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혼입율

검색결과 479건 처리시간 0.034초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용 시멘트 고화체의 압축강도와 동탄성계수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and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in the Cement Based Solid Product for Consolidating Disposal of Medium-Low Level Radioactive Waste)

  • 김진만;정지용;최지호;신상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321-329
    • /
    • 2013
  • 방사성 폐기물 최종 매립장이 완공됨으로써 그동안 원자력 발전소 내에서 관리하고 있던 중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최종 처분장으로 이송하여 관리해야 한다. 주로 액상의 이온교환수지로 구성된 중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플라스틱 또는 강제용기 안에서 시멘트계 재료로 고화처리 되고 있다. 시멘트계 재료는 취성적이므로 이송 중 낙하, 충돌 등에 의해 붕괴될 경우, 방사성 물질이 유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안전성이 있는 이송장비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고화체가 어느 정도의 강도를 발현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방사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폐기물의 강도를 직접법에 의해 측정하는 것은 위험하므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동탄성계수와 같은 비파괴시험을 통해 간접적으로 강도를 파악하여야 한다. 따라서 방사성 폐기물의 압축강도와 동탄성계수의 관계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폐기할 시점에서 이온교환수지 처리용 고화체의 압축강도는 3.44 MPa (500 psi)이다. 이론적으로 시멘트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강도가 증진되기 때문에 폐기된 후 수년에서 수십년이 경과한 현 시점에서 고화체의 강도는 기준치를 크게 상회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이 연구에서는 중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용시멘트 고화체의 재료구성을 유지하면서 3~30 MPa 범위의 다양한 강도 수준을 갖는 시멘트 고화체를 제조하고 이를 대상으로 압축강도와 동탄성계수의 관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AE제 첨가율의 변화에 의해 목표로 설정하였던 3~30 MPa 범위를 만족하는 고화체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또한 미리 기포를 제조하여 혼입하는 방법보다 AE제를 배합수에 직접 혼합하는 방법이 단위용적질량 및 강도를 보다 정확히 조절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AE제 첨가율에 의한 단위용적질량과 공기량은 첨가율이 낮은 범위에서 급격하게 변화하였으며 첨가율이 증가할수록 변화량은 감소하였다. 이온교환수치 처리용 시멘트 고화체의 동탄성계수는 4.1~10.2 GPa 범위로 나타났으며, 일반콘크리트 보다 약 20 GPa 정도 낮고 그 차이는 강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온교환수지 처리용 시멘트 경화체에서도 압축강도와 동탄성계수는 선형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다.

K-식(式) 침전관(沈澱管)에 의한 간질충란(肝蛭蟲卵) 간이검사법(簡易檢査法)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asy Detection Method of Fasciola Eggs by Kim's Sedimental Tube)

