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호우특성

Search Result 901,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nalysis of Typhoon Storm Occurrence and Runoff Characteristics by Typhoon Tracks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유역의 태풍경로별 호우발생특성 및 유출특성 분석)

  • 한승섭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38 no.5
    • /
    • pp.64-73
    • /
    • 1996
  • When typhoon occurs, the meteorological conditions get worse and can cause a large damage from storm and flood . This damage, however, can be minimized if a precise analysis of the runoff characteristics by typhoon tracks is used in the flood contorl This paper aims at the analysis of storm occurrence and runoff characteristics by typhoon tracks in Nakdong river basin. Therefore, the data of 14 typhoons which invaded Nakdong river basin during the period from 1975 to 1991 were collected, analyzed, and studi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The frequency of the typhoon occurrence here in Korea was affected by the storms three times a year on the average. The highest-recorded frequency was during the months of July to September. 2) The survey of the track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forms of the storm in the Nakdong river basin showed that typhoon storm advanced from the south of the basin to the north, while the frontal type storm was most likely to advanced from the west to the north. 3) Typhoon track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6 predictors with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are finally selected,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ethod are used to establish typhoon strom forecasting models. 4) The riview on the directions of progress of the storm made it clear that the storm moving downstream from upstream of the basin could develop into peak discharge for ca short time and lead to more flood damage than in any other direction.

  • PDF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Debris Flow Triggering Basin and Stream (토석류 발생유역 특성과 하천과의 상관관계 분석)

  • Won, Jun-Kye;Jun, Byong-Hee;Oh, Chae-Yeon;Jang, Cha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07-407
    • /
    • 2011
  • 강원도의 경우 대부분의 지형이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2002년, 2003년과 2006년에 대규모 태풍 및 집중호우에 의해 많은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입었다. 특히 인제지역은 2006년 7월 태풍에 위니아와 빌리스로 인해 많은 산사태와 토사재해가 발생하였다. 피해원인을 분석해 보면 집중호우에 의해 산지 지역에 위치한 소하천으로 많은 양의 토사와 암설류등의 유입으로 인해 피해가 가중되었으며 이러한 토사재해의 특성과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최근 GIS 및 원격탐사를 이용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발생유역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토석류 발생 전후 영상을 토대로 재해 발생지역을 추출하여 디지타이징하고, GIS를 이용하여 토석류 발생지역의 DEM 생성 및 대상 유역을 추출하고 공간자료를 수집하여 토석류 발생영역별 수문학적, 지형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토석류 발생유역을 발생부, 유하부, 퇴적부로 분류하고 구간별 경사 분포와 토석류 및 산사태 발생지점과 하천의 거리, 면적 등을 고려한 상관관계 분석결과 유역의 경사와 하천과의 거리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 PDF

Unsteady Flow Simulation in Small-Medium Rivers for Analyzing Future Inundation Characteristics based on Non-Stationarity (비정상성 기반 미래 침수특성 분석을 위한 중소하천 부정류 해석)

  • Ryu, Jeong Hoon;Kang, Moon Seong;Park, Jihoon;Jun, S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52-152
    • /
    • 2016
  •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장마, 태풍 등 극한사상의 발생빈도와 강도가 비정상적인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름철 국지성 호우로 인한 농경지 및 도심 저지대 지역의 침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침수 피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수공구조물 설계 기준을 초과하는 호우에 대한 홍수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자료의 변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비정상성 (Non-Stationary) 가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통해 중소하천을 대상으로 부정류 해석을 실시하고 미래 침수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상습 침수지역이 위치한 중소하천을 선정하였고, 각 유역에 가장 인접한 기상관측소로부터 강수량 자료를 수집하였다. 강수량 모의 자료는 국립기상과학원에서 제공하는 해상도 12.5 km의 지역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구축한 강수량 자료는 정상성 및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각각 수행하였으며 비정상성 빈도해석 방법으로는 누적평균 방법 및 이동평균 방법을 적용하였다. 유역 유출량은 실무에서 설계홍수량 산정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HEC-HMS 모형으로 산정하였다. 유출량과 하천기본계획의 하천단면 측량자료를 1차원 부정류 해석 모형인 HEC-RAS 모형에 입력하고 부정류 해석을 실시하여 하천 홍수위를 모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습 침수 지역의 침수 피해에 대한 관리 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을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Flood Risk Prediction Technique on Nakdong River Coastal Area (낙동강 해안지역 지자체 홍수위험 전망기법 개발)

