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혼방직물

Search Result 7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rmal Characteristics of Silk/Cotton Fabric by PCM and Chitosan Treatment (PCM과 키토산 처리된 실크혼방 직물의 열적특성)

  • Ma, Jae-Hyuk;Yang, Kyoung-Suk;Koo,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59-59
    • /
    • 2012
  • 의류용 섬유제품은 고유의 기능인 보온성을 비롯하여, 태나 착용감, 또는 패션에 부응하는 다양한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섬유 직물의 보온기능은 경량 보온과 축열 보온 그리고 발열 등이 중요한 기능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적극적인 보온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 개선책으로서 패션소재표면에 상전이물질을 코팅하여 보온성을 조사했다. 상전 이물질 (PCM,Phase change materials) 입자를 DSC분석기로 측정하여 열거동을 관찰하였고, 실크직물과 실크혼방 직물에 PCM과 키토산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보온성 테스트와 SEM을 측정하였다. 실크직물과 실크혼방 직물에 PCM과 키토산 처리하여 직물의 보온성을 측정해 본 결과, 실크직물 9.1% 실크혼방 직물은 29.9%로 실크혼방 직물이 실크직물보다 우수한 보온성을 보였다. SEM 관찰에서도 실크직물과 실크혼방 직물의 표면에 PCM입자의 침투정도도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미루어 볼 때 실크직물보다 실크혼방 직물에 PCM과 키토산을 처리하였을 경우 우수한 보온성을 보인다고 생각된다.

  • PDF

자외선 조사경화법에 의해 양이온화된 양모/면(55/45)혼방 직물의 일욕(一浴) 균염(均染) 염색

  • 장진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110-113
    • /
    • 1998
  • 면/양모 혼방직물은 면 섬유와 양모 섬유의 특징을 적절히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염색에 의해 균염을 얻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면/양모 혼방직물은 각 구성 섬유의 염색성이 상이하여 이 욕에 의한 염색이 일반화되어 있으나, 이는 양모의 알카리에 의한 상해를 동반하기도 하며 공정의 이분화로 인해 비경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중략)

  • PDF

Changes in the Dyeing Property of Tencel Blended Fabrics as Susceptible Functional Fiber through Chitosan Finishing (키토산 가공에 의한 감성기능소재로서의 텐셀 혼방직물의 염색성 변화)

  • Park, Youn-Hee;Kang, In-Sook;Bae, Hyun-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1 no.12
    • /
    • pp.1672-1681
    • /
    • 2007
  • Cationization is effective to complement the defects of Tencel blended fabrics by introducing new functions. For this purpose, we used chitosan, which is congenial to the human body, free of pollution, and easily reacted. Then, we compared it to the Tencel single fabrics. To perform such effective cationization, the fabrics were treated with chitosan after NaOH pretreatment and enzyme treatment thereof. After that, the fabrics were treated with a crosslinking agent and a softner. The dyeing property of the cationized Tencel blended fabrics and reactive dye, which is a type of anionic dye, show a high concentration in neutral salt and excellent repulsive power between the fabrics and the decreased dyes. The dyeing property of the chitosan treated fabrics represented better performances than that of untreated fabric in the lower concentration of neutral salt. Meanwhile, when it was dyed with certain acid dyes, the dyeing property of the chitosan treated fabrics showed better results due to the reaction of an amine group, which was introduced by chitosan treatment. Thus, the verification of the cationization of the Tencel blended fabrics was performed. The washing fastness of the Tencel blended fabrics showed a little bit better than that of the Tencel single fabric, and it represented a better performance in the dye with a reactive dye than that of an acid dye.

A Comparison of The One-side Water repellency in Polyester and Nylon/PU Fabrics by Low Temperature Plasma Treatment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Polyester, Nylon/PU 직물의 편면발수성 비교)

