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혼합물 설계

Search Result 196, Processing Time 0.089 seconds

투과증발 공정

  • 장재화;이규현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03a
    • /
    • pp.127-158
    • /
    • 1996
  • 투과증발은 막분리 기술의 하나로 역삼투막, 한외여과막 등의 다른 막분리와 달리 혼합물 분리가 막소재 물질과 분리 대상 유기물 사이의 화학 친화도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혼합물중의 특정 성분에 대한 선택도가 높은 비다공성 고분자 복합막이 사용된다. 투과증발막 투과의 구동력은 투과 성분의 활동도(activity) 차로 이는 부분 증기압차로 구체화되며, 이 구동력을 높이기 위해서 feed side는 고온 유지를 위한 열교환기가 필요하며 permeate side는 진공하에서 감압에 의한 증기상으로의 전환을 이루게 하며 이를 다시 응축하여 연속 투과가 일어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투과증발의 핵심 기술은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에 대하여 높은 투과선택도(permselectivity)를 갖는 투과증발막의 제조 기술이며, 제조된 막을 실공정에 적용하기 위한 모듈 설계, 제작 기술과 이를 시스템화하여 실규모로 Scale-up 할 수 있는 시스템 설계 기술도 실용화를 위해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 PDF

Design of adsorption bed for Compact $H_2$ PSA process (Compact $H_2$ PSA 공정을 위한 흡착탑의 설계)

  • Lee, Jang-Jae;Lee, Sang-Jin;Moon, Jong-Ho;Choi, Dae-Ki;Lee, Chang-Ha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5-8
    • /
    • 2006
  • 수소 station에서 수소분리정제를 위한 compact형 PSA 공정 설계를 위하여 활성탄으로 충진된 dual bed의 흡착동특성을 연구하였다. 기존 PSA 공정의 흡착탑이 차지하는 시스템의 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하나의 흡착탑 안에 다른 흡착탑을 넣어 흡착탑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흡착탑 간의 열교환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수소 혼합물에 대한 dual bed에서의 흡착, 탈착 실험 실시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농도와 온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소 혼합물로는 $H_2/CO/CH_4/CO_2$ (69:2:3:26vol.%)를 사용하였으며, 흡착유량은 7LPM, 흡착압력은 9atm 조건에서 운전하였다. Inner bed와 outer bed의 수소 농도 파과곡선의 형태에 있어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각 탑에서 열교환 효과로 인한 내부 온도 차이에 기인하여 발생하였다.

  • PDF

MCNP CODE를 이용한 아스팔트함량 측정장비의 설계 및 검증

  • 임천일;황주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735-740
    • /
    • 1998
  •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아스팔트함량 측정장비의 실험적인 방법에 의한 설계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코드모사를 통해 설계할 경우 이러한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비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법적 규제 면제치인 100 $\mu$Ci이하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며, 6%의 아스팔트함량을 갖는 혼합물을 5분간 측정하였을 경우 0.2%이내의 함량측정오차를 갖는 장비를 MCNP 코드를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또한 코드 모사를 통한 설계를 바탕으로 장비를 제작한 후 5개의 시료에 대한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코드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6.03% 아스팔트 함량을 가진 시료를 5분간 측정하여 5.85%의 함량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Improvement of Marshall Mix Design and Comparative Evaluation with Current Marshall Mix Design Method (마샬 배합설계 방법의 개선과 기존 방법과의 비교 평가)

  • Hwang, Sung-Do;Yoon, An-Sang;Kim, Boo-Il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6 no.4 s.22
    • /
    • pp.13-24
    • /
    • 2004
  • The Marshall mix design method used in Korea, which was described in the design & construction regulation, had been introduced from Japan Highway Cooperation standard guide. Most engineers have thought that it is the major reason that causes pavement distress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modify the current Marshall mix design through using the volumetric design concept, which is most widely used in asphalt mix design. The modified mix design determines the preliminary optimum asphalt content at 4% VTM (Voids in Total Mix). If the Marshall properties, which are VFA, VMA, stability, and flow, were satisfied with the requirements, the preliminary optimum asphalt content is determined as the final optimum asphalt content. The modified Marshall mix design considers VMA. while the current Marshall mix design does not consider VMA. By considering the Marshall stability and flow as the criteria instead of design factors, the modified Marshall mix design is able to decrease the errors occurred in Marshall stability test The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Marshall properties between current and modified Marshall mix design. The left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arshall properties, except for VTM. Thus, the modified Marshall mix design can produce the asphalt mixtures with the constant VTM (4%), and it can improve the asphalt mixture quality in Korea.

  • PDF

Evaluation of Performance of Modified Recycling Asphalt Mixture and Normal Asphalt Mixture Using Basalt Powder Sludge as Filler (현무암 석분슬러지를 채움재로 활용한 개질재생아스팔트혼합물과 일반아스팔트혼합물의 공용성 평가)

  • Kim, Seung Hyun;Lee, Dong Wo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8 no.4
    • /
    • pp.611-619
    • /
    • 2018
  • Basalt powder sludge (abbreviated BPS) is an inevitable industry by product resulted from the stone processing. Recently, demands for natural materials have been increasing in the construction and landscaping fields, therefore, amounts of BPS have been also increasing. Since most of BPS are used as landfill and earth soil,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to expedite their utilization. In this study,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of Jeju, effectiveness of BPS as a filler for asphalt compounds mixed with cement were analyzed. As a result, BPS satisfies quality criterion required in KS F 3501. Marshall mixing design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asphalt content for the Modified recycling asphalt mixture (27% recycling aggregate) and the Normal asphalt mixture. Effectiveness of BPS were identified by the Marshall Stability Test with the mixing ratio (level 3) of two asphalt compounds and composition ration (level 3) of BPS and cement. Performance of asphalt compounds shown appropriate effect of mixing and composition ratios of the filler were assessed. Test results show that two types of asphalt compounds satisfy the quality standards of the MLIT (2015). Therefore, BPS could be used as filler for asphalt compou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