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호박돌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Effects of cobble shape on coefficient of drag force (항력계수에 미치는 호박돌 형상의 영향)

  • Park, Sang Deog;Yoon, Min Woo;Yoon, Young 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6
    • /
    • pp.419-427
    • /
    • 2017
  • In mountainous rivers, the drag force acting on cobbles abundant in the riverbed surface is important in predicting behavior and response of the river.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for the drag coefficients of cobbles. This paper is to carry out the experiments for drag force of cobble and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e cobble shape and the drag coefficient. The effects of the shape factor on the drag coefficients $C_D$ when the long axis or the short axis of the cobbles ar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flow velocity were analyzed. The coefficient of drag force increased with the nominal diameter Reynolds number $R_{ep}$. The drag coefficients are greater in short axis than long axi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C_D$ and $R_{ep}$ is greater in long axis than short axis. This means that the drag forces acting on the irregularly-shaped cobbles depend on the axis. A change of the drag force distribution has brought about the alternative swing of cobbles. For $R_{ep}$ > 12,000, the amplitude of the swing has been increased sharply and especially was greater in short axis than long axis.

Inhabitation and distribution of fish to stream bed in the Geum river basin (금강수계에서 하상재료에 따른 어류의 서식 및 분포)

  • Kim, Jeong-Kon;Hur, Jun-Wook;Park, Jin-Woo;Kim, Kyung-Hoon;Woo, Hyo-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494-498
    • /
    • 2010
  • 금강수계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17개 지점을 대상으로 어류 모니터링과 하상재료를 조사하였다. 하상재료는 사립자 크기에 따라 6단계(실트, 모래, 가는자갈, 굵은자갈, 호박돌 및 전석)로 나누었으며, 각각 3개 지점씩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모든 지점에서 채집된 어류는 10과 49종 7,316개체였다. 하상재료 중 실트~굵은자갈에서 피라미(Zacco platypus)가 가장 높은 출현율을 보였으며, 호박돌~전석에서는 참갈겨니(Zacco koreanus)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다양도 및 우점도는 가는자갈~굵은자갈에서 최적 상태를 보였으며, 정량적서식지평가(QHEI)와 생물보전지수(IBI)는 하상재료가 커짐에 따라 점수가 증가하여 최적 상태를 나타내었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egetables by Korean Traditional Cooking Methods (채소류의 전통조리법에 의한 이화학적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 Ahn, My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14 no.2
    • /
    • pp.177-188
    • /
    • 1999
  • 15 vegetables were cooked as fresh salad, scalding, steaming, boiling, panbroiling, and hardboiling and retention of vitamin(A, Ascorbic acid, Niacin) and minerals(P, Fe, Mg, Ca, Na, K)were investigated about those cooks during making process. Vitamins were shown as the best retention in fresh salad, while as the worst retention in scalding vegetables. Minerals were determined as the best retention in panbroiled, while as the worst retention in scalding and boiling vegetables. In all vegetables cookings, the order of vegetables which had good retention of vitamins and minerals were doraji>perilla leaf, cabbage>k, radish, cucumber>chamchwi, lettuce> mungbean sprout>spinach, burdock, sedum>carrot, squash>soybean sprout>eggplant. Also Vit.A was kept high retention level in fresh salad, panbroiling, hardboiling, Niacin was remained in fresh salad, hardboiling, steaming, vegetables highly and AsA was kept high level in fresh salad only. And P in panbroiling, steaming, Fe in fresh salad, scalding, boiling, panbroiling, hardboiling, Mg in fresh salad, panbroiling, hardboiling, Ca in fresh salad, steaming, boiling, panbroiling, hardborling, Na in panbroiling, hardboiling and K in fresh salad pan, broiling, hardboiling were retained as high level.