  • 김교준;김상근;허민도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562-568
    • /
    • 1982
  • 피내반응법(皮內反應法)에 의(依)해 간질(肝蛭) 양성반응(陽性反應)으로 판정(判定)된 유우(乳牛)를 대상(對像)으로 분편검사(糞便檢査)를 실시(實施)하여 충란(蟲卵)을 확인(確認)한 후(後), 현재(現在) 사용(使用)되고 있는 간질(肝蛭) 충란검사법(蟲卵儉査法)들의 단점(短點)을 개선(改善)하기 위하여 잔재물(殘滓物)을 성력적(省力的)으로 제거(除去)하는 사(篩)의 조합법(組合法)과 K-식(式) 침전관(沈澱管)을 고안(考案)하여, 인위적(人爲的)으로 분즙(糞汁)에 충란(蟲卵)을 혼입(混入)하여 K-식(式) 침전관법(沈澱管法)에 따라 검사(檢査)한 결과(結果) 현재(現在)까지 보고(報告)된 타방법(他方法)들에 비(比)하여 조작(操作)이 간편(簡便)하고 검출율(檢出率)도 높아 이상적(理想的)인 방법(方法)으로 사료(思料)되었기에 그 개요(槪要)와 결과(結果)를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1. 간질충란(肝蛭蟲卵)을 여과(慮過)하고 잔재물(殘滓物)을 제거(除去)하기 사(篩)의 조합(組合)을 3단계(段階)(100mesh, 150mesh, 250mesh)로 조합(組合)하여 성력적(省力的)인 방법(方法)으로 개선(改善)하였다. 2. 3종(種)의 침전관중(沈澱管中) 제(第)III형(型)의 침전관(沈澱管)에 의(依)한 간질충란(肝蛭蟲卵) 회수율(回收率)이 가장 높았으므로 제(第)III형(型)을 K-식(式) 침전관(沈澱管)으로 지칭(指稱) 채택(採擇)하였다. 3. K-식(式) 침전관법(沈澱管法)에서 A-II, A-III, B-III, C-III형(型)의 1구(回) 경검성적(鏡檢成績)은 99~100%였으며 A-I, B-II, C-I 및 C-II형(型)은 71~91%였다. 4. A형(型)($5m{\ell}$, 5-10침전(沈澱)), B형(型)($10m{\ell}$, 10-10침전(沈澱)) 및 C형(型)($15m{\ell}$, 15-15침전(沈澱))은 각기(各其) 특징(特徵)을 가진 방법(方法)들로서 판정시간(判定時間)을 단축(短縮)하는데는 A형(型)이 가장 유용(有用)한 방법(方法)이었다. 5. K-식(式) 침전관법(沈澱管法)은 다른 검출법(檢出法)에 비(比)하여 가장 검출율(檢出率)이 높은 간편(簡便)한 방법(方法)이었으며 E. P. G가(價)도 동시(同時)에 얻을 수 있는 이상적(理想的)인 방법(方法)으로서 임상응용가치(臨床應用價値)가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 PDF

압타머를 이용한 백혈구제거필터의 개발 및 예비평가 (Development and Preliminary Evaluation of a Leukocyte Removal Aptamer Filter)

  • 이양원;정은숙;최경영;김명한;권소영;조남선;김진숙;박한정;한병돈;윤수영
    • 대한수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7-114
    • /
    • 2012
  • 배경: 혈액제제 내에 혼입된 백혈구로 발생하는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 백혈구필터를 이용한 백혈구의 제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용 백혈구 필터로는 이식편대숙주병을 예방하기에는 충분한 백혈구제거가 되지 않아 고가의 기기를 이용한 방사선 조사를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항체를 대체하는 압타머를 이용한 기술들이 활발히 개발되어 임상에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에 백혈구에 결합하는 압타머를 이용한 압타머필터를 개발 하여 그 효율과 임상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포항공대 압타머사업단에 CD45항원에 결합하는 압타머 선별을 의뢰하여 제공받았으며 이를 비드에 부착시켜 백혈구와 결합하도록 한 후 자석을 이용해 제거하는 형식의 압타머필터를 개발하였다. 대한적십자사 혈액원에서 제공받은 백혈구제거적혈구 14단위에 압타머필터를 사용하여 잔여 백혈구를 제거한 후 백혈구 제거율과 적혈구 회수율, 세균배양을 시행하였다. 결과: 압타머필터 후 백혈구는 45.6%가 제거되었으며 92.8%의 적혈구회수율을 보였다. 세균배양에서는 아무것도 자라지 않았다. 결론: 압타머를 이용한 세포제거 기술을 혈액 필터에 적용하고자 CD45항원에 결합하는 압타머를 발굴하여 비드에 부착한 후 수혈 혈액을 필터링함으로써 해당 항원을 가진 세포 즉 백혈구를 제거하도록 하는 압타머필터를 개발하여 이를 평가하였다. 향후 압타머 부착 효율 및 필터과정 개선, 다른 항원에 대한 압타머 적용 등을 통해 혈액제제에서 백혈구 제거율을 높여 이식편대숙주병 예방을 위한 방사선조사를 대체하는 등 임상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퇴비제조시(堆肥製造時) Zeolite의 혼입효과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 of Zeolite Supplement on the Composition of Compost)