  • Ma, Jae-Hyuk;Son, Kung-Tai;Choi, Jin-Young;Koo,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60-60
    • /
    • 2012
  • 최근 들어서 소비성향의 고급화 추세와 고기능성 및 쾌적성의 추구는 발수성의 개발로 이어져왔다. Polyester, Nylon 등 다양한 합성섬유소재의 발전으로 발수기능이 상품가치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더 나아가 표면과 이면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도록 유도하여 편면기능성을 부여하는 가공을 응용한다면 더욱 더 고부가가치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소계로 발수 처리된 Polyester직물 및 Nylon/PU 혼방직물에 저온 플라즈마를 출력 50W, 1, 3, 5, 7 분 처리하여 편발수성을 검토하였다. 불소계 발수제로 코팅처리한 Polyester직물의 경우 5분간 Plasma처리하면 접촉각이 미처리 시료의 $149^{\circ}$에서 처리 후, 앞면 $71.56^{\circ}$, 뒷면 $126.94^{\circ}$,Nylon/PU 혼방직물의 경우에는 $155.3^{\circ}$에서 앞면 $63.24^{\circ}$, 뒷면 $139.26^{\circ}$로 크게 편면 친수화 되었다. 그 결과로 볼 때 플라즈마처리에 의해 편면발수 가공으로 서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SEM 관찰을 통해 Polyester직물 및 Nylon/PU혼방 직물에 플라즈마 처리한 후 처리시간에 따른 펴면의 발수가공 층이 파괴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표면에서의 발수효과가 플라즈마처리에 의해 친수화가 진행된 결과와 일치한다.

  • PDF

Subjective Wear Comfort and Related Fabric Surface Parameters Including Fractal Dimension of Contact Points (Fractal 차원과 면 혼방직물 셔츠의 착용 쾌적감)

  • 김정화;이현영;홍경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57-161
    • /
    • 1999
  • 본 연구에서 직물의 열, 수분 전달특성과 KES-FB의 역학적 특성치, 직물표면의 fractal dimension을 측정하여 주관적 의복 착용 쾌적감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실험의복에 사용된 직물은 면 100% 평직물, 면/PET 혼방직물, 피치가공된 면/PET 혼방직물, PET 100% 평직물, 알칼리 감량가공된 PET 100% 크레이프 직물이었으며, 실험의복의 형태는 긴 소매 셔츠로 하였다. 착용실험은 온도 29$\pm$0.5$^{\circ}C$, 상대습도 75$\pm$2%RH, 기류 0.15m/s를 유지하는 항온항습실에서 실시하였고 36명의 여성 피험자(20-23세)들이 참여하였다. 의복 착용감의 하위 구성차원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결과를 요인분석한 결과 5 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제 1 요인은 체온상승, 수분특성과 관련이 있는 온열.발한감이었으며, 제 2 요인은 무게ㆍ두께감, 제 3 요인은 회복특성감, 제 4 요인은 표면접촉감, 제 5 요인은 온냉감으로 구성되었다. 직물의 표면특성을 정량화하는 방법으로 도입한 fractal dimension 의 분석값들과 종래의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어 온 KES_FB 의 표면 특성치들이 주관적 착용쾌적감 예측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비교해 본 결과, 표면접촉감은 fractal dimension, 접촉점들의 총면적, 접촉점들의 평균 axis ratio, MMD, SMD와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종합적 착용쾌적감에 대해서는 SMD 를 제외한 척도들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fractal dimension 과 접촉점들의 총면적은 0.8 이상의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착용쾌적감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분석결과에서는 fractal dimension 만으로 쾌적감의 74%가 설명되었으며 공기 투과도를 첨가하면 두 변수로 $R^2$=.792가 되었다. 설명되는 누적분산값은 67.18%였다.주관적 평가의 결과와 객관적 평가 결과를 이용해 마직물의 태를 평가하는 산출식을 제시하였다. 태 평가치의 경우 16가지 특성치를 모두 넣는 방법과 stepwise 방법, 또 Kawabatark 사용한 순차적 군 회귀법의 세가지 방법의 회귀식 중 16가지 특성치를 모두 넣는 방법의 결정계수가 가장 높았다.tosterone농도는 107.7$\pm$12.0 pmol/l이었고, 남성의 타액내 농도는 274.2$\pm$22.1 pmol/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정립된 EIA 방법은 RIA를 대신하여 소규모의 실험실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또한 상실기 이후 배아에서 합성되며, 발생시기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고 팽창과 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욱이, 조선의 ${\ulcorner}$구성교육${\lrcorner}$이 조선총독부의 관리하에서 실행되었다는 것을, 당시의 사범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조직을 기술한 문헌에 의해 규명시켰다.nd of letter design which represents -natural objects and was popular at the time of Yukjo Dynasty, and there are some docu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ese Letter Jobcheso."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origin of the letter designs in 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