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혼잡도

Search Result 1,739,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Assessment of Degree of Congestion based on Marine Traffic Flow Simulation for Harbor Area (항만 내 교통류 시뮬레이션에 기초한 혼잡도 평가)

  • Lee Han-Jin;Gong I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 no.1
    • /
    • pp.47-55
    • /
    • 1998
  • In this paper, authors try to assess the marine traffic environment from the viewpoint of the degree of congestion. First, the marine traffic flow simulation is carried out to ge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ssessment. The simul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wide investigation of marine traffic environment and some statistical methods. Then the degree of congestion is reasoned by using the reasoning methods of the degree of collision risk made to develop collision avoidance system. The quantified degree of congestion reasoned by this method provides much information needed to the design and the evaluation of marine traffic environment.

  • PDF

Algorithm for Measuring Traffic Congestion using DCT (DCT를 이용한 교통 혼잡도 측정 알고리즘)

  • Cheong, Seong-Il;Ahn, Cheol-Woong;Choi, Byung-Geol;Kim, Sung-Ho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6 no.2
    • /
    • pp.196-205
    • /
    • 2000
  • As the number of cars is suddenly increasing, the number of cars on road exceeds the capacity of the road. In order to disperse the stream of traffic, there are many approaches for calculating the degree of congestion using traffic monitoring camera, and analyzing the velocity or the number of moving objects. Since those methods use background image,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proper background image.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algorithm to calculate the degree of congestion without background image. We perform DCT to the road image to obtain the edge information of cars, and then use it for calculating the degree of congestion.

  • PDF

입출항 지원 서비스를 위한 AIS 빅데이터 기반 해상교통혼잡도 예측

  • 이서호;김세원;손준배;엄정온;이주향;김동함;윤상웅;김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44-346
    • /
    • 2022
  • 최근 자율운항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자율운항선 실증이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자율운항선의 효율적 운용 특히 운항의 안전성을 위해 입출항 시기의 적절성 또한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해상교통혼잡도를 예측하고자 하였고, AIS 빅데이터를 통해 선박별항적을 분석 및 분류하고자 하였다. 장기적 관점에서 PORT-MIS 선박입출항현황 데이터(호출번호, 입항일시, 출항일시, 전출항지, 차항지, 계선지)를 과거 AIS 빅데이터와 연결시켜 과거 항적 중 가장 가까운 항적을 찾고자 하였다. 그리고 당시 소요 시간을 반영하여 12개의 시간대별로 어느 시점에 어느 위치 구간에 선박들이 놓이게 될지 예측하였고, 특히 입출항 시기의 적절성에 핵심이 되는 13개로 모델링된 영역에 몇 개의 선박들이 항로를 지나는지에 따라 혼잡도(원활, 혼잡, 정체)를 구분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단기적 관점에서 실제 AIS가 수신된 후에도 유사한 항적을 검사해가며 혼잡도를 예측하고자 하였고, 이러한 장단기적 혼잡도 예측을 통해 미래 자율운항선입출항 지원 서비스의 안전과 그 적절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Performance improvement of TCP Reno congestion control algorithm using end-to-end estimation of forward/backward delay variation (종단간 순방향/역방향 전송 지연에 따른 TCP Reno 혼잡제어 알고리즘 성능향상)

