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호르몬 수용체

Search Result 12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연안의 유해물질 오염과 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 조현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1.02a
    • /
    • pp.14-18
    • /
    • 2001
  • 현대의 우리들의 생활환경 중에는 약 10만 종류 이상의 아주 많은 화학물질이 존재하고 있으며 매년 약 1000종류의 새로운 화합물이 상품화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 중 일부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편리한 기능을 가져다 주는 역할을 하고 있으나 최근 생태계 및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판명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들 중에는, 성호르몬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호르몬 수용체에 잘못 결합하여 호르몬 활성을 異常히 높이는 등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또, 약물대사 효소의 유도나 효소활성의 저해 등에 의한 물질대사의 교란, 면역계통의 저해, 발암작용 등의 영향에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일군의 물질은 내분비계 장애물질(Endocrine disruptors; 환경 호르몬)로 불리며, 최근의 여성에 있어서 유방암의 발생율의 상승이나 남성의 정자수의 감소, 혹은 어떤 종의 야생 생물에 있어서 생식기능 장해(악어 수컷 생식기의 퇴화, 수컷 잉어등의 암컷화, 일부 권패류의 임포섹스 등)는 이러한 내분비계 장애물질에 의하여 유발되고 있다고 하는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환경 중에서의 분포나 다양한 생물에의 영향에 관한 연구는 세계적으로도 아직 부족하고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실태나 그 메카니즘 및 그것이 가지는 의미에 대하여는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어 있지 않고 있어, 그것에 의한 생체영향의 평가를 총합적으로 검토하기까지에는 이르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물질에 관한 연구는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우리 나라에 있어서의 연구는 지금까지는 아직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내분비계 장애물질을 빠른 시기에 발견하여 그것들에 의한 영향을 평가하고, 그 영향을 미연에 방지하는 데에 필요한 대책을 강구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필요 불가결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환경호르몬 물질 중 본 연구실에서 수행한 내용을 중심으로 유해화학물질 오염 및 대책에 대하여 간단히 발표하고자 한다. 발표내용은, 남해안을 중심으로 조사한 유기주석화합물 오염, 광양만에서의 PAHs(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및 Bisphenol A 오염에 관한 연구결과와 이러한 유해화학물질 오염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하나의 유용한 방법으로서 위해성 평가에 대하여 실례를 중심으로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 PDF

Bee Venom Inhibits Prostate Cancer Growth in LNCaP Xenografts via Apoptosis (Bee venom의 세포자멸사를 통한 전립선 암세포의 성장 및 LNCaP의 이종이식에 미치는 영향)

  • Yang, Chang-Yeol;Song, Ho-Sueb
    • Journal of Pharmacopuncture
    • /
    • v.13 no.1
    • /
    • pp.15-35
    • /
    • 2010
  • 연구목적 : 이 연구는 봉약침의 봉독이 NF-${\kappa}B$ 활성억제와 안드로겐 수용체 조절 단백질 및 세포자멸사 조절 단백질의 발현을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전립선 암세포를 이식한 쥐에서의 세포자멸사 유도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봉약침의 봉독이 생체 내에서도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여 전립선암에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방법 : 세포자멸사의 관찰에는 DAPI,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 단백질의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EMSA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DAPI, TUNEL staining assay 결과 봉독 및 melittin을 처리한 LNCaP 세포 모두에서 세포자멸사 유도율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2. LNCaP 세포에 봉독이나 melittin을 처리한 결과, 안드로겐 수용체 조절 단백질 중 p-Akt, COX-2, calpain은 봉독과 melittin 모두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Akt는 melittin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봉독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MMP-9은 증가하였다. 3. 생체 내에서의 봉독의 항암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전립선암세포가 이식된 쥐에 봉독을 처리한 후 암세포의 부피와 무게, 쥐의 체중을 측정한 결과, 봉독을 처리한 군에서 암 세포 부피비율 및 무게는 감소하였고, 쥐의 체중은 증가하였다. 4. 전립선암세포가 이식된 쥐에 봉독을 처리한 결과, NF-${\kappa}B$ 활성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5. 전립선암세포가 이식된 쥐에 봉독을 처리한 결과, 세포자멸사 조절 단백질 중 Bax/Bcl-2, p53, caspase-3, caspase-9, calpain은 유의한 증가를, COX-2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MMP-9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봉독이 시험관 내에서 뿐만 아니라 생체 내에서도 NF-${\kappa}B$의 활성을 억제하고 안드로겐 수용체 조절 단백질 및 세포자멸사 조절 단백질의 조절을 통하여 인간 전립선암 세포주인 LNCaP의 세포자멸사를 유도함으로써 전립선암 세포 증식억제 효과 및 호르몬 비의존적인 전립선암으로의 전이를 지연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고, 봉독이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NIAL CHARACTERISTICS OF PSEUDOHYPOPARATHYROIDISM : CASE REPORT (가성부갑상선기능저하증 환아의 구강내 증상에 관한 증례보고)

