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혼성막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2초

그래프팅 방법을 이용한 유-무기 혼성막의 제조 및 특성 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rganic/Inorganic Hybrid Membranes Using Organo-silane via Grafting Methods)

  • 오석일;강태욱;문정우;김홍곤;이종협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2004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60-162
    • /
    • 2004
  • 기계적, 열적 강도가 우수한 무기막과 다양한 기능성을 가질 수 있는 유기막의 결합에 관하여 그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무기막은 높은 열적, 기계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지체로써 큰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고분자를 비롯한 유기막은 그 다양성과 응용성에 있어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지체로써 물성이 뛰어난 세라믹막의 표면에 다양한 유기 기능기를 가지는 실란화합물을 그래프팅 방법을 통하여 도입하여 유-무기 혼성막을 제조하고 표면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중략)

  • PDF

분리막 및 광촉매의 혼성 정수/하수 처리 공정 (Hybrid Water/Wastewater Treatment Process of Membrane and Photocatalyst)

  • 박진용
    • 멤브레인
    • /
    • 제28권3호
    • /
    • pp.143-156
    • /
    • 2018
  • 본 총설은 다양한 저널 게재 논문으로부터 분리막 및 광촉매의 혼성 정수/하수 처리 공정을 요약하였다. 이 총설에는 (1) 분리막 광촉매 반응기(membrane photoreactor, MPR), (2) 분리막 결합 광촉매 공정에서 막오염 관리, (3) 유기 오염물의 분해를 위한 광촉매 분리막 반응기, (4) 정수처리용 막분리 공정과 광촉매 분해의 결합, (5) 휴믹산 분해를 위한 광촉매 및 세라믹 막여과의 혼성공정, (6) 활성슬러지 여과를 위한 한외여과의 막오염에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의 영향, (7) 정수처리용 광촉매 및 정밀여과의 혼성시스템, (8) 선박 평형수 처리용 한외여과 및 광촉매의 혼성공정 및 (9) 분리막 및 광촉매 코팅 프로필렌 구의 혼성수처리 공정이 포함되어 있다.

DMFC용 PVDF/SPEEK/TiO2 하이브리드 막의 수분함량과 메탄올 전이현상 (Liquid Uptake and Methanol Transport Behaviour of PVDF/SPEEK/TiO2 Hybrid Membrane for DMFC)

  • 유선경;김한주;박수길
    • 전기화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77-180
    • /
    • 2005
  • 유 무기 혼성 막의 계열은 티타니움 디옥사이드 나노파티클 함량의 체계적인 변화에 의해 조제된다. 유 무기 혼성 막의 수분함량, 메탄올 투과도와 전자 전도 특성은 무기 산화물의 함량의 기능에 따라 연구된다. 그 결과 망상구조의 무기 산화물은 전자 전도 특성과 수분함량의 감소를 보였다. 또한 무기 산화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메탄올 투과도도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형태학적인 관점에서 막은 폴리머 기반과 무기영역 사이에 균일하고 잘 점착됨을 보여준다. 혼성막의 특성은 나피온막과 비교 실험되었다.

연료전지용 양이온 전도성이 증가된 디페닐 단위를 갖는 블록공중합체 혼성막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brid Membrane for Block Copolymer Containing Diphenyl Unit Increasing Cationic Conductivity for Fuel Cells)

  • 김애란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8권5호
    • /
    • pp.465-470
    • /
    • 2017
  • Sulfonated fluorinated block copolymers having diphenyl units were mixed with the sulfonated cationic conductive polymers at an optimum mixing ratio to form hybrid membranes for fuel cells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2D and 3D AFM topology analysi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hydrophilic units in the hybrid membrane was improved. Through the FE-SEM, the microstructure of the hybrid membrane implied hydrogen bonding and pi-pi interactions, and EDAX confirmed carbon, oxygen, sulfur, and fluorine. The thermogravimetric analysis showed that the hybrid membrane was thermally stable and the hydrophilicity of the hybrid membrane was increased by the contact angle of water drople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ation conductivity increased by a factor of 1.8 times as the number of acidic domains in the hybrid film increased.