  • 최대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3-227
    • /
    • 1983
  • 볏짚퇴비(堆肥) 제조시(製造時) 염기치환용량(鹽基置渙容量)이 큰 Zeolite를 첨가(添加)하여 퇴적기간중(堆積期間中) 각종양분(各種養分)의 함량(含量) 및 퇴비성상(堆肥性狀)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퇴비(堆肥) 제조시(製造時) Zeolite를 첨가(添加)하여 줌으로써 무첨가(無添加)에 비(比)하여 부숙온도(腐熟溫度)가 현저(顯著)히 높게 유지(維持)되는 경향(傾向)이었다. 2. 퇴적기간중(堆積期間中) $NH_4-N$, $P_2O_5$$SiO_2$ 함량(含量)은 Zeolite, 계분(鷄糞), 요소등(尿素等)의 첨가(添加)로 증가(增加)되었으며 부숙(腐熟)이 진전(進展)됨에 따라 증가폭(增加幅)이 더 큰 것으로 보아 Zeolite의 양분류실효과(養分流失效果)과 있었던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3. 계분(鷄糞), 요소등(尿素等)과 함께 Zeolite를 첨가(添加)하였을 때 퇴적후(堆積後) 30일(日)에 C/N율(率)이 21.7~25.0 이었고, Zeolite 무첨가시(無添加時)는 준적후(准積後) 60일(日)에야 C/N율(率)이 21.3~24.8로써 속성퇴비제조(速成堆肥製造)와 양분(養分)의 유실방지(流失防止)를 위(爲)한 Zeolite의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4. 퇴적후(堆積後) 90일(日)의 C/N율(率)과 용적감소율(容積減少率)과는 부(負)의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오존수를 활용한 부분 가공 원예산물의 청정화 및 유통성 증진 (Improvement of Market Quality of Minimally Processed Horticultural Products Using Ozone)

  • 황용수;전일율;구자형
    • 농업과학연구
    • /
    • 제30권2호
    • /
    • pp.128-138
    • /
    • 2003
  • 시중에서 유통되는 부분 가공 원예산물의 세균밀도는 매우 높아 청결 상태가 불량하였다. 작물별로는 깐마늘에 세균밀도가 낮았으며 기타 작물의 경우 미생물 밀도는 $10^8$ 이상이었다. 특히 고사리의 경우 가장 세균 밀도가 높을 뿐아니라 이물질이 혼입된 경우도 있었다. 오존수 처리반응은 작물의 유형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근채류인 우엉과 연근은 변색을 방지할 뿐아니라 살균 효과로 세절한 작물의 유통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나 $0.3mg{\cdot}L^{-1}$ 농도에서 5분 이상 처리할 경우 오히려 불리하였다. 양상추의 경우 $0.3mg{\cdot}L^{-1}$에서 2분을 초과하여 처리할 때 조직이 물러지고 변색이 더욱 심하여 처리시간과 농도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필요하였다. 건조나물의 경우 살균효과 뿐아니라 유통 중 세균 증식에 따른 이취 발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효과는 조직이 두꺼운 고사리보다 얇은 취나물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살필 때 건조나물을 비롯한 연근, 우엉 등의 작물에 대하여서는 실용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유치원 급식시설.설비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분석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Foodservice Facilities and Equipment at Kindergarten Foodservice Establishments)

