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혼잡수준

Search Result 16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쇼핑객 밀집도 수준과 지각된 혼잡이 쇼핑시간에 미치는 영향

  • 서성무;정석진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 /
    • v.4 no.3
    • /
    • pp.23-32
    • /
    • 2000
  • 본 연구는 점포내에 쇼핑객이 밀집해 있는 정도와 쇼핑객이 지각하는 혼잡함이 쇼핑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으로 첫째, 밀집 상태와 혼잡함의 개념을 구분하여 각 점포유형에 따라서 혼잡함이 다르게 지각됨을 규명한다. 둘째, 밀집상태와 혼잡함에 대한 지각이 쇼핑 시간에 미치는 영향이 점포유형과 쇼핑객들의 쇼핑 가치관에 따라서 달라지게 됨을 밝힌다. 연구 결과 점포 유형에 따라 동일한 수준의 밀집 상태에서 쇼핑객이 지각하는 혼잡함의 수준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또 지각된 혼잡과 쇼핑시간과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입증하지 못하였지만, 점포유형과 쇼핑가치관에 따라 밀집도가 쇼핑시간에 미치는 영향이 다름을 밝힐 수 있었다.

  • PDF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한 지하철 혼잡도 개선에 관한 연구

  • Kim, Sang-Pil;Yu, Jae-Gon;Kim, J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71-73
    • /
    • 2015
  • 2009년 7월 개화에서 신논현까지 서울 지하철 9호선이 개통했다. 2010년 9호선 일평균 통행량은 예측 통행량 대비 97%수준이었으나, 2013년은 110%를 달성했다. 2015년 3월 2단계구간이 개통되어 평일 평균 이용객이 15만명 정도가 더 늘어났다. 국회 자료에 따르면, 출근시간 염창역에서 당산역까지의 혼잡도가 237%로 나타났다. 이는 다른 지하철 혼잡도 2배 뛰어넘는 수치이다. 당산역에서 여의도역(234%), 여의도역에서 노량진역(212%), 노량진역에서 동작역(216%)으로 기록이 될 만큼 특정 구간의 혼잡도가 높게 나타났고 급행노선을 선호하는 인원이 많아 시간이 지날수록 정체현상이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혼잡도의 주 원인인 정체현상을 감소시키고 여객 수송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존의 급행 프로세스를 변경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여기에 적용된 연구방법은 혼잡도 수준을 낮추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 설정하고 아레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안에 대해 검증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식을 통해 지하철의 혼잡도 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A Model for Analyzing Time-Varying Passengers' Crowdedness Degree of Subway Platforms Using Smart Card Data (스마트카드자료를 활용한 지하철 승강장 동적 혼잡도 분석모형)

  • Shin, Seongil;Lee, Sangjun;Lee, Changh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8 no.5
    • /
    • pp.49-63
    • /
    • 2019
  • Crowdedness management at subway platforms is essential to improve services, including the prevention of train delays and ensuring passenger safety. Establishing effective crowdedness mitigation measures for platforms requires accurate estimation of the congestion level. There are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since crowdedness on subway platforms is assessed at certain locations every 1-2 years by hand counting. However, smart cards generate real-time big data 24 hours a day and could be used in estimating congestion. This study proposes a model based on data from transit cards to estimate crowdedness dynamically. Crowdedness was defined as demand, which can be translated into passengers dynamically moving along a subway network. The trajectory of an individual passenger can be identified through this model. Passenger flow that concentrates or disperses at a platform is also calculated every minute. Lastly, the platform congestion level is estimated based on effective waiting areas for each platform structure.

