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혼입량

검색결과 556건 처리시간 0.026초

복합재질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폴리머콘크리트의 강도 특성 및 내구성 (Strength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Polymer Concrete Using Mixed Waste Plastics)

  • 주명기;이윤수;김문찬;김윤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219-22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복합 재질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폴리머콘크리트의 압축, 휨 및 충격강도, 흡수율 및 동결융해저항성에 미치는 결합재 첨가량 및 PA 혼입량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복합 재질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폴리머콘크리트의 압축, 휨 및 충격강도는 PA 혼입량에 관계없이, 결합재 첨가량 및 충전제 혼입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하지만, PA 혼입량의 증가에 따라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복합 재질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폴리머콘크리트의 흡수율은 PA 혼입량에 관계없이, 결합재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하지만 PA 혼입량의 증가에 따라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복합 재질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폴리머콘크리트의 내구성 지수는 결합재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PA 혼입량에 따라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혼입량에 따른 시멘트 복합체의 유동성 및 강도 변화 (Flowability and Strength of Cement Composites with Different Dosages of Multi-Walled CNTs)

  • 하성진;강수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67-74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NT) 혼입량을 Binder 중량 대비 0.1, 0.3, 0.5%로 다르게 하여 CNT 혼입량에 따른 CNT 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굳지 않은 상태에서의 유동특성, 강도 및 강도발현 특성 등을 살펴보았다. 유동특성에 대한 실험결과, CNT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굳기 전 상태의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레올로지 실험에서는 CNT 혼입량 증가에 따라 소성점도의 감소와 항복응력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레올로지 실험에서 얻은 흐름곡선에서는 낮은 전단속도에서의 틱소트로피 현상이 높은 CNT 혼입량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CNT 혼입량 증가에 따른 강도특성 실험결과에서는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모두 CNT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압축강도에 대한 CNT 보강에 따른 강도향상 효과가 인장강도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다. 한편 재령별 강도 측정 결과에 따르면 CNT 혼입이 초기강도 발현에도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재생콘크리트의 강도발현 및 건조수축 특성연구 (A Study on Strength Development and Drying Shrinkages of Recycled Concrete)

  • 이진용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217-223
    • /
    • 1997
  • 재생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휨강도는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플라이애쉬를 혼화재로 사용할 때 그 양이 증가할수록 재생콘크리트의 조기 압축강도는 떨어졌다. 골재원에 따른 압축강도는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적을수록, 양생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엿으나, 전반적으로 비슷한 강도변화의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재생콘크리트의 휨강도 발현은 보통 콘크리트와 비슷하나, 휨강도에 대한 압축강도비는 보통 콘크리트에 비하여 낮았다. 재생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은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 특히 재령2주와3주사이에 건조수축량이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알루미나 분말을 혼입한 폴리머 개질 페이스트의 성질 (Properties of Polymer-Modified Pastes with Alumina Powder)

  • 주명기;이윤수;연규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539-54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폴리머 개질 페이스트의 응결 시간, 건조수축, 강도, 동결융해저항성 및 흡수율에 미치는 결합재량 및 알루미나 분말 혼입량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SBR 및 PAE폴리머 개질 페이스트의 응결 시간은 결합재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다. 폴리머 종류에 관계없이 SBR PAE 폴리머 개질 페이스트의 건조수축은 결합재량 및 알루미나 분말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폴리머 종류에 관계없이 SBR 및 PAE 폴리머 개질 페이스트의 인장 및 부착강도는 결합재량 및 알루미나 분말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SBR 및 PAE 폴리머 개질 페이스트의 내구성 지수는 폴리머 종류에 관계없이, 알루미나 분말 혼입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폴리머 종류에 관계없이 SBR 및 PAE 폴리머 개질 페이스트의 흡수율은 결합재량 및 알루미나 분말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복합 재질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폴리머콘크리트의 경화 전 성질 (Properties of Fresh Polymer Concretes Using Mixed Waste Plastics)

  • 주명기;이윤수;김문찬;김윤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17-12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복합 재질 폐플라스틱(PA)을 이용한 폴리머콘크리트의 작업성, 경화시간 및 경화수축에 미치는 결합재 첨가량 및 PA 혼입량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복합 재질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폴리머콘크리트의 작업성은 결합재 첨가량, PA 혼입량 및 필러 혼입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복합 재질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폴리머콘크리트의 경화시간은 촉매제 첨가량 및 양생온도의 증가에 따라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복합 재질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폴리머콘크리트의 길이변화는 결합재 첨가량 및 PA 혼입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가 복합 재질 폐플라스틱 종말품의 재활용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하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하여 더욱 광범위한 복합재질 폐플라스틱 종말품의 재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세공용액분석에 의한 시멘트의 염화물 고정화율 평가 (Evaluation of Chloride Bound Ratio in Cement Pastes by Pore Solution Analysis)