  • Chang, Ji-Young;Lee, Jae-Ho;Choi, Byung-Jai;Lee, Jong-Gap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26 no.3
    • /
    • pp.486-491
    • /
    • 1999
  • Hypoparathyroidism has abnormally decreased secretion of parathyroid hormon which responds to the blood calcium level. Wherease, Pseudohypoparathyroidism has normal activity of thyroid hormon, but end-organs, such as urinary tract and osteoclast, do not respond to parathyroid hormon. The cause of this disease is due to the mutation of Guanine stimulating(Gs) protein regulating Gs gene, which is the receptor to this hormon. Pseudohypoparathyroidism is usually noted before 20 years old on average of 8-9 years old. The clinical features of this disease includes delayed growth and development, round face, obesity, soft tissue calcification, ectopic ossification, shortening of metacarpals and metatarsals by epiphyseal closure in advance of age. The mutation of Gs gene which are found in brain, endocrine organs, and chondrocytes is the cause of those features. Reaction to Glucagon, gonadal hormon, and thyroid stimulating hormon is not expected in both cases. The common dental manifestations include enamel hypoplasia, delayed eruption, agenesis of tooth, hypodontia, dysplastic short roots, widened pulpal space, microdontia, intrapulpal calcification, and malocclusion are also often reported. This case which is diagnosed to Pseudohypoparathyroidism showed short and under-developed root of permanent troth, delayed eruption, and non-eruption of premolars and molars. And morphogenesis imperfecta of first and second premolars were also found.

  • PDF

Metabolic Signaling by Adipose Tissue Hormones in Obesity (비만에서 adipose tissue 호르몬에 의한 metabolic signaling)

  • Younghoon Jang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3 no.3
    • /
    • pp.287-294
    • /
    • 2023
  • Healthy adipose tissue is critical for preventing obesity by maintaining metabolic homeostasis. Adipose tissue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ergy homeostasis through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Depending on nutritional status, adipose tissue expands to store lipids or can be consumed by lipolysis. The role of adipose tissue as an endocrine organ is emerging, and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re are various adipose tissue hormones that communicate with other organs and tissues through metabolic signaling. For example, leptin, a representative peptide hormone secreted from adipose tissues (adipokine), circulates and targets the central nervous system of the brain for appetite regression. Furthermore, adipocytes secrete inflammatory cytokines to target immune cells in adipose tissues. Not surprisingly, adipocytes can secrete fatty acid-derived hormones (lipokine) that bind to their specific receptors for paracrine and endocrine action. To understand organ crosstalk by adipose tissue hor- mones, specific metabolic signaling in adipocytes and other communicating cells should be defined. The dysfunction of metabolic signaling in adipocytes occurs in unhealthy adipose tissue in overweight and obese conditions. Therapy targeting novel adipose metabolic signaling could potentially lead to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anti-obesity drug. This review summarizes the latest updates on adipose tissue hormone and metabolic signaling in terms of obesity and metabolic diseases.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Human Breast Cancer Cells and Hepatoma Cells for the Effects of Xenobiotic Nuclear Receptors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Steroid and Xenobiotic Receptor, and Peroxisome-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 on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Estrogen Receptor (유방암 세포와 간암세포에 있어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전사조절기능에 대한 Xenobiotic 핵 수용체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Steroid and Xenobiotic Receptor, Peroxisome-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의 영향 비교분석)

