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호소모델

Search Result 8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ssociation of food insecurity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한국 성인의 식품안정성과 우울증 연관성)

  • Lee, Kowoon;Yoo, Hye-S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
    • /
    • pp.62-71
    • /
    • 2016
  • Food insecurity is associated with poor health outcomes. In particular, previous studies marked the adverse outcomes on mental health.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of food insecurity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ults using the data from the 201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study population was 5,685 adults in Korea. Food insecurity was examined using 18-items. A diagnosis of depression was considered to be depression. Depressive symptoms were defined as more than 2 weeks of depression feeling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s examined the associations between food insecurity and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 The overall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3.8% in the participants. Food insecurity was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 in the unadjusted and age and sex adjusted model. Food insecurity was associated with depression, depressive symptoms in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OR:3.49, OR:3.70). Marginal food insecurity was not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food insecurity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ults. Multi-disciplinary interventions are needed including nutrition, health, health policy, and a healthy environment for the food insecurity group to achieve a better health outcome, especially mental health.

Dental Utilization Associated Factors among Elderly (노인의 치과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Ahn, Eunsuk;Hwang, Ji-Min;Shin, Myong-Suk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5 no.1
    • /
    • pp.60-6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redisposing, enabling, need factors and oral health care factors to the dental utilization in 4,521 senior citizens based on the 5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s for the relationship of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 factors to the necessity of denture, higher academic credential and higher income level that were respectively one of predisposing and need factors led to a higher necessity of denture, and the relationship of these facto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o influential factors for their dental utilization in Model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marital status and whether to subscribe to private health insurance or not. In Model 2, the need factors of Model 1 were adjusted. As a result, the respondents who didn't receive any unsatisfactory dental treatment made 1.35-fold more dental utilization, and the respondents who complained about mastication difficulty made 1.34-fold more dental utiliz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ge, marital status, academic credential, whether to subscribe to private health insurance, unsatisfactory dental treatment experience and mastication difficulty. Age, unsatisfactory dental treatment experience and whether to complain about mastication difficulty or not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 dental utilization in Model 3 that involved oral health statu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predisposing factors, the enabling factors and the need factors exerted an influence on the elderly dental utilization. As there are a variety of factors to affect elderly dental utilization, its required to make an effort to boost the accessibility of the elderly to dental service in order to improve their oral health of the elderly.

Evaluation of estuary reservoir management based on robust decision making considering water use-flood control-water quality under Climate Change (이수-치수-수질을 고려한 기후변화 대응 로버스트 기반 담수호 관리 평가)

  • Kim, Seokhyeon;Hwang, Soonho;Kim, Sinae;Lee, Hyunji;Kwak, Jihye;Kim, Jihye;Kang, Moonse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6
    • /
    • pp.419-429
    • /
    • 202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anagement water level of an estuary reservoir considering three aspects: the water use, flood control and water quality, and to use a robust decision-making to consider uncertainty due to climate change. The watershed-reservoir linkage model was used to simulate changes in inflow due to climate change, and changes in reservoir water level and water quality. Five management level alternatives ranging from -1.7 El.m to 0.2 El.m were evaluated under the SSP1, 2, 3, and 5 scenariosof the ACCESS-CM2 Global Climate Model. Performance indicators based on period-reliability were calculated for robust decision-making considering the three aspects, and regret was used as a decision indicator to identify the alternatives with the minimum maximum regret. Flood control failure increased as the management level increased, while the probability of water use failure increased as the management level decreased. The highest number of failures occurred under the SSP5 scenario. In the water quality sector, the change in water quality was relatively small with an increase in the management level due to the increase in reservoir volume. Conversely, a decrease in the management level resulted in a more significant change in water quality. In the study area, the estuary reservoir was found to be problematic when the change in water quality was small, resulting in more failures.