  • Han, Kyu-Hyeong;Kim, Eun-G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295-1298
    • /
    • 2005
  • 기존 TCP Reno 의 혼잡 제어는 트래픽에 수동적으로 동작하는 방법으로서 혼잡이 이미 발생한 상태에서 동작하게 되므로 발생 시점의 라우터 버퍼는 이미 최대치에 도달해 있게 된다. 따라서 이후에 도착하는 모든 패킷은 폐기되므로 이 패킷들을 전송한 모든 송신원은 거의 동시에 윈도우 크기를 줄이는 Slow-start 단계에 들어가게 되어 일시적으로 링크 사용률이 떨어지는 전역 동기화(global synchronization)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혼잡이 발생하기 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RTT 계산 알고리즘인 순방향/역방향 전송지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혼잡을 미리 예측하고 네트워크 혼잡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Linux) 커널(Kernel)의 TCP Reno 의 흐름제어 및 혼잡제어를 수정하여 네트워크 혼잡에 능동적으로 대처 할 수 있는 새로운 TCP Reno 를 설계, 구현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for Measuring Congestion of Road using Region Information (영역 정보를 이용한 교통 혼잡도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최병걸;안철웅;김승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488-49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차량 영역 정보를 이용한 교통 혼잡도 측정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시한 교통 혼잡도 측정 시스템은 첫째 영역 분할, 둘째 작은 영역의 직사각형화, 셋째 영역의 병합 및 삭제의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영역 분할 단계에서 획득한 도로 영상을 주어진 임계치에 의해 영역으로 분할한다. 영역 분할후의 영역 정보 중 차량 영역을 추출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작은 영역들을 제거하고 영역을 직사각형화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 단계에서 필요없는 많은 작은 영역 정보들을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차선 별로 영역을 병합, 삭제함으로써 각 차선마다 차량 영역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차량 영역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또한 이를 이용한 효과적인 교통 혼잡도 측정 시스템을 소개하고 평가한다.

  • PDF

A Router Mechanism for Congestion Control in Internet (인터넷에서 혼잡 제어를 위한 라우터 메커니즘)

  • 박재성;신용철;박희윤;이재용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10A
    • /
    • pp.1746-175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트래픽의 자기 유사성 특성을 이용한 큐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LRD 프로세스의 특성을 이용하여 큰 타임 스케일에서 다음 혼잡 검출 주기 동안 평균 트래픽 입력율을 예측하고 이를 통해 혼잡 발생 여부를 미리 검출한다. 혼잡 검출시 입력 패킷을 확률적으로 폐기함으로써 망 내부에서 혼잡 발생을 사전에 방지한다. 제안 기법은 종단 시스템의 혼잡 제어 기법이나 각 플로우의 통신 환경에 무관하게 라우터의 평균 큐 길이와 큐 길이 변이를 작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지연과 지연 변이에 민감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어에 적합하다. 또한 제안 기법은 입력율 예측을 통해 혼잡을 사전에 검출하기 때문에 종단간 혼잡 제어 기법을 사용하지 않는 플로우들에 의해 발생된 패킷들이 망 자원을 불평등하게 많이 사용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제안 기법은 각 플로우별 상태 정보를 관리하지 않으므로 확장성이 뛰어나며 이로 인해 소수의 PHB에 따라 각 홉별로 차등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Diffserv 구조에 적합하다. 또한 제안 기법은 기존 인터넷 구조에 변화를 주지 않고 라우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 서비스가 가능하며, 필요한 버퍼의 양도 크지 않다는 장점을 가진다.

  • PD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CP over networks of mobile with delaying congestion control in Snoop (Snoop 프로토콜에서 혼잡 제어 지연을 통한 이동망상에서의 TCP 성능향상 기법)

  • Kim, Yong;Sung, Ho-Cheol;Hyeon,Ho-Jae;Han, Sun-Yo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8C no.3
    • /
    • pp.351-358
    • /
    • 2001
  • 무선망에서는 유선망에 비해 그 특성상 비교적 많은 패킷을 손실된다. TCP 프로토콜은 흐름제어나 에러정정, 혼잡 제어 등의 기능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통신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표준 TCP 프로토콜은 유선망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하였기 때문에 무선망에서 혼잡한 상황에서 패킷이 도달하지 못한 경우와 실제로 패킷이 손실되어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를 구분하지 못한다. 최근까지 제시된 여러 이동망 TCP에 대한 논문은 무선망에서 패킷이 손실된 경우 혼잡 제어를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TCP Persist Timer를 이용하여 혼잡제어를 회피하는 방법을 기존에 제시된 Snoop 프로토콜에 적용하여 자체적인 이동망상에서의 TCP 성능향상에 더하여 연속적인 에러에 대한 성능 향상을 제고하고 있다. 개선된 Snoop 프로토콜은 WZACK(Window Size Zero ACKnowledge Packet)을 이용하여 혼잡제어를 정지시킴으로써 비효율적인 혼잡제어를 막도록한다.