  • 민계식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3 no.3
    • /
    • pp.314-32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xenobiotic nuclear receptors, CAR, SXR, and PPAR${\gamma}$ on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estrogen receptor in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and compare with those in human hepatoma cell line. Two different breast cancer cell lines, MCF-7 and MDA-MB-231 were cultured and effects of CAR, SXR, and PPAR${\gamma}$ on the ER-mediated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synthetic (4ERE)-tk-luciferase reporter gene were analyzed.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report, CAR significantly inhibited ER-mediated transactivation and SXR repressed modestly whereas the PPAR${\gamma}$ did not repress the ER-mediated transactivation. However, in breast cancer cells neither of the xenobiotic receptors repressed the ER-mediated transactivation. Instead, they tend to increase the transactivation depending on the cell type and xenobiotic nuclear receptors. In MCF-7, SXR but neither CAR nor PPAR${\gamma}$ slightly increased ER-mediated transactivation whereas in MDA-MB-231, CAR and PPAR${\gamma}$ but not SXR tend to increase the transactivation of the reporter ge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ffects of ER cross-talk by the CAR, SXR, and PPAR${\gamma}$ , are different in breast cancer cells from hepatoma cells. In conclusion, the transcriptional regulation by estrogen can involve different cross-talk interaction between estrogen receptor and xenobiotic nuclear receptors depending on the estrogen target cells.

Differential Expressions of Adhesion Receptor Genes in the Rat Uterus Associated with Ovarian Steroid Hormone (흰쥐 자궁에서 난소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의한 Adhesion 수용체 유전자 발현조절에 대한 연구)

  • Kang Han Seung;Lee Chae Kwan;Moon Deog Hwan;Kang Sung Goo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v.7 no.1
    • /
    • pp.41-48
    • /
    • 2003
  • This report aimed at investigating the differential gene expressions of the adhesion receptors between ovariectomized (OVX) and estrus stage rat uteri (OVX vs. estrus pair) using the cDNA expression away analysis. In addition, this report aimed at confirming of the differential gene expressions of the adhesion receptors between OVX and progesterone (P$_4$) injected OVX rat uteri (OVX vs. OVX+P$_4$ pair). RNA samples were extracted from the uterus and reverse-transcribed in the presence of [$\alpha$$^{32}$ P]-dATP. Membrane sets of Rat Atlas array 1.2 II (Clontech) were hybridized with CDNA probe sets. RT-PCR was employed to validate the relative gene expression patterns obtained by the cDNA array. The results were well consistent to cDNA array analysis data except the fold changes of gene expression. Among a total of 1176 cDNAs, 5 genes of adhesion receotor including embigin protein, activated leukocyte cell adhesion molecule, afadin, neuroligin 2, semaphorin Z showed significant (more than 2-fold) changes in the OVX vs. late estrus pair. All of these genes were up regulated in estrus stage than OVX rat uterus. In the OVX vs. OVX+P$_4$ pair, 4 genes including osteonectin, afadin, neuroligin 2, semaphorin Z showed significant changes. All of these genes were also up regulated in OVX+P$_4$ injected rat uterus than OVX control. Three genes including afadin, neuroligin 2, semaphorin Z which were up regulated in estrus and OVX+P$_4$ injected rat uteri of both experimental pairs than OVX rat uteri. These genes seem to be under the control of P$_4$.

  • PDF

Effects of dopamine on angiotensin II-induced stimulation of Na+ uptake in primary cultured rabbit renal proximal tubule cells (초대배양한 신장 근위세뇨관세포에서 ANG II의 Na+ uptake 촉진효과에 대한 dopamine의 효과)

  • Koh, Hyun-ju;Park, Soo-hyun;Han, Ho-jae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38 no.3
    • /
    • pp.518-524
    • /
    • 1998
  • 신장 근위세뇨관세포들은 사구체에서 여과된 물질의 재흡수, 분비 및 대사에 관여하는 여러 호르몬들의 수용체들을 가지고 있다. 이들중에서 dopamine(DA)과 angiotensin II(ANG II)가 $Na^{+}/H^{+}$ 상호운반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대배양한 토끼 신장 근위세뇨관세포의 $Na^+$ uptake에 있어서 DA과 ANG II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DA은 농도의존적으로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다($10^{-6}M$ ; $83.2{\pm}7.2%$, $10^{-3}M$ ; $67.2{\pm}3.8%$ vs. control)(p<0.05). $DA_1$ 작동제(SKF 38393, $10^{-6}M$)는 대조군의 $81.4{\pm}6.7%$ 까지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으나(p < 0.05) $DA_2$ 작동제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DA_1$ 길항제(SCH 23390, $10^{-6}M$)에 의해 DA의 $Na^+$ uptake 억제효과는 차단되었으나 $DA_2$ 길항제(spiperone, $10^{-6}M$)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DA과 대조적으로 $10^{-11}M$ ANG II는 $AT_1$ 수용체를 통하여 대조군의 $120.7{\pm}4.9%$까지 $Na^+$ uptake를 유의성 있게 촉진하였다. (p < 0.05). DA 및 $10^{-11}M$ ANG II를 병합처리하였을 때 DA은 농도의존적으로 ANG II에 유도된 $Na^+$ uptake 촉진효과를 유의성 있게 차단하였다(p<0.05). 한편 ANG II에 의해 유도된 $Na^+$ uptake촉진작용은 $DA_1$ 또는 $DA_2$ 작동제에 의해 차단되었으나 DA에 의한 차단 효과는 $DA_1$$DA_2$ 길항제를 병합처리하였을 때만 반전되었다. 결론적으로 DA은 $DA_1$ 수용체를 통하여 $Na^+$ uptake를 억제하였으나 ANG II에 의한 $Na^+$ uptake 촉진작용의 억제에는 $DA_1$$DA_2$ 수용체 모두가 관여하였다.