  • Lee, Myung Jin;Yoo, Young Hun;Chae, Myung Byung;Kim, Hung Soo;Kim, Soo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89-389
    • /
    • 2018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국지성 집중호우, 태풍 등 위험 기상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현재 홍수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하천 홍수를 중심으로 50개 지점에 대한 홍수 예 경보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어 홍수 예 경보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특성을 반영한 위기경보단계 기준을 설정하고, 행정구역별 홍수위험 전망 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대상 지역으로는 낙동강 권역의 해안지역 29개 지자체를 선정하였으며, 과거에 발생한 홍수 피해 이력을 조사하고 피해액과 지속시간별 강우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해당 지자체의 강우 지속기간을 선정하였다. 그 후 피해현상 및 강우량을 기준으로 x축을 구축하고, 강우 앙상블을 통한 강우 발생 가능성을 기준으로 y축을 구축하여 홍수위험전망 매트릭스를 구축하였다. '관심', '주의', '경계', '심각'으로 4단계를 나누어 홍수위험전망 매트릭스를 구축하였고, 각 단계별 피해현상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홍수위험전망 매트릭스를 제시함으로써, 위험 기상이 발생하였을 때 지자체별 홍수 예 경보를 발령하여 홍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rea Rainfall Estimation Error for Each Types of Weather Radar Composite Images (기상레이더 합성영상 종류별 면적강수량 추정오차)

  • Tae-Jeong Kim;Jang-Gyeong Kim;Jae-Hyun Song;Chung-Dea Lee;Hyun-Han 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10-310
    • /
    • 2023
  • 기상레이더는 강우의 공간분포를 관측하고 강우장 이동특성을 예측하여 집중호우, 태풍 등에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운용되고 있다. 기상레이더는 전파를 송신하고 대기 중의물체(수상체, 건물 등)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강우의 양, 분포, 이동방향 등을 산정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 입체관측(volume scan)을 반복하여 고도각 별로 거리와 방위각에 따라 다양한 합성영상을 산출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본 연구는 구름의 수평적 분포를 파악하는데 용이하여 기존에 널리 사용된 CAPPI 합성영상과 최근 현업에서 복잡한 지형으로 인한 오차를 해소하고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다중 고도각 기반 레이더 강수량(hybrid surface rainfall, HSR) 합성영상을 취득하여 수문해석을 위한 유역단위 면적강수량의 추정오차를 검토하였다. HSR 합성영상은 우리나라와 같이 산악지형이 많이 존재하는 경우 지형의 영향을 받지 않아 지면에 가장 가까운 고도각의 관측자료를 사용하므로 지상관측소 강수량과 비교한 결과에서 기존의 CAPPI 합성영상 레이더 강수량과 통계적 효율 기준을 산정하여 레이더 강수의 품질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근 환경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인공지능(AI) 홍수예보 및 가상모형(Digital Twin)을 활용하여 홍수정보를 생산 및 전달하는 과정에서 유역의 지형적 특성을 현실적으로 고려한 레이더 강수량을 사용함으로 기후변화에 따라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집중호우 대응 및 과학적 홍수관리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omestic Application Plan Research of Basin Share Flood Detention Dam (유역분담 홍수저류지 국내적용 방안 연구)

