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호마엽고병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7초

추낙답(秋落畓) 토양(土壤)에서 생육(生育)한 수도(水滔)에 대(對)한 규회석(珪灰石)의 효과 (The Effect of Wollastonite on Rice Plant Grown on an Akiochi Soil)

  • 박영대;김영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1-71
    • /
    • 1968
  • 1. 추낙답토양(秋落畓土壤)에 생육(生育)한 수도(水稻)는 엽(葉)이 아래로 늘어지나 규산물질(珪酸物質)(규산가리(珪酸加里),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및 규회석(珪灰石))의 시용(施用)으로 수도(水稻)의 엽(葉)은 현저해 직립(直立)되었다. 2. 정조중(精租重)은 규산물질(珪酸物質)의 시용(施用)으로 증가(增加)하며 규회석(珪灰石)의 비효는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보다 못하지 않았다. 3. 규회석(珪灰石)의 비효는 기비(基肥)로 시용(施用)하는 것이 좋으며 질소(窒素)의 증시효과는 규회석(珪灰石)의 증시(增施)에 의(依)하여 현저하다. 4. 수도(水稻)의 규산함량(珪酸含量)은 규산물질(珪酸物質)의 시용(施用)으로 증가(增加)하며 규산물질중(珪酸物質中)에서도 규회석(珪灰石)의 시용(施用)이 수도(水稻)의 규산함량(珪酸含量)을 가장 많이 증가(增加)시켰다. 수도(水稻)의 규산함량(珪酸含量)은 규회석(珪灰石)을 기비(基肥)로 시용(施用)하는 것이 증가(增加)하며 또 규회석(珪灰石)의 시용량(施用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증가(增加)하였다. 한편 수도(水稻)의 철(鐵) 및 질소함량(窒素含量)은 규산물질(珪酸物質)의 시용(施用)으로 감소(減少)되었다. 5. 규산물질(珪酸物質)의 시용(施用)은 엽도열병(葉稻熱病), 수수도열병(穗首稻熱病) 및 호마엽고병(胡麻葉枯病)의 발병(發病)을 저하(低下)시키며 규산물질중(珪酸物質中)에서도 규회석(珪灰石)의 효과가 가장 좋았다. 6. 엽도열병(葉稻熱病)의 이병율(罹病率)은 질소(窒素)의 증시(增施)에 비례(比例)하여 증가(增加)하나 규회석(珪灰石)의 시용(施用)으로 현저히 경감(輕減)되며 이 현상(現象)은 만식재배시(晩植栽培時)에 더 현저하다. 7. 호마엽고병(胡麻葉枯病)의 이병율(罹病率)도 규회석(珪灰石)의 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현저히 경감(輕減)하였다.

  • PDF

2002년 사료작물 수입적응성 인증품종의 생육특성 및 수양성 III. 중만숙 양질 다수성 사료작물 옥수수 교잡종 “DK 7545”, “Garst 8285” 및 “GW 737”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Recommended Cultivars by Imported Forage Crop Regional Yield Trials in 2002 III. Mid-late Maturing, Good Quality, and High Yield of Forage Corn Hybrid "DK 7545", “Garst 8285” and “GW 737”)