  • 이혜연;배현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457-1465
    • /
    • 2009
  • 유치원 급식소 위생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대구 경북지역 유치원 급식소를 대상으로 급식시설 설비 및 조리환경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을 2008년 5월에서 7월 사이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급식소에서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수의 한계관리기준을 초과하여 관리되고 있다고 분석된 항목은 전처리용 칼, 조리용 칼, 조리용 도마, 전처리용 작업대, 조리용 작업대, 냉장고(안), 바트, 바구니, 식판 등 총 9개 항목이었다. 이 중 부적합율이 높은 항목은 조리용 도마(37.5%), 조리용 작업대(37.5%), 전처리용 작업대(33.3%)의 순이었다. 조사대상 유치원 급식소의 모든 검체에서 대장균과 리스테리 아균, 살모넬라균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B 급식소의 조리용 고무장갑과 트렌치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다. 조사대상 급식소의 공중낙하균 검사결과 일반세균수는 관리권고기준 이하로 적합한 수준이었고, 황색포도상구균은 모든 검사구역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한 곳의 급식소 조리실에서 진균수가 관리권고기준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유치원의 급식관리자는 미생물학적 위해분석 결과 부적합하게 관리되고 있다고 분석된 전처리용 칼, 조리용 칼, 조리용 도마, 전처리용 작업대, 조리용 작업대, 냉장고(안), 바트, 바구니, 식판, 음용수, 조리용 고무장갑, 트렌치 등 총 12개 항목에 대한 위생관리를 우선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조사대상 급식소의 위생관리 현장심사 평가 결과 양호하다고 평가된 항목에 대한 미생물 검사 결과 한계관리기준을 초과하는 경우가 있었으므로 급식소의 위생관리 평가 시 현장심사와 함께 주요한 미생물 수준 부적합 항목에 대한 미생물 검사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유치원 급식소의 위생관리 수준 개선을 위해 급식소 운영 특성을 고려한 위생관리지침서를 개발 보급하고 급식관리자는 최종 조리음식에 대한 교차 오염과 식중독균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 위생관리지침서를 올바르게 적용해나가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 급식소 환경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조리시설 설비의 미생물수준 및 공중낙하균에 대한 한계관리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후속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규불화염계 복합 조성물을 혼입한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Engineering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Fluosilicates Based Composite)

  • 양일승;윤현도;김도수;길배수;한승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769-774
    • /
    • 2005
  • 최근 무기 불소계 공정 부산물의 발생에 따른 환경 오염 문제 해결과 재활용을 위한 노력이 중요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종 재활용 기술 및 제조 시설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에도 끊임없는 기술 개발의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국내에서도 1990년대 후반부터 인산$(H_3PO_4)$ 및 불산(HF)을 제조하는 공정 중에 액상형태의 부산물로 회수되는 불화규산$(H_2SiF_6)$을 활용하여 안정한 액상형태로 제조되는 규불화염계 화합물이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진시키는 동시에 수밀성 증진 및 경화 후 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향후 건설용 혼화재료로써의 새로운 기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산 제조 공정 중에 공정부산물로 회수되는 불화규산$(H_2SiF_6)$을 활용하여 제조된 규불 화염계 복합 조성물을 첨가한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콘크리트의 굳지 않은 특성(유동성, 공기량, 블리딩, 응결시간), 콘크리트의 경화 특성(압축강도, 길이 변화) 및 콘크리트 수밀성에 대하여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규불화염계 복합 조성물의 첨가하면 시멘트 수화 과정 중에 생성되는 난용성 금속불화물의 충전작용 및 가용성 실리카의 포졸란반응의 복합적 효과에 의해 압축강도가 향상되고 투수율 및 공극률이 크게 감소되어 콘크리트 경화체의 수밀성이 증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적조 내진보강용 섬유보강 모르타르의 분사특성 평가 (Evaluation of Spraying Characteristics for Masonry Buildings Seismic Retrofit Fiber-Reinforced Mortar)