  • PDF

TCP Congestion Control for Fast Bandwidth Acquisition for Networks with Large Bandwidth (대역폭이 큰 네트워크에서 빠른 대역폭을 확보하기 위한 TCP 혼잡 제어)

  • Kim, Seung-Hwan;Park, Min-Woo;Lim, Hun-Jung;Chung, Tai-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1352-1355
    • /
    • 2009
  • TCP에서 사용되는 혼잡제어(Congestion control)는 많은 이점이 있지만 그에 상응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TCP-Reno는 혼잡이 발생되면 혼잡 윈도우(Congestion Window)크기를 절반으로 줄이고 빠른 회복(fast recovery), 빠른 재전송(fast transmit)을 수행한다. 하지만 네트워크가 고속 네트워크로 접어들면서 효율적인 측면에서 이러한 기법들을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따른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TCP는 혼잡이 발생하면 선형적으로 점진적으로 증가 하기 때문에 많은 대역폭을 지원하는 고속 네트워크에서는 이러한 TCP의 혼잡 제어가 오히려 비 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혼잡 윈도우 증가율을 추가한 혼잡제어 기법인 TCP-FBA(Fast Bandwidth Acquisition)를 제안한다.

A Congestion Measurement System Using YOLO Object Detection Model (yolo모델을 활용한 기차 내 혼잡도 분석 시스템)

  • 김진성;이민형;홍진하;유동영;정영훈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332-333
    • /
    • 2023
  • 본 논문은 사람과 짐의 물체 감지를 위한 YOLO 모델을 활용하여 특정 공간 내 혼잡도를 측정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YOLO를 학습시켜 기차 내에서 사람 및 짐과 같은 객체를 탐지하는 모델을 만든다. 그리고 이 모델을 이용하여 기차 내에서 객체를 탐지하고, 객체의 위치와 개수 정보를 얻는다. 이렇게 얻은 정보를 기반으로, 혼잡도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지표를 활용한다. 이를 인터페이스에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제안된 시스템은 승객들의 안전과 편의를 보장하며, 특정 공간의 혼잡도 파악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Study on Methodology for Effect Evaluation of Information Offering to Rail passengers - Focusing on the Gate Metering Case Study considering congested conditions at a platform - (철도 이용객 정보제공 효과평가 방법론 연구 - 승강장의 혼잡상황을 고려한 Gate Metering 사례 연구 중심으로 -)

  • Lee, Seon-Ha;Cheon, Choon-Keun;Jung, Byung-Doo;Yu, Byung-Young;Kim, Eun-Ji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4 no.3
    • /
    • pp.50-62
    • /
    • 2015
  • Recently, Subway Line No. 9, described as a 'hell-like' subway for its recorded load factor of max. 240% due to the opening of the 2nd phase extension section, has been causing problems of recurrent congestion in a subway station building. A recurrent congestion in the station building becomes a factor to offend rail users and to reduce the efficiency of railway management.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methodology for effect evaluation of information provided to rail users, and conducts a gate metering case study considering the congested conditions at a platform among the methodologies for effect evaluation. The metering effect evaluation by load factor was conducted through selecting the micro simulation and pedestrian simulation tool grafting a gate metering.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f gate metering is performed, the service level and pedestrian density of a platform by load factor would improve. In other words, if metering is conducted at a platform,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load factor in the waiting space of a platform. Therefore, it was judged through this study that it is possible to set up the index for effect evaluation of information provided to manage congestion of rail users, and establish the methodology for effect evaluation of information provided to rail users through a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