  • PDF

Analsys of Roughness Coefficients Due to Bed Material Size (하상재료 입경크기에 따른 조도계수 변화 분석)

  • Kim, Yong-Jeon;Lee, Chan-Joo;Kim, Ji-Sung;Ki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53-205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내하천을 대상으로 하상재료에 따른 조도계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도계수 분석은 수위, 유량, 하천 단면 등을 직접 측정하여 미지질조사국에서 개발한 ncalc모형을 이용하였고 하상재료 분석은 ISO4364, ISO9195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하천은 총 17개 하천으로 거석, 호박돌, 자갈, 모래 등 다양한 하상재료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지점으로 선정하였다. 하상 재료 크기 $D_{50}$을 기준으로 하여 모래 자갈 혼합 하천이라 할 수 있는 2mm${\sim}$32mm 구간, 자갈 하천인 32mm${\sim}$64mm 구간, 호박돌 하천인 64mm${\sim}$128mm, 거석 하천인 128mm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실측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조도계수는 유량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고유량에서 0.04이하로 수렴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를 하상재료 크기에 따라 구분 지을 경우 입경이 커질수록 유량에 따른 변화 폭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상재료 입경의 크기가 64mm 이하인 하천의 경우 조도계수 변화 범위가 최대 0.02 로 나타난 반면 입경크기가 64mm이상인 하천에서는 최대 0.20 까지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조도계수는 일반적으로 수위 증가에 따라 흐름에 저항을 주는 요인들이 침수되면서 감소한다고 보고되었다. 하천의 하상재료 입경이 클 경우 저수위에서 하상재료에 의한 저항요인이 크게 발생되어 수면경사, 흐름 특성 등 조도계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생기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by Field Survey (현지 조사를 통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수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Jeong, Soon-Hyuk;Kim, Ji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7-10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대상 하천인 경기도 가평천에 대해 상류역, 중류역, 하류역으로 3개의 조사지점을 선정하여 각각의 수심, 유속, 하상재질 (모래, 자갈, 호박돌 등)의 구성비, DO를 측정하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처 환경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상 하천에 서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하천 유형별 서식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시기별(2007년 9월, 10월, 2008년 3월, 4월)로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유속과 수심, 하상의 재료 등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에 따라 다른 종류의 무리들이 서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헤엄치는 무리는 주로 유속에 의하여 그 서식영역이 결정되었고, 굴파는 무리는 하상재료가 모래나 점토인 곳을 선호하고 하상바닥이나 약간 위쪽에서 서식영역이 결정되었다. 기는 무리는 하상재료가 주로 자갈이나 호박돌인 곳을 선호하고 유속이 $0.05m/s{\sim}0.15m/s$에서 서식하였다. 붙는 무리는 하상재료가 조약돌이나 자갈인 곳을 선호하고 유속이 $0.07m/s{\sim}0.15m/s$에서 서식하였다.

  • PDF

Method for estimation of roughness coefficient by field measurement and its application (현장 실측에 의한 조도계수 산정 방법과 그 적용)

  • Lee, Chan-Joo;Kim, Ji-Sung;Kim, Yong-Jeon;Ki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504-508
    • /
    • 2010
  • 조도계수는 하천의 흐름 저항을 총량적으로 나타내는 변수로서 흐름 계산에 큰 영향을 미치며 그 결과로 하천의 제방고 등 치수 시설물의 설계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조도계수의 산정은 오래 전부터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수위와 유량에 대한 현장 실측 자료를 토대로 Manning 식에 의해 조도계수를 산정하는 방법을 개괄하고 이를 실제 하천에 적용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호박돌, 자갈, 모래 하천과 자연 하천과 도시 하천을 포함하는 총 28개의 다양한 지점에 대해 조도계수가 산정되었다. 그리고 각 지점에서 산정된 유량에 따른 조도계수의 변화 특성이 분석되었다. 자갈 및 호박돌이 주된 하상재료인 하천에서는 조도계수가 유량 증가에 따라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에, 모래하천이나 도시 하천의 경우 유량 증가에 따른 조도계수의 변화가 거의 없거나 종종 조도계수가 증가하는 특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자갈 하천의 경우 상대수심과 조도계수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수심이 증가하면서 조도계수가 감소하는 특성이 잘 나타나고 있으며, 그 경향성은 Limerinos(1970)이 제시한 식과 상당히 근접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국내 하천의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된 경험식을 제시하였다.