Effective method of sediment survey in reservoir (저수지 퇴적물의 효율적인 조사)

  • Lee Yo-sang;Kim Hyoung-Soo;Jeong Seon-A;Lee Pyeong-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249-1253
    • /
    • 2005
  • 대부분의 국내 다목적 댐은 유역면적이 넓고 강우기 집중강우로 인하여 유입되는 입자성 물질이 상당히 많은 편이며, 영양염의 증가로 인하여 저수지내부에서 발생되는 입자성 물질도 많다. 이로 인하여 호소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무기$\cdot$유기성 입자와 내부 생성된 유기성 물질들이 장기간 축적되어 저수지 용량이 줄어든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퇴적물 상태를 탐사하는 효율적인 조사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퇴적물 탐사기법에는 탄성파탐사 등을 이용하는 간접적인 방법과 코아를 이용하는 직접적인 방법, 퇴적층 동위원소 분석 기법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법에 대한 기본원리 및 특성, 효용성 등을 평가하고 현장에 적합한 방법을 실제 적용하였다. 퇴적물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먼저 다중빔(MBES)을 이용한 정밀 지형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호저지형의 특징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직접적인 조사방법으로 gravity corer를 사용하여 몇 개의 지점을 sampling하였으며, 잠수부가 직접 핸드코아링를 실시하여 퇴적층을 측정하였다. 16지점에서 실시한Gravity core 결과 세 곳의 조사 정점에서 최대 70cm 두께의 퇴적층이 중력식 시추기에 의해 획득되었으며 다른 정점에서는 50cm, 20cm가 시추되었고 그 나머지 지점에서는 퇴적물이 채취되지 않았다. 이는 퇴적층이 얇아 코아가 쓰러지거나 시료채취가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잠수부가 hand corer를 이용한 시료 채취시에 채취된 시료의 퇴적층은 각 지점별로 덕치리 25cm, 경계지점 25cm, 우산리 지점 45cm로 조사되었다. 납-210(반감기 22.3년)을 이용하여 최근에 형성된 주암댐 호수저 퇴적물 중 퇴적작용 이후 교란을 받지 않은 지역의 시추 시료를 대상으로 퇴적속도를 구하였다. 주암호에서 취한 코아퇴적물 시료는 현장에서 냉동하여 실험실에서 약 2cm 간격으로 절단하여 절단체 별로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210}Pb$의 농도는 grand-daughter인 $^{210}Po$를 측정함 후 감마분석에 의하여 구하였다. CF:CS 연령모델을 적용한 결과 깊이에 따른 supported $^{210}Pb$와 퇴적 속도는 0.91cm/year 인 것으로 산정 되었다.

  • PDF

Water Quality Analysis of Bogang stream using QUAL2E Water Quality Model (QUAL2E 하천수질모형을 이용한 보강천 수질모의 분석)

  • Park, Jung-Ha;Lee, Sang-Kil;Bae, Myoung-Soon;Jeong, Si-M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674-679
    • /
    • 2008
  • 수질모델링은 제한된 공간에서 실측된 자료를 바탕으로 임의지점에서의 수질을 예측하는 것으로서 수체로 유입되는 오염원의 변화에 대한 수질의 변화를 예측, 장래 개발계획 및 수질정책에 대한 영향평가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하천 및 호소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통제하고 과학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수질모델링 과정을 정확히 이해하고 관련모델을 적절히 적용하여야 한다. 최근 수질오염총량제가 시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지자체간 갈등을 줄이고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수질모델링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강 수계 미호천의 지류인 보강천을 대상으로 QUAL2E 하천수질모형을 구축함으로써 해당 수계에 인접한 지자체들이 원활이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를 시행할 수 있게 정확하고 합리적인 수질예측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QUAL2E 하천수질모형을 구축하기 위해서 유량자료는 2007년 10월부터 12월까지 총 8회에 걸쳐 측정한 유량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수리계수는 보강천 하천정비기본계획(건설교통부, 1991)에 실려있는 하천단면 자료를 이용한 HEC-RAS 수리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하천 수질 자료는 2007년 10월부터 12월까지 총 8회에 걸쳐 유량과 함께 측정한 수질자료를 이용하였고 유달계수는 S. R. HA and M. S. Bae(2003, 2004, 2005, 2006), 박정하 등(2007)이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분석 결과, 보강천에 영향을 미치는 지자체는 증평군, 진천군, 괴산군, 음성군이며 그 중 유역면적을 많이 차지하고 있는 증평군과 진천군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미호천 하류에 위치한 미호B 목표수질관리지점의 목표수질인 4.3 mg/L BOD를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n applicability estimation of the HSPF model considering watershed scale (유역의 규모를 고려한 HSPF 모형의 적용성 평가)