  • 성병렬;최기준;김기용;임근발;박근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9-264
    • /
    • 2002
  • 사료용 옥수수 “DK 7545” 교잡종은 미국의 Dekalb plant Genetics Co., “Garst 8285”는 Garst Seeds Co., 그리고 GW 737은 Crosbyton Co.에서 각각 육성한 품종들이다. 이들 품종들의 수입 사료작물 지역적응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수원과 천안 2개 지역에서, 3개년 동안 생산력을 검정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2년 농협중앙회 수입적응성 심의위원회에서 신규보급품종으로 결정되었으며 이들 교잡종들의 주요 재배특성은 다음과 같다. 1. DK 7545 가. 본 품종은 중만열 양질 다수성 사료용 옥수수 교잡종으로서 평균 출웅기는 7월 11일, 출웅 소요일수는 78일로 광안옥과 같으며, 간장은 231cm, 착수고는 127cm이며 도복은 비교적 강하다. 나. 이삭의 색은 황색을 띄고 이삭의 열수가 19열로 많은 편이고 호마엽고병에는 강한 편이며 흑조 위축병에는 천안지역에서 0~4.1%까지 발생되었으나 수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조명나방에는 비교적 강하고 후기 녹색도 정도는 광안옥과 거의 같은 수준이다. 다. 본 품종의 건물 수량성은 19.6톤, TDN 수량은 13.4톤으로 광안옥보다 6~9% 증수되었으며 웅수비율은 43.7%이었다. 2. Garst 8285 가. 본 품종의 평균출웅기 및 출웅 소요일수는 광안옥과 같은 중만도 양질 다수성 사일리지용 옥수수 교잡종이며 득장은 259cm, 착수고는 146cm로 높은 편이며 도복이 강하고 후기 녹색도가 우수한 편이다. 나. 호마엽고병, 흑조 위축병 그리고 조명나방의 보장저항성은 대체로 표준품종 광안옥과 거의 같은 수준이다. 다. ha당 건물수량성은 21,735kg, TDN 수량은 14,627kg으로 광안옥보다 각각 21% 및 16% 증수되었으며 웅수비율은 44.2%였다. 3. GW 737 가. 본 품종의 평균 출웅기는 7월 13일로 광안옥보다 2일 늦으며 출웅 소요일수는 80일의 중만영 양질 다수성 사료용 옥수수 교잡종이다. 다. 호마엽고병, 흑조 위축병에는 강한 편이며, 조방나방에는 비교적 강하다. 라. ha당 건물수량은 18,025kg, TDN 수량은 15,164kg으로 광안옥보다 각각 26% 및 20%나 증수되는 초다수성 사료용 옥수수 교잡종이다.

고위(高位) 및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에서의 철(鐵)의 함량(含量)에 관(關)하여 (The Iron Content of High and Low Productive Paddy Soil)

  • 오왕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권
    • /
    • pp.12-20
    • /
    • 1960
  • 고위생산답(高位生産畓) 22개(個)와 매년(每年) 호마엽고병(胡麻葉枯病)을 발생(發生)시키는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 18개토양(個土壤)을 분석(分析)하고 활성철(活性鐵)과 열염산(熱鹽酸)에 녹는 철(鐵)의 분포상태(分布狀態)를 조사(調査)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작토중(作土中)의 활성철(活性鐵)의 함량(含量)과 청취(聽取)한 정조수량간(正粗收量間)에는 밀접(密接)한 정상관(正相關) (${\gamma}=0.68$, 고등(高等)의 유의성(有意性)이 있음)이 있다. 2. 고위생산답(高位生産畓) 토양(土壤)의 활성철(活性鐵) 및 열염산가용철(熱鹽酸可溶鐵)은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 토양(土壤)에서의 그것보다 현저(顯著)히 많았으며 각(各) 토양별(土壤別) I 층(層)의 그 평균함량(平均含量)과 열염산가용철(熱鹽酸可溶鐵)에 대(對)한 활성철(活性鐵)의 비율(比率)은 아래와 같다. 고위생산답(高位生産畓) 조사점수(調査點數) 활성철(活性鐵)% 활성철(活性鐵)/염산가용철(鹽酸可溶鐵) 잔적토(殘積土) 6 1.313 0.374 하성토(河成土) 9 1.334 0.335 해성토(海成土) 5 1.120 0.382 평균(平均) 20 1.224 0.359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 조사점수(調査點數) 활성철(活性鐵)% 활성철(活性鐵)/염산가용철(鹽酸可溶鐵) 잔적토(殘積土) 5 1.15 0.370 하성토(河成土) 8 0.472 0.191 해성토(海成土) 5 1.068 0.362 평균(平均) 18 0.808 0.288 그러나 표(表)에서와 같이 잔적토(殘積土)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 각층(各層)의 철(鐵)은 고위생산답(高位生産畓)에서 보다 낮지 않았다. 3. 해수(海水)의 영향(影響)을 받지 않은 고위생산답(高位生産畓)에서는 표층토(表層土)의 세탈(洗脫)이 적었으나 동(同)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 및 해성토(海成土)에서는 그 세탈(洗脫)이 크고 동세탈물(同洗脫物)은 심층(心層)에 집적(集積)되여 있다. 4. 해성토(海成土)에서는 고위생산답(高位生産畓)이나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을 막론(莫論)하고 집적층직하(集積層直下)에 활성철량(活性鐵量)이 심(甚)히 적은 층(層)이 있다. 그리고 집적층(集積層)은 고위생산답(高位生産畓)에서는 II-III층(層)(지표면(地表面)으로부터 60cm이내(以內))에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에서는 I-II층(層)(지표면(地表面)으로부터 대개(大槪) 30cm이내(以內))에 위치(位置)한다. 5. 같은 고위생산답(高位生産畓) 및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에서는 토성간(土性間)의 활성철함량(活性鐵含量)에 큰 차이(差異)가 없다. 6. 내산씨(內山氏)의 4개(個)기본(基本)토양형별(土壤型別)로는 동일(同一)토양형((土壤型)이라도 고위(高位) 저위생산답별(低位生産畓別)로 활성철(活性鐵)의 함량(含量)에는 차이(差異)가 크다.