  • 소승영;윤성진;소양섭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789-795
    • /
    • 2002
  • 개정된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 허용된 양의 염화물 이온 및 제염되지 않은 해사를 잔골재로 사용할 경우 콘크리트 배합시 혼입될 염화물 이온의 거동과 고정화율을 평가하기 위해 시멘트 페이스트 내 세공용액을 추출하여 분석한 실험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재령에 따른 세공용액 내 염화물 이온 농도는 수화 진행에 따라 수화생성물에 흡착되는 염화물량의 증가로 재령이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공용액 내 측정 염화물량을 고정화되지 않은 염화물로 보고 혼합수의 농도와 비교할 경우 재령 49일의 고정화율은 64~90%였다. 2. 증발수량으로 측정한 세공용액량을 기준으로 시멘트 내 염화물 고정화율을 산정한 결과 염화물 혼입량이 시멘트 중량의 0.046~0.16%로 비교적 적은 PI~P3의 경우 염화물 고정화율이 91.8~93.5%에 이르나 염화물 혼입량이 시멘트 중량의 0.3% 인 P4의 경우 89.1 %로 낮아지며, 시멘트 중량에 대해 0.617%의 염화물이 혼입된 PS는 혼입된 염화물 중 77%만이 고정화되었다. 3. 시멘트 중량에 대한 염화물 고정화율은 혼입량에 따라 0.015~0.475%로 나타났다. 이 중 시멘트 중량에 대해 0.091% 이상의 염화물 이온이 혼입될 경우 염화물 혼입량이 2배씩 증가함에도 염화물 고정화량은 1.7~l.8배 증가하고 있어 시멘트 중량에 대한 고정화율도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4. 염화물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염화물의 고정화율은 증가하지만 고정화되지 못하고 세공용액 중에 남아있는 염화물의 절대량도 크게 증가하였다.

섬유보강 폴리머 콘크리트의 강도 및 역학적 특성 (Strength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Fiber-Reinforced Polymer Concrete)

  • 오병환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47-155
    • /
    • 1992
  • 최근들어 성능이 우수하고 품질이 높은 새로운 건설소재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강도화 및 연성확보를 위하여 폴리머 콘크리트에 섬유를 혼입한 섬유보강 폴리머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강도 및 역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포괄적인 실험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주요실험변수로는 강섬유의 혼입량과 채움재(filler)의 혼입량, 그리고 양생온도를 주요변수로 선정하였다. 강섬유의 혼입량은 체적비로 0%, 1%, 2%로 변화시켰으며, 채움재와 수지의 비는 1.0과 1.5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섬유의 혼입으로 인하여 압축강도, 휨강도, 인장강도 모두 증가하였으며, 특히 인장강도의 증가가 더 크게 나타났다. 양생온도가 증가한 경우 폴리머의 중합반응이 좋아져 강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섬유보강 폴리머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도 관계곡선을 도축하였으며, 이것은 구조설계시 중요한 기초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잔골재로 고막 패각을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exur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 Using Cockle Shells as Fine Aggregate)

  • 김정섭;조철희;김광섭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265-273
    • /
    • 2004
  • 압축강도 실험결과, 고막패각 혼입량 15%와 20% 시험체가 무혼입 시험체보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체의 연성능력은 일반 잔골재를 사용한 시험체가 가장 높았으며, 고막패각의 혼입량이 많을수록 연성능력은 낮게 나타났고, 고막패각 혼입량이 많을수록 낮은 하중에서 초기균열이 발생하여 하중의 증가로 인하여 부재의 처짐 속도가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막패각의 혼입량에 따라 부착력이 부족하여, 이후 항복내력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양마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using Kenaf Fibers)

  • 권영호;전우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1-20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천연섬유인 KN섬유를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사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KN섬유의 혼입량 및 유기질 섬유보강재 종류에 따른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KN섬유의 혼입량 4종류(0, 0.3, 0.6 및 $0.9kg/m^3$) 및 비교용 섬유보강재(JT, CEL, PP 및 NY섬유) 4종류를 대상으로 슬럼프, 공기량, 소성수축 시험 및 압축강도, 인장강도, 휨강도, 그리고 건조 수축량, 탄산화 깊이 등을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KN섬유의 혼입량 $0.6kg/m^3$일 때, 인장강도 및 휨강도 증진에 매우 효과적이며, 소성수축 균열 및 건조수축량 저감, 탄산화 깊이에도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일한 혼입량($0.6kg/m^3$)을 사용한 유기질 섬유보강재와의 비교실험에서 탄산화 깊이를 제외한 인장강도 및 휨강도, 소성수축 균열 및 건조수축량 저감 등에 KN섬유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KN섬유의 혼입량 $0.6kg/m^3$를 사용하여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적용하는 것이 콘크리트의 성능 및 환경성, 경제성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현장적용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양마의 혼입량에 따른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by Kenaf Dosages)

  • 권영호;전우철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9-2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천연섬유인 양마를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사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양마의 혼입량에 따른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양마는 표면이 거칠고 섬유의 인장력 및 부식저항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섬유보강재로 적용할 경우에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및 부착력 증대에 의한 균열저감 효과, 그리고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친환경 재료로 기대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기본배합 조건에 양마의 혼입량 4종류(0, 0.3, 0.6 및 $0.9kg/m^3$)를 대상으로 슬럼프, 공기량, 소성수축 균열 및 압축강도, 할열인장강도, 휨강도, 그리고 건조수축량 등에 대한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양마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슬럼프 저하 및 공기량 증대현상이 나타났지만, 차이는 크지 않았다. 특히, 할열인장강도 및 휨강도 증진에 매우 효과적이며, 소성수축균열 및 건조수축량 저감에도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능,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양마의 혼입량은 $0.6kg/m^3$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사용성 및 비교시험을 통한 현장적용성의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