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호흡운동

Search Result 43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Effect of Breathing Exercise on Improvement of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Case Study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환자에서 호흡운동 치료가 폐기능에 미치는 효과)

  • Jung, Young-Jong
    • Physical Therapy Korea
    • /
    • v.8 no.4
    • /
    • pp.71-80
    • /
    • 2001
  •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환자에게 있어 호흡기능장애는 죽음에 이르게 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이 있으며 호흡기능이 약화되어 있는 51세의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호흡운동 치료를 시행한 후 폐기능(pulmonary function)이 증진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6주간의 호흡운동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호흡운동 치료 프로그램은 횡경막 호흡(diaphragmatic breathing), 복부근육강화(abdominal mu scles strengthening), 지갑입술 호흡(pursed lip breathing), 그리고 동기 유발성 흡기폐활량계(incentive spirometer)를 이용한 흡기운동 등으로 구성되었다. 폐기능 검사는 이동식 호흡측정기(spirometer: MICROSPIROHI-198)를 이용해서 시행하였다. 또한 하지 에르고미터(cycle- ergometer)를 이용해 운동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폐기능의 증진 여부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6주간의 호흡운동 치료 기간 동안 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과 정상 예측치에 대한 노력성 폐활량의 비율(percentage of the predicted forced vital capacity: %FVC), 그리고 하지 에르고미터의 운동 시간에 있어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1초간 노력성 폐활량 비(FEV1/ FVC)에 있어서는 약간의 감소를 보였다.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환자에게 6주간의 호흡운동 치료를 실시한 결과, 폐기능의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연구 대상자에게 그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Cancellation of MRI Artifact due to Planar Respiratory Motion (호흡운동에 기인한 MRI 아티팩트의 제거)

  • 김응규;김규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172-174
    • /
    • 2003
  • 화상평면내 미지호흡운동에 기인한 MRI 아티팩트를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호흡운동은 2차원의 선형확대축소운동으로 모델화 된다. 신체조직을 비압축성 유체모양의 물질로 가정할때, 화상위에서의 단위체적당 푸로톤 밀도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사용한 모델에 따르면 호흡운동은 위상 오차와 비균일표본화 및 왜곡된 진폭변조를 MR 데이터에 부여한다. 운동 파라메타가 이미 알려져 있거나 추정 가능하다고 할 때, MRI 아티팩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중첩법에 기초를 둔 재구성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운동 파라매타가 미지인 경우 스팩트럼 이동법을 적용해서 호흡변동함수와 x 방향 확대계수 및 x 방향 확대중심을 추정한다. 다음으로 에너지 최소법을 이용해서 y 방향 확대계수 및 y 방향 확대중심을 추정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제안한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한다.

  • PDF

Effects of Thorax Mobility Exercise on the Thorax Mobility, Breathing Pattern and Respiratory Capacity in Subject With Restricted Thorax Mobility: A Case Series (가슴 가동성 제한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에게 가슴 가동성 운동이 가슴가동성, 호흡패턴 및 호흡량에 미치는 효과: 사례 시리즈)

  • Ha, Sungmin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12 no.2
    • /
    • pp.99-107
    • /
    • 2023
  •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orax mobility exercises on thorax mobility, breathing pattern, and respiratory capacity in subjects with restricted thorax mobility. Methods : Thirteen subjects with restricted thorax mobil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asurement of thorax circumference using a tape measure (difference between inhalation and exhalation), breathing pattern (distance of rib cage elevation during breathing), and respiratory capacity was performed.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thorax mobility, breathing pattern, and respiratory capacity between before and after thorax mobility excercise. Statiscal significance was set at .05.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orax mobility and breathing patter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iratory capacity (p < .05).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orax mobility exercise using the rib mobilization technique is considered to be a method that can improve thorax mobility and normalize abnormal breathing patterns that cause rib cage elevation.