  • PDF

산성(酸性) 유산염(硫酸鹽) 토양(土壤)에 관(關)한 연구(硏究) - 투수(透水)에 의(依)한 석회(石灰) 시용량(施用量)이 수도생육(水稻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 (Studies on the Acid Sulphate Soils - Effect of the Rice Plant Growth by Amounts of Lime Application on No-Percolation and Percolation -)

  • 하호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9-34
    • /
    • 1970
  • 산성(酸性) 류산염(硫酸鹽) 토양(土壤)에 석회시용(石灰施用)과 투수(透水) 무투수(無透水)가 수도생육(水稻生育)에 미치는 영향과 토양(土壤) 성분변화(成分變化)를 본바 다음 몇가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분얼 및 초장(草長)은 생육초(生育初)에는 별차이가 없으나 8월이후(月以後) 석회(石灰)의 효과가 나타남과 아울러 투수구(透水區)가 무투수구(無透水區)에 비(比)하여 효과적이었다. 2. 수수(穗數) 및 수당립수(穗當粒數), 임실률(稔實率)도 석회시용증가(石灰施用增加)에 따라 효과가 좋으며 무투수(無透水)에 비(比)하여 투수구(透水區)가 좋은 결과(結果)를 가져왔다. 3. 정조수량(精粗收量)은 표준구(標準區) 100에 비(比)하여 무투수(無透水) Ca 12me/100gr가 194% 투수구(透水區)의 Ca 4me/100gr가 268%, Ca 8me/100gr가 315% 증수(增收)되었다. 4. 석회시용(石灰施用)에 따라 호마엽고병(胡麻葉枯病) 병반(病斑)도 감소(減少)되었다. 5. 석회시용(石灰施用)에 따라 토양내(土壤內) 성분변화(成分變化)는 유효인산, 가용성(可溶性) $SiO_2$ 함량이 증가(增加)되었고 $Fe^{{+}{+}}$의 함량(含量)이 감소(減少)되었다.

  • PDF

내도복 다수성 사일리지 옥수수 신품종 "평안옥" (A New Single Cross Maize Hybrid for Silage, "Pyeonganok")

  • 손범영;김선림;정태욱;김정태;송송이;김정곤;김시주;지희정;허창석;박종열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10-313
    • /
    • 2009
  • 평안옥은 자식계통 KS140과 KS94의 교잡으로 육성된 다수성인 단교잡종이다. 2005년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2006~2008년 3년 동안 4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8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신규우량품종으로 결정되었다. 이 품종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안옥의 종피색은 황색이며 입질은 반경립종이고, 출사일수는 광평옥보다 3일 늦다. 간장 및 착수고는 광평옥과 비슷하였으며, 후기녹체성도 광평옥과 비슷하였다. 2. 호마엽고병, 매문병 및 조명나방은 중정도의 저항성이며, 흑조위축병에는 약한 편이다. 도복은 강하며 광평옥과 비슷한 저항성을 갖고 있다. 3. 평안옥의 건물수량은 20.84톤/ha로 광평옥과 비슷하였다. 4. 모본과 부본 4 : 1 재식비율에서 동시 파종하여 채종한 결과 모본의 출사기와 부본의 화분비산기간이 잘 일치하였다.

추낙답수도(秋落沓水稻)에 대(對)한 규산(珪酸)의 증수효과(增收效果) (Increased yielding effect of silica on rice grown on Akiochi soil)