  • PDF

Effects of Particle Sizes on Non-Darcy Flow in Homogeneous Macro-porous Media (대규모 균일공극 매질에서 비Darcy 흐름에 대한 입자 크기의 영향)

  • Park, Sang Deog;Raksmey, Na;Sokan, Kh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38-238
    • /
    • 2019
  • 산지계곡에는 큰 자갈이나 호박돌이 무더기로 퇴적되어 있어서 대규모 공극을 구성한다. 호우시 이 돌무더기 내부에 빠른 흐름이 형성되고 이에 따른 퇴적사면의 급격한 변동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공극 매질의 흐름은 산지계곡에 퇴적된 균일 직경을 가진 구형 입자로 구성된 대규모 공극 매질을 구성하고, 비 Darcy 흐름의 유속에 미치는 입경의 영향을 수리실험으로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구형 입자는 크기가 15.5mm, 25mm, 36.5mm인 유리구슬이고, 조성된 매질의 공극율은 Table 1과 같으며, 실험에서 침투거리는 40cm로 하였다. 실험유량은 0.98~15.41 t/s이고 입자 Reynolds 수는 120~4,580의 범위였다. 동수경사가 증가하면 매질의 단면평균 유속이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입경이 작을수록 유속과 동수경사 사이의 비선형적 경향이 더 크다(Fig.1). 동일한 동수경사에서 매질의 입경이 클수록 유속이 빠르게 나타났다.

  • PDF

A model study for the rational classification of mixed soil layer (혼합된 토층의 합리적 분류를 위한 모델 연구)

  • Kim, Byongkuk;Jang, Seungjin;Son, Inhwan;Kim, Joonseo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4 no.2
    • /
    • pp.194-202
    • /
    • 2018
  • Purpose: It is necessary to set up a standardized method for classifying mixed soil layer that contains sand, gravel and boulder for engineering purposes. Method: Different size of soils was classified mixed soil layer by suggests unified soil classification method. Results: This paper suggests unified soil classification model for different size of soils where many authorities have their own system. Conclusion: Soil stratum classification method using appearing frequencies of gravels and weight ratio of boulders could be used to judgement in many cases.

Determination of Resistance Coefficients Using Field Measurements in Natural Rivers (자연하천 현장자료를 이용한 저항계수의 결정)

  • Lee, Jong-Se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2B
    • /
    • pp.139-147
    • /
    • 2012
  • This study is derived relationships of the resistance coefficients of Darcy-Weisbach and Manning for flow resistance and the dimensionless velocity using many field measurements for 1,875 rivers consist of sand 179, gravel 992, cobble 651 and boulder 53 channels in natural rivers,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s of power law forms are developed as a function of flow discharge, friction slope, and relative submergence by the regression and the semi-empirical method. The measurements distribution of Manning resistance coefficients by the Box-Whisker Plots show the values which ranges from 0.004~0.151 for sand, 0.008~0.250 for gravel, 0.015~0.327 for cobble, 0.023~0.444 for boulder in natural rivers, respectively. Relationships of these semi-empirical and resistance coefficients will be useful to give information in hydraulic engineering.

Physical Habitat Assessment of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in the Han River Basin (한강수계에서 배가사리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의 물리적 서식지 평가)

  • Hur, Jun-Wook;Park, Jin-Woo;Lee, Sang-Uk;Kim, Jeo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977-981
    • /
    • 2010
  • 한강수계에서 배가사리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의 물리적 서식지 평가를 위하여 2008년 10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11개 지점을 선정하여 어류 채집을 실시하였다. 모든 지점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10과 39종 3,886개체였다. 한국고유종은 배가사리 및 참갈겨니 Zacco koreanus 등 22종(61.8%)이 출현하였다. 출현어종 중 개체수 구성비가 가장 높은 종은 피라미 Z. platypus로 25.8%를 차지하였고, 다음은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16.5%, 배가사리 15.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모든 지점에서 채집된 배가사리는 8~10 cm이 가장 많았다. 또한 물리적 서식지는 수심 0.4~0.5 m, 유속 0.2~0.9 m/s, 하상재료 모래(0.1~1.0 mm)~호박돌(100.0~300.0 mm) 및 서식처 유형은 유수역(run)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