The effect of postural abdominal breathing exercise on posture muscle activity and respiratory function in adults in their 20s (자세에 따른 복식호흡 운동이 20대 성인의 자세근육 활성도 및 호흡 기능에 미치는 영향)

  • Lee, Jun-cheol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2
    • /
    • pp.341-348
    • /
    • 2020
  •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ich position is more effective on exercise. This study compared paricipants in their twenties on sitting position & standing position doing abdominal breathing of their respiration & abdominal muscle activation for 4 weeks. In sitting position, FEV1 was the biggest after breathing exercise. In standing position, the gap was biggest between the FEV1 & forced expiratory flow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In standing and supine position, Lt. rectus abdominis before exercise and Rt. rectus abdominis after exercise muscle activities were the biggiest. Both posture exercise of repeated measure of analysis result,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of the rectus abdomonis muscle and external oblique muscle were not difference in both muscle activity(p>.05). Left Musculus obliquus externus abdominis before and after physical exercise, it's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p<0.05). Before and after exercise, saw a meaningful difference the efforts of FEV1/FVC(p<0.05). The left external oblique abdominis muscle showed the most muscle activity in the supine position before/after exercising, the efforts expiratory showed the lowest muscle activity.The results from the repeated measures ANOVA regarding to before/after the volume and muscle activity,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t the right rectus abdominis muscle(p<.05). This study finally gathered data about the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position. This could be used to find in what position the abdominal breath exercise is the post effective & a new treatment for the patients who has worsened respiration function.

Effects on the Respiratory Function,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and Balance for the Wellness of Stroke Patients - Focused on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Combined with Breathing Exercise - (뇌졸중 환자의 웰니스를 위한 호흡기능, 하지근활성도 및 균형에 미치는 효과 - 호흡운동을 결합한 전신진동운동을 중심으로 -)

  • Kang, Jeong-Il;Yang, Sang-Hoon;Jeong, Dae-Keun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4 no.8
    • /
    • pp.397-405
    • /
    • 2020
  • The purpose of study was to compare respiratory function and quadriceps muscle activity in stroke patients by applying inspiratory muscle training combined with whole body vibration. In addition, the purpose of study is to present an exercise method for improving the respiratory function of stroke patients and the function of the lower limb muscles of stroke patients. Totally, 21 patients with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through clinical sampling. 11 patients who applied whole body vibration combined with respiratory exercise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 Group I, and 10 patients who applied placebo exercise combined with breathing exercise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 Group II. And for 5 weeks, 4 days/week, 1 time/day, 4 sets/1 time intervention program was implemented. Before intervention, the respiratory function was measured with a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meter, the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surface EMG, and the balance ability was measured using a bug balance test. And after 5 weeks, the post-test was re-measured and analyzed in the same way as the pre-test. In the comparison of changes within the group of experimental group 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tivity and balance of the respiratory muscle strength, the biceps femoris, and the anterior tibialis muscle (p<.05). In the comparison of the changes in the experimental group I,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iratory strength and balance (p<.05). In the comparison of changes between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tivity of the biceps femoris and anterior tibialis (p<.01). In the future, research on protocols for respiratory exercise and whole body vibration to improve neuromuscular function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System of Exercise Rehabilitation Underwear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 (COPD 환자를 위한 운동재활 언더웨어 시스템)

  • Ahn, Hyeongi;Jang, Jiyoung;Choi, Hyunhee;Park, Byu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297-298
    • /
    • 2021
  • 본 논문은 만성폐쇄성 폐 질환이 흡연, 대기오염으로 많은 질환자가 발생하여 재활운동을 필요로 하는 추세이다. 현재 측정 도구와 재활운동 도구가 분리되어 질환 진단은 한정된 시설을 이용해야만 하고 재활운동 또한 상시 진행할 수 없어 질환을 확인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평상시 착용하는 이너형태에 재활운동 의류를 개발하여 올바른 호흡을 돕는 근육군이 동원하여 복식호흡을 유도하고 흉식호흡 시 웨어러블기기를 통해 인지하게 돕는다. 이 결과 일상 속 지속 가능한 재활운동을 바탕으로 가슴 벽의 호흡근육 활동을 감소시키고 복부 근육군을 개선하는 것으로 폐 기능을 증진시킬수 있는 언더웨어 개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Effect of Stabilization Exercise with Abdominal Breath on Balance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for Low Back Pain Patients (복식호흡을 병행한 척추 안정화운동이 요통환자의 균형능력과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에 미치는 영향)

  • Son, Ho-Hee;Oh, Jung-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401-402
    • /
    • 2014
  • 본 연구는 복식호흡을 병행한 척추 안정화 운동이 요통환자의 균형능력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20대 요통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은 척추안정화 운동을 실시하는 동안 복식호흡을 함께 적용하였으며 대조군은 척추안정화 운동만을 시행하였다. 운동은 8주간 적용하였으며 운동 시작 전과 후에 오스웨스트리 요통장애지수 설문지를 사용하여 통증을 비교하고 BioRescue를 사용하여 신체중심이 이동한 길이와 면적을 측정하여 균형능력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두 그룹 모두 운동 후, 요통장애지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신체중심이동면적 비교에서 실험군은 운동 후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나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신체중심이동길이의 비교에서 눈을 감은 상태에서 실험군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그룹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요통환자에게 안정화운동과 복식호흡을 함께 병행하여 실시한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 PDF