  • Choi, Eun-Tack;Kim, Yong-Myung;Kim, Man-G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13-2018
    • /
    • 2007
  • 최근에 발생하는 홍수특성은 단기간의 국지성 집중호우로 본류 대하천보다는 상류지역 지류하천이 특히 취약하여 이에 대해 하류보다는 상류, 본류보다는 지류위주로 과거와 다른 치수정책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정부에서도 과거 치수대책이 제방위주의 선적인 개념에서 면적인 개념의 유역치수 중심의 방어형태로 추진하고 있으나, 상류지류 하천에 대한 홍수방어 계획은 부족한 실정이다. 지류하천에 홍수가 발생하면 홍수도달시간이 짧아 첨단홍수예보시스템으로도 대처가 곤란한 문제가 있으며, 이외에도 홍수와 함께 산사태가 빈번히 발생되고 토석류, 유목류가 한꺼번에 동반 유입되어 인명과 재산피해가 크게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작년 7월 강원지역 집중호우에서도 인제군, 평창군 등 지류에 인명과 재산피해가 크게 발생한 것도 이와는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최근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것은 기상적 측면이 아니더라도 우리나라는 하천경사가 급하고 산지가 국토의 약 70%로 구성되어 있어 지형적 측면에서 평화의댐(지체댐), 군남홍수조절지, 한탄강 홍수조절댐 등 대규모 홍수방어댐 도입시 홍수조절 효과가 우수하나, 대규모 댐건설에 따른 지역민의 불신, 환경단체 반발, 사회적 미합의 등 현실적인 제약조건이 많으므로 현실적이고 상류지역 지류하천에 효과적인 홍수조절을 위해서는 보호하고자 하는 도시 및 주요시설물시설에 대하여 소규모 홍수저류지(Detention Dam)를 상류 지류하천에 단일 또는 군(群)으로 도입하여 설치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고 사료된다. 소규모의 홍수저류지는 평상시에는 자연상태와 같이 전량 방류하고 갑작스런 홍수발생시 첨두홍수량을 지체하거나 감소시켜 하류지역에 홍수피해를 줄이는 시설로 기존의 댐보다는 규모가 적고 평상시에는 자연하천과 같이 물을 담지 않아 환경변화에 의한 영향이 적어 사회적 합의가 유리하고 친환경적이며, 홍수기에는 비어 있는 저류용량을 전량 활용이 가능하여 저수규모에 비해 홍수조절효과는 큰 장점이 있다. 특히 홍수조절의 본래 목적 외에도 초목류, 토석류 및 각종 부유쓰레기를 차단하는 사방댐 역할과 하류하천의 퇴사량 감소 등 다방면으로 효과가 있어 독일,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 외국에 도입된 홍수저류지 사례를 조사 및 검토하여 국내에 적용 가능한 유역분담형 홍수저류지 규모 및 방식, 홍수저류지 도입방안과 향후 연구방향 제시하였다.

  • PDF

Flood Forecasting Study using Neural Network Theory and Hydraulic Routing (신경망 이론과 수리학적 홍수추적에 의한 홍수예측에 관한 연구)

  • Jee, Hong Kee;Choo, Yeon M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2
    • /
    • pp.207-221
    • /
    • 2014
  • Recently, due to global warming, climate change has affected short time concentrated local rain and unexpected heavy rain which is increasingly causing life and property damage. Therefore, this paper studies the characteristic of localized heavy rain and flash flood in Nakdong basin study area by applying Data Mining method to predict flood and constructing water level predicting model. For the verification neural network from Data Mining method and hydraulic flood routing was used for flood from July 1989 to September 1999 in Nakdong point and Iseon point was used to compare flood level change between observed water level and SAM (Slope Area Method). In this research,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three cases in which each point's flood discharge, water level was considered to construct the model for hydraulic flood routing and neural network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can be made from simple input data used for comparison analysis and comparison evaluation according to actual water level and from the model.

