이 생긴 수체혼합거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본류 및 지류의 일정 구간을 포함하는 합류부 구간에 대한 정밀한 계측 및 관찰이 필요하다. 이러한 수체 혼합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은 유속장 및 유량정보를 취득하여 파악할 수 있지만, 성층류가 흐르는 하천의 서로 상이한 물리적 특성과 수질특성을 가지는 수체의 혼합양상 및 그에 따른 물질혼합양상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합류부 구간에서의 수온 분포를 통하여 밀도류를 파악하고자 한다. 하천의 광범위한 데이터 중 연직 자료와 수표면 자료를 취득하였고, 이를 통해 합류부의 성층현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ADCP를 보트 측면에 설치하여 저속운행으로 수리량을 측정하는 방식과 YSI를 이용해 측선설치 없이 측선 선정 후 보트를 이용하여 흐름에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하며 실시간 농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얻은 연직자료 중 수온, EC 등의 직독식 센서 데이터 값을 사용하여 수온차에 따른 수체혼합 패턴을 분석하여 합류부의 혼합 양상을 분석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질측정의 한계였던 1차원적인 측정결과가 나타내는 분석결과를 2차원적으로 보완이 가능하며,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밀도류에 따른 혼합양상 결과가 지니는 혼합패턴을 분석한다면 향후 하천 하류구간의 취수장 취수 시스템에 많은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합류부 구간의 혼합패턴에 따라 수층 내 성층구간의 현황조사 및 혼합특성 파악을 통해 관리방안제시에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SF6 Mixture Gases in Non-Uniform Fields (불평등전계하에서의 SF6 혼합가스의 방전 특성)

  • Ko, Yeon-Sung;Seo, Ho-Joon;Rhie, D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6a
    • /
    • pp.523-52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질소와 이산화탄소를 완충기체로 사용하는 경우의 혼합가스에 대해 가스절연설비 내부의 이물질에 의한 절연파괴특성을 모의하기 위한 침-평판 전극구조에서의 침전극 재질을 연철, 고탄소강, 스테인레스강 등으로 구성한 경우 혼합가스의 절연파괴 특성에서 나타나는 전극 재질에 의한 영향을 실험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실험 결과 연철제 전극과 고탄소강제 전극의경우에는 혼합가스의 절연파괴특성에서 유사한 N-특성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스테인레스 강제 전극의 경우에는 다소 상이한 양상이 나타났다. $SF_6$계 혼합가스의 경우에는 순 $SF_6$의 경우와 동일하게 코로나 안정화작용에 의한 N-특성이 발현됨이 일반적인 특성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실험 결과에 의하면 침전극 재질에 따라 다소 상이한 양상이 나타날 수 있음을 관측하였다.

  • PDF

The Experimental Study on Engineering Properties of Fiber - Reinforced Soil (섬유혼합 보강토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 조덕삼;김진만
    • Geotechnical Engineering
    • /
    • v.11 no.2
    • /
    • pp.107-120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ber on engineering properties of Fiber-Reinforced Soil. Engineering properties of soil reinforced with discrete randomly oriented inclusion depend on soil density, particle size, grading, fiber length, tensile strength and stiffness of fiber, mixing ration of fiber, confining stress, etc.. in this paper, the influence of fiber shape, fiber length, fiber diameter, fiber content, cement content and curing duration on engineering characteristics(compaction, shear & permeability) were evaluated for typical soils produced from construction works through uniaxial compression tests and triaxial compression test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also investigated if there is an optimal range of fiber lengths and fiber contents for the tested soils and tested mono-filament fibers.

  • PDF

초임계 조건 분사기 난류유동

  • Park, Tae-Seon
    • Journal of the KSME
    • /
    • v.56 no.9
    • /
    • pp.38-43
    • /
    • 2016
  • 초임계 난류유동이 활용되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시스템은 액체로켓연소기이다. 액체로켓엔진은 목적하는 임무에 따라 추력이 결정되고 엔진의 추력이 결정된다. 이러한 추력을 결정하는 핵심부품이 분사기(injector)이다. 실용 인공위성을 발사하기 위한 액체로켓엔진의 연소기는 수백 개의 분사기를 통해 연료와 산화제가 혼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로켓연소기의 연소특성 및 성능은 분사기의 혼합특성에 좌우된다. 그러므로 단일 분사기의 연료/산화제 혼합특성에 대한 많은 실험과 해석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초임계압력에서는 액체의 표면장력이 사라지게 되어 독특한 혼합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성능을 높여주기 위하여 초임계 압력을 선택할 경우 분사기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초임계 작동압력에서 분사기에 대한 연구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단요소 충돌형 분사기에 의한 액체추진제 연소성능의 수치적 연구

  • 황용석;윤웅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04a
    • /
    • pp.2-2
    • /
    • 1999
  • 액체추진제 로켓엔진에서 분사기의 미립화 및 혼합 특성과 그에 따른 연소 특성은 성능과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파라미터이며 분사기는 제한된 설계 조건하에서 최대의 열방출율을 발휘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여기서 연소효율은 연료와 산화제의 혼합특성과 충돌 분무의 미립화의 정도에 의해 결정되므로 충돌 분무 유동성의 혼합, 미립화 특성과 이에 따른 인조성능 특성을 명확하게 밝힘으로써 최대 엔진성능을 위한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분사기의 설계에는 분사요소형태, 분사공의 형상 및 유동시스템 등이 포함되며 특히 분사요소 형태의 선택에는 추진제, 연소실냉각방법, 연소실 형상, 자동조건 및 엔진의 수명 등이 중요한 제한조건으로 고려된다. 이런 형태의 분사 요소들 중, 충돌형 분사기는 저장성 추진제를 사용하는 중, 저추력의 액체추진제 로켓엔진에 주로 사용된다. 이 분사형태는 미립화 성능이 높지 않고, 분사공 직경 및 운동량비에 따른 혼합성능이 만감하며 blow apart 등에 의한 열부하 혹은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있으나 양호한 혼합효율, 신뢰성과 제작의 용이함으로 인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