Effects of Diaphragmatic Breathing Reeducation Exercise using EMG Biofeedback on Inspiratory Function in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EMG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가로막 호흡재교육 운동이 전방머리자세 성인의 들숨 기능에 미치는 영향)

  • Jin-Wook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4.01a
    • /
    • pp.195-198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EMG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가로막 호흡 재교육 운동이 전방머리자세 성인의 들숨 기능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연구 결과 EBDBEG에서 최대들숨압(PIP)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따라서 바이오피트백을 적용한 시각적 되먹임을 통해 가로막호흡운동 시 보다 정확하게 가로막의 수축과 이완의 움직임을 인지하고 호흡 보조근을 억제를 유도할 수 있을 거라 생각되며 좀 더 장시간의 적용은 호흡기능 및 전방머리자세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 PDF

MRI Artifact Correction due to Unknown Respiratory Motion (미지 호흡운동에 의한 MRI 아티팩트의 수정)

  • 김응규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1 no.5
    • /
    • pp.53-62
    • /
    • 2004
  • In this study, an improved post-processing technique for correcting MRI artifact due to the unknown respiratory motion in the imaging plane is presented. Respiratory motion is modeled by a two-Dimensional linear expending-shrinking movement. Assuming that the body tissues are incompressible fluid like materials, the proton density per unit volume of the imaging object is kept constant. According to the introduced model, respiratory motion imposes phase error, non-uniform sampling and amplitude modulation distortions on the acquired MRI data. When the motion parameters are known or can be estimatead a reconstruction algorithm based on biliner superposition method was used to correct the MRI artifact. In the case of motion parameters are unknown, first, the spectrum shift method is applied to find the respiratory fluctuation function, x directional expansion coefficient and x directional expansion center. Next, y directional expansion coefficient and y directional expansion center are estimated by using the minimum energy method. Finally, the validity of this proposed method is shown to be effective by using the simulated motion images.

중량별 신체부하가 호흡순환기능에 미치는 영향

  • 서국웅;이광무;이재규;이창민;김정태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124-130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트레드밀 운동시 신체에 가해지는 중량별 부하가 심박수, 환기량, 호흡수, 이산화탄 소배출량, 산소섭취량, 체중당산소섭취량, 호흡교환률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측정하여 훈련이 나 운동처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피검자들은 성인 남녀 각 5명씩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신체 중량별 부하는 남자에게 안정시, 무부하, 5kg부하, 10kg부하, 15kg무하로 하였으며, 여자 에게는 안정시, 무부하, 5kg부하, 10kg부하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운동부하는 트레드밀(TC-1200, Technogym, Italy)을 이용하여 중량별로 4km/hr로 3분간 실시하였다. 단계별 운동부하에 의한 인체에 미치는 호흡순환계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호흡순환계의 변인을 측정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 을 얻었다. 남자그룹의 경우는 심박수, 환기량, 이산화탄소배출량, 산소섭취량, 체중당산소섭취량, 호흡 교환률에 대한 중량별 평균차의 검증에서 안정시와 무부하, 5kg부하와 10kg부하, 10kg부하와 15kg부하 사이 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무부하와 5kg부하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호흡수에있어서는 10kg 부하와 15kg부하 사이에서만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여자그룹의 경우는 심박수, 환기량, 이산화탄소배출 량에 대한 중량별 평균차의 검증에서는 안정시와 무부하, 무부하와 5kg부하, 5kg부하와 10kg부하 사이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산소섭취량과 제중당산소섭취량에 있어서는 안정시와 무부하, 무부하와 5kg부하 사이네서만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호흡교환률과 호흡수에 있어서는 안정시와 무부하 사이에서만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무부하와 5kg부하, 5kg부하와 10kg부하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남자에게는 걷기시에 단계별 무게부하가 호흡순환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 으나, 5kg까지의 부하는 호흡순환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일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여자에게는 걷기시에 단계별 무게부하가 운동시 심박수와 환기량, 이산화탄소 배출량에는 영향을 미치고 호흡 교환률과 호흡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보아, 여자에게는 걷기시에 단계별 무게 부하가 호흡순환계에 영향을 받고있음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