  • Choi, Hyun-Gu;Kim, Dong-IL;HwangBo, Hyun;Han, Kun-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04-204
    • /
    • 2011
  • 최근에 들어 도시화와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유역에서의 유출특성과 오염물질 발생특성이 변화하고 있어 이에 따라 체계적인 유역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하천 및 호소에 대한 수질 관리를 생활하수, 공장폐수 등 점오염원을 중심으로 수질관리정책 및 대책을 추진하여 왔으나, 오염물질의 상당량은 비점오염원에서 유발되고 있다. 또한 오염총량제의 실시 이후 국내에서는 비점오염원 관리의 중요성이 점오염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짐으로서 유역수질모델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비점오염원에 관련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 유역의 유출 및 수질 분석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유역간 물질의 교환 및 전달이 유역 규모에 따라 얼마나 높은 정확성을 나타내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검토하여 효과적인 유역수질모델링의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통합적 수질관리의 필요성 증대에 따라, 유역 내 수문 순환 및 비점 오염원의 발생 거동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HSPF(Hydrologic Simulation Program - Fortran) 모형을 통해 오염총량 단위유역을 각각의 소유역으로 순차적으로 모의하여 검 보정을 수행 후 그 결과로 계산된 매개변수들을 단위유역 전체에 대한 분석에 입력하여 수행한 모의 결과와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비점오염원에 의한 유역 내 하천 수질 영향도를 파악하였다. 유량 및 수질해석을 위하여 남강유역의 2004년부터 2007년까지 강우와 기상자료, 유량과 오염원 자료를 수집하여 입력 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대상유역에 해당되는 환경기초시설의 방류 유량 및 수질을 유입시킴으로써 HSPF모의가 진행되었다. 하천수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비점오염원은 강우 및 기상 관련 자료의 입력을 통하여 유역 내 유출 조건의 초기입력을 수행하였으며, 강우 입력에 따른 유출에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토지이용 및 토양도를 고려하였다. 그리고 유역의 규모를 고려하였을 때 오염총량 단위유역의 유역 규모에 따라 모의를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HSPF 모형의 정확성 여부를 판단하여 정확성이 높은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의결과 소유역을 순차적으로 모의한 결과(CaseA)가 전체유역을 모의한 결과(CaseB)보다 실측치와 더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의 평가방법을 바탕으로 유역수질모델링이 이루어진다면 추후 비점오염원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며, 모니터링 기법 및 GIS기반 유역관리모델 개발, 4대강 비점오염원 최적관리기법 연구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isk Factors for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in Their 40s (40대 유방암 생존자의 우울·불안 위험요인)

  • Hwang, Sook Y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2
    • /
    • pp.313-323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in their 40s.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609 breast cancer survivors in their 40s who agreed to participate the study. The mean scores of CES-D and GAD-7 were 16.35(SD=9.24) and 4.25(SD=4.17), respectively. Nearly 47.7% of the participants had depression and 10.3% had anxiety. The mean score of pain severity was 1.91(SD=1.60) and 10.9%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more than moderate pain. The final model i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ain interference, unemployment, the type of live-in partner, and past psychiatric disease were th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depression, and pain interference, unemployment and past psychiatric disease for anxiety. These results show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in their 40s is high and suggest appropriate psychosocial intervention should be provided for high risk groups based on those risk factors.