  • PDF

A Case of Congenital Partial Nephrogenic Diabetes Insipidus (선천성 부분 신성 요붕증 1례)

  • Mo, Eun Ha;Nam, In Hye;Chung, Min Ja;Yu, Jae H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5 no.7
    • /
    • pp.902-905
    • /
    • 2002
  • The most common form of genetic nephrogenic diabetes insipidus(NDI), a rare inherited disorder, is congenital and is transmitted in an X-linked recessive mode. It is refractory to the antidiuretic effect of normal to moderately increased levels of plasma arginine vasopressin(AVP) but, in some cases, may respond to high levels of the hormone or its analogue, deamino-D-arginine vasopressin(DDAVP). X-linked congenital NDI has now been linked to over 128 different mutations in diverse coding regions of the AVP receptor 2(AVPR2) gene. The functional effects of these mutations vary from complete loss of responsiveness to a simple shift to the right in the dose response curve. We report a case of congenital partial NDI, with transversion of A to G at codon 280 of the AVPR2 gene, resulting in a subsequent change of amino acid from tyrosine to cysteine, and that has been effective with hydrochlorothiazide and high dose of DDAVP.

Opposite Localization of Luteinizing Hormone Receptors and Galectin-3 in Mature Mouse Ovaries (성숙마우스의 난소에서 황체형성호르몬수용체와 galectin-3의 상반된 면역조직화학적 발현분포)

  • Kim, Ju-Hwan;Yang, Mi-Young;Kim, Sung-Ho;Kim, Jong-Choon;Kim, Seung-Joon;Joo, Hong-Gu;Shin, Tae-Kyun;Moon, Chang-Jong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2 no.5
    • /
    • pp.687-691
    • /
    • 2012
  •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localization of luteinizing hormone receptors (LHR) and galectin-3 (Gal-3), a beta-galactoside-binding animal lectin, in the mature mouse ovaries by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Intense LHR immunoreactivity was detected in the active corpus luteum (CL), whereas expression of Gal-3 was high in the regressing CL and atretic follicle. In the CL of pregnant mice, LHR immunoreactivity was intense, but Gal-3 expression was low. Thus, LHR and Gal-3 had opposite patterns of expression in mature mouse ovaries, suggesting that both proteins have stage-specific expression patterns and are possibly involved in CL formation and regression.

가축 성장촉진물질에 대한 약리학적 평가

  • 윤효인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27 no.8
    • /
    • pp.470-482
    • /
    • 1991
  • 가축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성장촉진물질이 사용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 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여러 제제의 효과와 작용기전 그리고 그 위해성에 대해 간단하게 검토를 하여 보았다. 항생물질은 여러 축종에 대한 성장촉진 목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제제이나 잔류독성 및 내성에 의한 공중위생상 위해성 때문에 안전한 대체성장촉진물질에 대한 요구는 계속 증대되고 있다. 광물질 첨가제, 효모제, 효소제, 유기산제제, 생균제, 흐르몬제 등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았으며 특히 최근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성장호르몬과 아드레날린성 베타 수용체 작용약에 대해 약리학적 평가를 시도하였다. 일찌기 스위스의 Paracelsus(1493$\~$1541)는 '모든 물질은 독물이며 다만 용량이 문제일뿐 독성이 없는 물질은 없다'라고 하였듯이 새로운 물질의 사용은 항상 그에 수반하는 부작용이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져 올바른 사용법을 확립하는데 최선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