저압 막여과 혼성공정을 이용한 고도 정수처리 (Low Pressure Hybrid Membrane Processes for Drinking Water Treatment)

  • 추광호;정지현;박학순
    • 멤브레인
    • /
    • 제17권3호
    • /
    • pp.161-173
    • /
    • 2007
  • 현재 막여과 공정은 정수처리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막여과 공정은 저압 운전이 가능한 정밀/한외여과 분리막을 이용할 때는 효과적인 용존성 유기물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막오염 현상으로 분리막의 투과도 감소가 일어난다. 고압 분리막을 이용할 경우 양질의 수질은 얻을 수 있으나 고압 운전으로 인하여 운전비용의 소모가 높다. 따라서 최근 분리막의 효율적인 정수처리 적용과 성능 향상을 위해서 다른 물리화학적 공정과 결합한 혼성공정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혼성공정으로 응집, 흡착, 특정 화학반응, 막표면 코팅 등과 정밀/한외여과 공정을 결합한 경우의 특징, 처리효율, 고려사항 등을 고찰하였다.

혼성 막여과 공정을 이용한 철/망간의 제거 및 막오염 평가 (Fe/Mn Removal and Membrane Fouling in Combined Chlorination/UF Systems for Drinking Water Treatment)

  • 추광호;이해범;최상준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2004년도 Workshop
    • /
    • pp.115-131
    • /
    • 2004
  • .Oxidized Mn and Fe retained by UF did not cause membrane fouling, but reduced it. .Periodic backwashing rather aggravated fouling due to the deposition of Mn oxides on the outside, which was associated with oxidation kinetics.

  • PDF

해녀콩의 후기 뿌리혹에서 발현되는 4개의 cDNA 특성 (Characterization of Four cDNA Clones Expressed in Late Root Nodules of Canavalia lineata)

  • 안정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4호
    • /
    • pp.381-388
    • /
    • 1995
  • 해녀콩(Canavalia lineata) 뿌리혹으로부터 만들어진 cDNA library를 뿌리의 총 RNA, leghemoglobin 및 uricasell cDNA를 competitor로 사용하여 차등 혼성화반응으로 후기 뿌리혹에서 발현되며 Cno이, Cne2, Cne3, Clb2로 명명된 4개의 cDNA 클론을 얻었다. Cnod1은 벼의 cysteine proteinase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와 유사한데 1450nt의 전사체외 혼성화 반응을 보였으며 뿌리혹에서만 발현되고 뿌리혹 발달 후기에서 가장 높은 발현을 보였다. Cne2는 벼의 Expressed Sequence Tag의 한 종류와 유사하고 900 nt의 전사체와 혼성화 반응을 보였으며 뿌리혹에서 주로 발현되었다. Cne2는 접종 후 13일째 발현이 증폭된 후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Cne2는 완두의 tonoplast 막 내재 단백질 TRG31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와 유사하며 뿌리에서 가장 많이 발현되었다. Cne3는 1700 nt와 1400 nt의 전사체와 혼성화반응을 보였으며 뿌리혹의 성장, 발달과 일치하는 발현 양상을 보였다. Clb2는 800 nt의 전사체와 혼성화반응을 보였으며 접종 후 8일째부터 발현이 시작되어 13일째 증폭되고 그 이후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 PDF

TEOS/염기 및 MTMS/산 혼성 용액으로 제조한 반사방지 코팅막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nti-reflective Coating Film Prepared from Hybrid Solution of TEOS/Base and MTMS/Acid)

  • 박현규;김효섭;박주식;김영호
    • 공업화학
    • /
    • 제30권3호
    • /
    • pp.358-364
    • /
    • 2019
  • 반사 방지(anti-reflective; AR) 코팅막의 광학 특성 및 내오염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tetraethylorthosilicate (TEOS)/염기 및 methyltrimethoxysilane (MTMS)/산 혼성 용액의 혼합비를 변화시키며 다양한 AR 코팅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AR 코팅막은 UV-Vis, 접촉각 측정기, AFM, FT-IR 및 연필 경도 시험을 통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MTMS/산 용액의 함량이 10 wt%인 혼성 용액으로 제조한 AR 코팅막에서 유리 기판은 매우 우수한 광학 특성(97.2%의 투과율), 우수한 내오염성($121^{\circ}$의 물 접촉각 및 $90^{\circ}$$CH_2I_2$ 접촉각), 중간 정도의 기계적 강도(4 H의 연필 경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우수한 내오염성은 기판의 표면 위에서 혼성 용액 내 소량의 MTMS/산 용액으로부터 유래된 메틸기($-CH_3$)의 고른 분산에 기인한 것으로 고려되었다. 연필 경도 시험 결과로부터, AR 코팅막의 기계적 강도는 MTMS/산 용액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