  • 황병일;박종필;유병현;이동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37-43
    • /
    • 2020
  • 국내 도로, 철도 등 SOC 시설의 내진보강율은 2017년 기준 96%이며 건축물은 2016년 기준 약 7백만동 중 내진성능이 확보된 건축물은 51만동에 불과하다. 조적조 건축물은 전체 건축물의 38.8%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크지만 내진성능이 확보된 것은 2.0% 내외로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국내에서는 정부차원의 내진 대책이 추진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미비한 상황이다. 국외의 캐나다 벤쿠버 UBC 연구팀은 조적조 내진성능 보강을 위해 EDCC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EDCC는 섬유혼입으로 콘크리트 연성능력 확보 및 가교작용으로 콘크리트의 변형 저항능력을 확보 할 수 있는 건설재료이다. 그러나 내진성능 확보를 위해 EDCC를 분사형으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재료의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적조의 내구성능 향상을 위한 뿜칠재료 연구개발의 일환으로 내진보강용 섬유보강 모르타르의 분사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섬유보강 모르타르의 섬유사용량에 따른 분사특성 및 증점제 사용량에 따른 점도변화를 검토하였다. 조적조 내진보강용 섬유보강 모르타르의 부착성능 및 시공성능을 검토한 결과 섬유의 사용량은 1%, 증점제의 사용량은 1%로 최적 사용량을 도출할 수 있었다.

불소-실리카 복합형 균열저감제가 콘크리트의 수축균열 저항성 및 투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uorine-Silicate Hybrid Based Crack Reducing Agent on the Resistance for Shrinkage Crack and Gas Permeability of Concrete)

  • 이만익;박종화;남재현;김도수;김재온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631-63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배합강도 24MPa로 설계된 25-24-18 규격의 콘크리트 배합에 불소-실리카 복합형 균열저감제(FS)를 시멘트 중량을 기준으로 0.5% 간격으로 2.0%까지 혼입하고, 유동성상 및 경화성상 등의 기초물성을 평가하였다. 기초물성 결과로부터 콘크리트의 수축균열 및 투기성 평가를 위한 FS의 적정 첨가율로서 0.5%를 도출하였으며, 무첨가 콘크리트와 수축균열 및 투기성 평가를 위한 모의부재 시험을 실시하였다, 수축균열에서 FS를 0.5% 첨가한 콘크리트의 균열개수는 50%, 균열길이 및 균열면적은 각각 69.7%, 74.4% 감소되었다. 콘크리트의 투기성을 측정한 결과, FS를 첨가한 콘크리트가 투수계수는 67%, 침투깊이는 약 40% 감소하였다. 따라서 FS 첨가에 의해 콘크리트의 기초물성 저해 없이 콘크리트의 수축균열의 저감과 투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강섬유와 묶음철근 보강을 통한 고성능 연결보의 이력거동 평가 (Hysteretic Behavior Evaluation of a RC Coupling Beam using a Steel Fiber and Diagonal Reinforcement)

  • 오해철;이기학;한상환;신명수;조영욱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291-298
    • /
    • 2015
  • 본 논문은 시공성과 내진성능을 증대하기 위해 고성능 강섬유를 혼합한 묶음대각철근 연결보를 제시한다. 연결보의 실험은 4개의 실험체로 구성하고 고성능 강섬유를 혼합한 실험체에 반복하중을 가하여 이력거동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의 주요 변수는 강섬유의 혼합에 따라 대각철근의 묶음 여부와 스터럽의 철근량이다. 기준이 되는 실험체는 묶음대각철근에 ACI318에서 요구하는 스터럽의 철근량을 100% 적용하였다. 이와 함께, 동일한 묶음대각철근을 적용한 상태에서 스터럽의 철근량을 75%와 50%로 조절하여 두 실험체를 추가적으로 만들고 일반대각철근을 고려, 총 4개의 실험체가 제작되었다. 이번 실험에서 연결보의 콘크리트 타설시 고성능 강섬유를 함유율 1%로 혼합하였다. 모든 실험체는 1/2스케일로 형상비 3.5(l/h=1050/300)으로 이루어졌다. 본 실험결과에서 강섬유를 1% 혼입한 고성능 시멘트를 적용한 연결보는 스터럽 철근양을 75%, 50% 줄인 것과 기준실험체로 적용된 스터럽 철근양 100%의 강도 및 강성, 에너지소산능력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