Analysis of the Changes in Rainfall Quantil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Data Period (자료기간 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거동특성 분석)

  • An, Jae-Hyeon;Kim, Tae-Ung;Yu, Cheol-Sang;Un, Yong-Nam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5
    • /
    • pp.569-580
    • /
    • 2000
  • To account for the influence of heavy storm in Korea by climate change like global warming, the frequency analyses for annual maximum rainfall sequence in 12 rainfall gauge stations are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the temporal change, the rainfall quantile of each station is estimated by the 30-yr data period being moved from 1954 to 1998 with 1-yr lag. Through the analysis for l00-yr rainfall quantile it has been shown that the recent heavy storms increase comparing with storms in the past. From the additional estimating of the rainfall quantile of each station by the 30-yr data period being cumulated from 1954 to 1998 with 1-yr, the change of the probable rainfall by including the heavy storm duration is realized. When the hydraulic structures are determined,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data size and necessary to reestimate the flood prevention capacity in existing river systems.ystems.

  • PDF

Studies on Debris Flows by Heavy Rainfall in Osaek Area in July 2006 (2006년 7월 집중호우로 인한 오색천 유역의 토석류 발생과 그 특성)

  • YANG, Heakun;PARK, Kyeong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5 no.2
    • /
    • pp.25-35
    • /
    • 2008
  • Typhoon Ewiniar and Bilis followed by heavy rainfall in July 2006 triggered massive slope failures and debris flows along the Osaek valley within Seoraksan National Park. Since national road 44 is constructed along the fault-line, the susceptibility of hazard in the area is very high. Debris flows in Osaekcheon are mobilized from landslides near the ridgelines and peaks when heavy rainfall elevates pore pressure and adds weight to the hillslopes, causing failure. Stream flows falling onto the existing colluvium or channel-margin deposits also trigger debris flows. Steep slopes constructed along the road and thin regolith in the slope is the main reason for the landslide in the upper stream. In middle reaches of stream, under-fit drainage utilities and narrow bridges cause the overflow, this then triggers debris flow. Overflowing and erosion in the channel margin deposits is main reasons for the debris flow. The intensities and frequencies of heavy rainfall are certain to increase, so early warn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the landslide-related hazard is urgently needed.

Flood Analysis on Surface Detail of Inundation Risk Area (지형 해상도에 따른 침수위험지역 침수해석 분석)

  • Tak, Yong Hun;Park, Mun Hyun;Kim, Young Do;Kang, Boo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13-113
    • /
    • 2016
  •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도시지역에서는 호우에 의한 침수피해가 더욱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인구와 건물이 밀집한 도시지역은 불투수율이 높아 호우 발생시 홍수 위험도가 커지고 있으며, 침수에 의한 사유재산뿐만 아닌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도시는 건물과 건물 사이로 도로 네트워크가 복잡하게 설계되어있다. 이러한 건물과 도로들은 투수성이 떨어지며, 지하공간과 건물들이 발달하여 유역지표면의 가하학적 형상이 매우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다. 도시지역은 저류 및 침투능이 부족하고, 지역의 특성에 따라 내수배제시설이 부족하여 우수관망에 대한 우수배제의 의존도가 높으며, 호우에 의한 침수와 관거 월류에 의한 침수피해 발생시 우수는 도로를 따라 저지대로 흐르며 침수지역이 넓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도시지역의 침수를 예측하기 위한 침수해석에는 지형의 높낮이, 형상을 고려한 예측이 필요하다. 특히 건물 및 도로망이 복잡한 지역일수록 지형이 정교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지형이 적절히 고려되지 않은 침수해석은 침수예상지역을 다소 과대 또는 과소하게 나타낼 수 있고, 침수심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건물과 도로가 밀집된 도시지역에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예상치 못한 지역에서 침수가 발생하여 피해를 줄 수 있으며, 이는 곧 인명과 재산피해로 이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침수피해가 있었던 도림천 유역을 대상으로 지형자료의 해상도에 따른 침수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수관망과 도시지역의 유출모의에 적합하다고 알려진 SWMM 모형을 활용하여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10m DEM, 1:1,000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지형상세도의 변화에 따른 침수모의를 실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