  • 박영대;김영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1
    • /
    • 1971
  • 1. 규산시용(珪酸施用)으로 수도(水稻)의 출수(出穗)가 수경(水耕)과 추낙답(秋落畓)에서 공(共)히 약(約) 일주일(一週日)이 빨렀고 수도(水稻)의 엽(葉)은 현저히 직립(直立)되였다. 2. 규산시용(珪酸施用)으로 수도(水稻)의 규산함량(珪酸含量)이 증가(增加)하며 추낙답(秋落畓)에서는 규산(珪酸)을 박비(迫肥)보다 기비(基肥)로 시용(施用)하는 것이 수도(水稻)의 규산함량(珪酸含量)을 증가(增加)시켰다. 규산시용(珪酸施用)으로 다른 양분(養分)의 함량(含量)은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며 특(特)히 추락도(秋落稻)의 Fe 함량(含量)은 현저히 감소(減少)되었다. 3. 수도(水稻)의 규산함량(珪酸含量)과 엽도열병(葉稻熱病), 호마엽고병(胡麻葉枯病), 응애 및 멸구의 저항성(抵抗性)과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다. 4. 수도(水稻)에 대(對)한 규산(珪酸)의 증수효과(增收效果)는 수경(水耕)에서는 거의 없으나 추낙답(秋落畓)에서는 현저하다. 추낙답(秋落畓)에 대(對)한 규산(珪酸)의 증수효과(增收效果)는 pot 재배(栽培)보다 포장(圃場)에서 더 현저하다. 규산시용(珪酸施用)으로 추낙도(秋落稻)의 수당입수(穗當粒數)와 등숙률(登熟率)이 높아지고 규산(珪酸)의 비효(肥效)는 질소(窒素)와 가리(加里)의 균형시비(均衡施肥)로 증가(增加)한다. 5. 따라서 규산(珪酸)은 수도(水稻)에 대(對)한 필수원소(必須元素)라기보다 추낙답(秋落畓)과 같이 가급태규산함량(可給態珪酸含量)이 적은 토양(土壤)에서는 수도(水稻)의 건전생육(健全生育)을 위(爲)하여 농경학적(農耕學的) 의미(意味)에서 규산(珪酸)의 공급(供給)이 필요(必要)하다고 생각(生覺)된다.

  • PDF

추락답(秋落沓)에 있어서 소석회(消石灰)와 생고시용(生藁施用)이 토양(土壤) pH, 수도(水稻)의 양분흡수(養分吸收)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laked-Lime and Straw on the Soil pH, Nutrient Uptake and Yield of Rice in Akiochi Paddy Field)

  • 안수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145-151
    • /
    • 1976
  • 추락답(秋落沓)에 있어서 석회(石灰)와 생고시용(生藁施用)이 담수하(湛水下)의 토양(土壤)pH와 수도(水稻)의 양분흡수(養分吸收),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효과(效果)와 그 잔효(殘效)를 구명(究明)코저 시험(試驗)한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소석회생고병용시에는 금비단용(金肥單用)에 비(比)하여 평균(平均) 41%의 가리효과(增收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소석회(消石灰), 생고병용시에는 수도(水稻)의 생육(生育) 후기(後期)에 하엽고사(下葉枯死)가 적었으며 생육(生育)이 왕성(旺盛)하고 호마엽고병(胡麻葉枯病)과 도열병피해(稻熱病被害)가 극(極)히 경미(輕微)하였고 수당입수(穗當粒數), 등열비율(登熱比率) 및 입중(粒重)이 모두 대조구(對照區)보다 월등(越等)히 많고 높았다. 소석회생고병용시에 수도(水稻)는 더 많은 규산(珪酸), 석회(石灰), 질소(窒素) 및 가리(加里)를 흡수(吸收)하였다. 소석회(消石灰)와 생고시용(生藁施用)의 잔효(殘效) 매년(每年) 반감(半減)되고 1년차(年次) 20%, 2년차(年次) 10%, 3년차(年次) 5% 정도(程度)이였다. 논토양(土壤)의 pH는 소석회(消石灰)와 생고(生藁)에 다같이 영향(影響) 받으며 처리후(處理後) 약(約)8일후(日後)에 일정치(一定値)로 고정(固定)되였으며 0.3%의 소석회하(消石灰下) 생고다시용시(生藁多施用時)에는 생고무시용시(生藁無施用時)보다 pH 값은 떨어졌다. 담수하(湛水下) 논토양(土壤)의 pH는 소석회(消石灰) 및 생고시용량(生藁施用量)과 다음과 같은 함수관계(函數關係)를 나타내였다. $$pH=5.5293+8.6007X_1+2.7836X_2-{6.7422X_1}^2-{1.8522X_2}^2-7.000X_1X_2$$ ($X_1$=소석회(消石灰), $X_2$=생고(生藁))