Application of SPOT 5 Satellite Image and Landcover Map for the examination of Soil Erosion Source Area (토사유실 원인지역 검토를 위한 SPOT 5 위성영상과 토지피복도의 활용)

  • Lee, Geun-Sang;Park, Jin-Hyeog;Hwang, Eui-Ho;Koh, Deuk-K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11
    • /
    • pp.927-935
    • /
    • 2005
  • Soil erosion by rainfall is important factor for basin management because it reduces reservoir capacity and breaks out the contamination of water caused by turbid water. Recently, soil erosion study with GIS is in progress but does not consider soil erosion source area. This study calculated soil erosion amount using GIS-based soil erosion model in Imha basin and examined soil erosion source area using SPOT 5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and land cover map. As a result of analysis, dry field showed high-density soil erosion area and we could easily investigate source area using satellite image. Also we could examine the suitability of soil erosion area by applying field survey method in common areas such as dry field and orchard area those are difficult to confirm soil erosion source area using satellite image.

Gugokri-Nongdari Sedimentary Succession and Environment in the Southwestern Eumsung Basin (Cretaceous), Korea (백악기 음성분지 남서부의 구곡리-농다리 퇴적층과 퇴적환경)

  • Ryang, Woo-Hu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9 no.6
    • /
    • pp.545-554
    • /
    • 2018
  • The Cretaceous Eumsung (Eumseong) Basin is a pull-apart basin, formed along a series of the Gongju strike-slip faults trending NE-SW. The Nongdari-Meer forest of the Gugokri area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basin is comprised of thick purple mudstone, intercalating conglomerate, pebbly sandstone, and green mudstone beds. The succession mainly consists of seven sedimentary facies: stratified conglomerate (C2), conglomerate encased in siltstone (CE), stratified pebbly sandstone encased in siltstone (PSE2), purple sandy siltstone (Zp), green sandy siltstone (Zg), purple mudstone (Mp), and green mudstone (Mg). Sedimentary environment is mainly indicative of alluvial-plain setting in an alluvial-to-lacustrine sedimentary system, develop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basin. Geological survey was fulfilled in succession of the Gugokri sedimentary system using 1:5000 topographic map, which resulted in a geological route map. This study newly suggested that there be fluvial systems showing ENE and NNE trends in the study area, based on data of palaeocurrent direction and sedimentary characteristics in new outcrops of the forest. The study also revised the precedent sedimentation model of the Gugokri system.

On hydraulic characteristic analysis of landslide tsunami (산사태 지진해일의 수리특성 분석에 관한 고찰)

  • Seo, Minjang;Lee, Changmin;Lee, Woo-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03-203
    • /
    • 2022
  • 일반적으로 지진해일은 지진, 화산에 의한 융기 또는 침강에 따른 급작스러운 해저지각 운동에 의해 발생하며, 이에 따른 수위변동과 유체운동을 일컫는다. 그 밖에 해안/해저 산사태, 운석 낙하, 빙하 붕괴와 같이 암석, 토사, 얼음, 운석이 바다, 호수의 수면과 충돌하여 해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 산사태 해일의 피해사례는 많지 않지만, 대부분 인명피해를 동반한다. 이에 과거부터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산사태로 생성된 해일의 전파과정을 조사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최근에는 컴퓨터 성능향상과 다양한 수치모델이 개발됨에 따라 수치해석이 많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산사태 해일의 생성을 직접 모의하기 위해서는 유체-구조 상호작용(FSI; fluid-structure interaction)을 고려할 수 있는 전산유체역학(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해석이 요구되는 관계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SI에 기초하여 충돌모의에 특화된 LS-DYNA를 이용하여 산사태 해일의 생성, 전파 그리고 직립벽(댐)에서의 처오름 및 파압 등을 검토한다. 그리고 낙하물의 형상, 낙하 높이에 따라 생성된 해일이 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이용하는 LS-DYNA 해석의 타당성 및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 수리모형실험에서 생성된 산사태 지진해일과 비교·검증한다. 수치해석 결과, 동일한 체적의 낙하물에서는 폭이 좁을수록 최대파고가 낙하물에 근접해 생성되었고, 폭이 넓을수록 파장이 길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낙하물의 낙하높이가 높을수록 산사태 지진해일의 파고가 크게 생성되었다. 낙하물로부터 600m 지점에서 설치한 댐에서의 산사태 지진해일의 처오름은 파고 및 파장이 클수록 증가하였다. 산사태 지진해일의 파압 역시 처오름에 상응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호소에서 산사태 해일이 발생한다면, 댐 및 제방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