Quality of Departure Time Based On-line Link Travel Time Estimates (구간통행속도 추정을 위한 고속도로 검지기자료 처리기법 개발)

  • Park, Dong-Joo;Kim, Jae-Jin;Rho, Jung-Hyun;Kim, Sang-Beom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0 no.1
    • /
    • pp.145-15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quality of on-line departure time-based link travel time estimates. For this, accuracy (i.e. estimation error) and timeliness (i.e. degree of time lag) are proposed as MOE of the quality of on-line link travel time estimates.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nk travel time estimates and link length and level of congestion is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re is trade-off between the accuracy and timeliness of link travel time estimates. The estimation error was modeled to consist of two components: one is systematic error and the other is mean square error which reflects level of congestion. further, time lag was again segmented into three parts for the analysis purpose. There are minimum one, congestion-related one, and update interval-related one. From the real-world data using AVI system, it was revealed that regardless of the link length and level of congestion, 10 minutes of time lag occurs in general.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gestion Pricing and In-vehicle Crowding Level in Public Transport (혼잡통행료 징수와 대중교통 차내 혼잡수준의 관계)

  • YU, Sang-Gyun;BAE, Gi-M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4 no.6
    • /
    • pp.510-522
    • /
    • 2016
  • In studies involving public transport, social welfare improvement is simply explained by the increase in public transport demand. However, the increase in the demand for public transport is mostly observed by the change in the frequency of public transport service, and in-vehicle crowding in public transport has not been an object of concern. This study examines and tries to reveal the cause of the changes of the social welfare and in-vehicle crowding of the changing public transport from imposing congestion pricing. We observe that congestion pricing increases in-vehicle crowding in public transport. This predictable phenomenon is more exacerbated in case of not operating bus-only lane. It should be noted that in-vehicle crowding is more increased in suburban, but in First-best toll system it tends to get worse less than it in other congestion pricing systems. We identify that the change of in-vehicle crowding is affected by the change of proximity of the housing to workplace, the number of commuting trips, and unpredictable distortion effect of the congestion charge.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the Improvement of Traffic Congestion : Focusing o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Chuncheong Province (중소도시 교통혼잡도로 적용범위에 관한 연구 : 충청권 중심으로)

  • Kwon, Hyun Joong;Oh, Ju Tae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8 no.3
    • /
    • pp.34-45
    • /
    • 2019
  • Based on the analysis of congestion conditions in small cities with a population of less than 500,000 in Chungcheong Province, this study conducted a feasibility study on the scope of congestion improvement projects. Further, traffic congestion management standards were further established by analyzing LOS as well as the speed of traffic presented by congestion criteria in the existing Project. According to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congestion management standard LOS suggested in this study, Asan city has the most major number of highways where LOS E occurs for more than 3 hours, followed by Sejong City and Gongju City. In addition, when comparing the ratio of the busy main road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LOS E by city size, it was analyzed that the ratio and extension of the busy highways relative to the overall extension of the large Chungcheong area are similar to the ratio in small cities in the Chungcheong region. Therefore, traffic congestion occurred in small cities and the feasibility of the improvement project was revealed.

Estimation of Willingness-to-pay for Mitigating Crowdedness in High-speed Rail Trains (고속철도 차량 내 혼잡도 완화에 대한 지불 용의액 추정 연구)

  • Lee, Jang-Ho;Kim, Dong-S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7 no.2
    • /
    • pp.379-387
    • /
    • 2017
  • As the average load factor of High-Speed Rail (HSR) trains increased up to 98%, it caused uncomfortable crowdedness in the cabin and deteriorated the level of service to the HSR users. In this paper, we estimated the willingness-to-pay (WTP) of the HSR users for mitigating the crowdedness in the cabin.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based on the stated preference data was used and the tobit model was applied for the estimation of WTP. It can be concluded that WTP for mitigating the crowdedness in the HSR trains is proportional to the congestion level of train and income level of user. Males, first-class users, not-assigned ticket users, and monthly pass users have relatively higher WTPs, while homemakers, travelers in weekends, commuters and leisure travelers have relatively lower values. The results can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to estimate the benefits of mitigating crowdedness or the magnitude of governmental subsidy to railway operators for additional introduction of HSR trains.

Comparison of Area Pricing and Cordon Pricing in General Equilibrium Models (구역혼잡통행료와 진입통행료의 비교)

  • Yu, Sang-Gyun;Jeong, Chang-Mu;Lee, Hyeok-J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7 no.2
    • /
    • pp.145-155
    • /
    • 2009
  • This paper compares the relative performances of area and cordon tolls as opposed to the first-best congestion tolls with respect to alleviation of traffic congestion and social welfare. The comparison is done in the monocentric city where all the jobs are located at the city center. The study shows that the size of charging zones is similar in the two second-bests, but that the optimal toll level is higher in area pricing than in cordon pricing. Area pricing schemes turn out to perform better than cordon pricing schemes as measured by average speeds and daily average travel time. Accordingly, the former is shown to increase the social welfare more than the latter. In the case of the cordon tolls, the residents at the charging zones are exempted from the tolls. In this way, cordon tolls invite people into the most congested areas over the optimal level while partially negating the whole spirit of the congestion tolls.