  • PDF

포장재배(圃場栽培) 수도(水稻)의 영양진단(營養診斷) -1. 지엽분석(止葉分析)에 의(依)한 진단(診斷)- (Diagnosis of the Field-Grown Rice Plant -[1] Diagnostic Criteria by Flag Leaf Analysis-)

  • 박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6권1호
    • /
    • pp.18-30
    • /
    • 1973
  • 삼요소(三要素) 단순시험(單純試驗) 포장(圃場)을 대상으로 지엽(止葉) 및 하위엽(下位葉) 분석(分析)에 의(依)한 수도(水稻)의 영양진단(營養診斷) 척도(尺度)를 찾고자 하했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어떤 영양(營養)이 결핍(缺定)한 토양(土壞)의 무비구(無認區) 결핍구(缺乏區) 및 시비구(施肥區)에서 유인결핍(誘引缺乏), 염계결핍(鹽界缺乏), 잠재결핍(潛在缺乏) 치사흡수(侈奢吸收) 과잉장해(過剩障害)의 제단계(諸段階) 척도(尺度)를 추정(推定)할 수 있었다. 2. 수확기(收穫期) 지엽중(止葉中) 질소함량(窒素含量)이 1% 이하(以下)이면 유인결핍(誘引缺乏)이고 $1.0{\sim}1.2%가 염계결핍(鹽界缺乏)$1.2{\sim}1.6%이 잠재결핍(潛在缺乏)$1.6{\sim}1.9%가 만족(滿足)영역으로 치사흡수단계(侈奢吸收段階)이고 1.9 이상(以上)에서 장해(障害)를 받는다. 3. 인산(燐酸)(P_2O_5)$은 각단계(各段階)가 0.3% 이하 $0.3{\sim}0.4 $0.4{\sim}0.550.55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과잉장해수준(過剩障害水準)은 알 수 없었다. 4. 규산(硅酸)$(SiO_2)$은 4%이하 $4{\sim}6 $6{\sim}11및 11이상(以上)으로 나타났다. 5. 가리(加里)$(K_2O)$는 0.5% 이하(以下) $0.5{\sim}0.9 $0.9{\sim}1.2 $1.2{\sim}1.4 및 1.4 이상(以上)의 장해(障害)영역을 보였다. 6. 지엽중(止葉中) 가리(加里)는 질소(窒素)를 수생육(穗生育)에 기여케한 결과(結果)로 지엽중(止葉中) 질소함량(窒素含量)을 낮추고 지엽중(止葉中)을 줄인다. 7. 인산(燐酸)은 Mg>Si>Mn>K의 순(順)으로 하엽(下葉)에서 지엽(止葉)으로의 이동(移動)을 촉진(促進)하고 Ca>N의 순으로 저지(沮止)하는 반면 가리(加里)는 Mn>Ca의 순으로 촉진(促進)하고 Ma>Si>N의 순(順) 으로 저지(沮止)하였다. 8. 양분전류촉진지수(養分轉流促進指數)는 $(F_2L_1-F_1L_2){\cdot}100/F_1L_1$으로 계산할 수 있는데 한 양분(養分)의 시비량(施肥量)이 타양분(他養分)의 이동(移動)에 대(對)한 영향의 지표(指標)로 적합(適合)하였다. 여기서 F 와 L 은 지엽(止葉) 및 하엽중(下葉中)의 양분농도(養分濃度)를, 2는 비료(肥料)의 시비수준(施賂水準)을 의미(意味)한다. 9. 적기재배(適期栽培)에 비(比)하여 조기재배(早期栽培)는 엽중(葉中) $SiO_2$의 함량(含量)이 하엽(下葉)보다 지엽(止葉)에서 낮아 규산(珪酸)의 흡수(吸收) 및 이동(移動)이 불량(不良)한 것으로 나타났다. 10. 가리결핍답(加里缺乏畓)에서 나타난 호마엽고병(胡麻葉枯病)은 지엽중(止葉中) 가리함량(加里含量)보다 $SiO_2$ 함량(含量)에 더 깊은 관계를 보였다11. 생육(生育)이 불량(不良)한 저수답(低收沓) 수도(水稻)의 엽위별(葉位別) 분석(分析)은 주인(主脚) 영양(營養)을 밝혀를 뿐만 아니라 $2{\sim}3$개의 기타 영양장해(營養障害)가 수반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12. 문제지역(問遷地域)의 영양장해(營養障害)는 모두 대량원소(大量元素)가 일차적(一次的) 요인(要圍)이며 미량원소(微量元素)는 이차적(二次約)일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