고속도로에서의 혼잡통행료 도입방안 검토

  • Lee, Jeong-Yun;Lee, Gi-Yeong;Jang, Myeong-Sun
    • 도로교통
    • /
    • s.97
    • /
    • pp.14-27
    • /
    • 2004
  • 도로에 있어 교통량이 일정한 수준을 초과하여 증가되는 경우 통행시간과 운행비용이 과도하게 증대되는 혼잡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혼잡은 경제적 관점에서 추가분의 통행자가 기존 이용자의 통행비용을 증가시키는 유형으로 해석되고 있고, 이에 대한 대응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던 방법이 개별 통행자에게 다른 이용자들의 통행비용 증가분에 상응하는 요금을 혼잡통행료로서 부과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혼잡통행료는 국내의 경우 도심부로 진입하는 특정 도로에 국한하여 시행되는 것을 일반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시행해왔으나(서울시 남산1, 3호 터널) 국외의 경우에는 환경보호 및 수요조절 측면에서 고속도로까지 확대 시행하고 있는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고속도로 요금체계 현황에서 혼잡 통행료의 도입방안 및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고속도로의 현행 통행료 부과 방법 및 제도를 고려할 때 통행요금에 혼잡통행료를 도입할 경우 1)시간대별 차등요금제, 2)폐쇄식 및 개방식 구간에서의 차등요금제, 3)노선별, 구간별 차등요금제, 4)요일별, 계절별 차등요금제를 고려할 수 있다. 현재의 고속도로에서 혼잡통행료를 도입할 경우 현행 이부요금제의 주행요금에 혼잡통행료 개념을 도입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검토된다. 시간대별 차등요금제는 그 시간대를 주간(06시~24시)과 야간(24시~06시)으로 구분함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되고 폐쇄식 구간의 경우 혼잡도를 고려한 주행요금을 이용거리에 비례하여 부과하며 개방식 구간의 경우 최단 이용거리를 기준으로 혼잡도를 고려한 주행요금을 부과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혼잡도를 고려한 주행요금을 부과하는데 있어 노선별, 구간별 차등을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요일별 차등요금제는 주 5일 근무제가 확산됨에 따라 증가하는 비업무 승용차의 통행에 의해 고속도로의 비효율적인 운영이 발생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용하지 않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검토된다.

  • PDF

A Spatial Pattern of An Optimal Transportation Pricing Structure; -Based on the result of a local solution- (도시공간상에서 교통시설에 대한 최적가격(요금) 구조에 관한 연구 -부분 최적해의 결과-)

  • 정성용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2 no.4
    • /
    • pp.65-88
    • /
    • 1994
  • 교통수요와 공급은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교통수요는 교통시설 서비 스수준 및 교통시설의 이용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교통시설 공급비용과 서비스수준은 교통수요에 영향을 준다. 또한, 교통수요와 공급간의 상호작용은 도시공간상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교통시스템의 공간적 구조 및 도시의 공간적 특성은 공급, 가격 및 수요를 통합한 교통균형모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영향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제까지 개발된 교통균형모형에서는 통행인의 통행시간가치 및 교통체증의 도시공간상 변화가능성을 적절하 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상에서 통행인의 통행시간가치 변화패턴 을 반영한 수 도시공간상에서의 교통시설의 최적 서비스 수준, 교통수단별 최적요금체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단핵도시구조를 지닌 도시공간상에서의 최적버스요금은 통행거리에 따라 할증되는 체계를 가져야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승용차에 대한 통행혼잡세 부과는 소득역분 배적인 효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버스의 요금구조나 서비스 수준이 최적수 준에서 제공된다면 통행혼잡세는 소득역분배적 결과를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