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태 분류

Search Result 4,32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taxonomic study of the Ophezia(Gentianaceae) in Korea 1. External morphology and distribution (한국산 용담과 쓴풀속(Ophelia) 식물의 분류 1. 외부형태 및 분포)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2 no.4
    • /
    • pp.324-339
    • /
    • 1999
  • Morphological reinvestigation, external characters and discriminant functional analysis(44 qualitative characters) were examined on 6 taxa of Korean Ophelia, including 5 taxa distributed in south Korea, and one taxon considered to be the variation type of Ophelia wilfordi in order to clarify the limit of intersection and interspecies. And to establish the taxonomic position. One taxon distributed in north Korea was included in the description of species by observation of herbarium specimen of the University of Tokyo in Japan. The two sections were successfully distinguished by internal structure of ovary, morphology of nectary, number of corolla lobe and calyx lobe, and species were also distinguished by morphology of cauline leaf, and color and spot of corolla, respectively. The variation type of Ophelia wilfordi was not distinguished with other species except for absent or present of purple spot in corolla lobe. The results of the discriminal functional analysis indicated that characters of corolla were the most important qualitative characters to distinguish the Ophelia taxa, and morphology of seed and seed coat was useful characters to distinguish taxa higher than species. Therefore the difficult problems of identification of species were successfully solved, and the taxonomic position in intrageneric level was clarified on Korean Ophelia.

  • PDF

Comparative studies on the Hanabusaya asiatica and its allied groups 1. External morphology and anatomical characters (금강초롱꽃 (Hanabusaya asiatica)과 근연분류군의 비교연구 1. 외부형태 및 해부학적 형질)

  • 유기억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8 no.3
    • /
    • pp.223-235
    • /
    • 1995
  • Comparative studies on external morphology and anatomical characters were conducted understand the interspecific relationships and possibly to identify the position of Hanabusaya asiatica as an endemic genus among 4 genera and 9 species in H. asiatica and its allied groups. Suc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s root shape, leaf size, presence or absence of wings in petiole, corolla and calyx shape, and inflorescence and stigma shape were useful qualitative characters. The morphology of stem, peduncle, calyx lobe, leaf, petiole, and ovary were also good characters to be included in this identification study. In the anatomical observations in these organs, projecting degree of epidermis and number of projecting area rather than cross-sectioned internal structures were found to be valuable index for the classification among species. External morphology and anatomical characters support the position of H. asiatica as an endemic genus very well. Known as the most important external characters to taxonomists(Fedorov, 1957: Nakai, 1952: Hong, 1983), leaf arrangement, inflorescence, and corolla shape were also preven to be very useful characters to identify the genera and species in the H. asiatica and its allied groups.

  • PDF

Film Line Scratch Detection using Neural Network and Morphological Filter (신경망과 모폴로지 필터를 이용한 스크래치 검출)

  • Kim Kyung-Tai;Kim Eun-Y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277-27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스크래치 텍스처 및 형태특성을 이용하여 모든 종류의 스크래치를 자동으로 검출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텍스처 분류 단계와 형태 필터링 단계를 구성된다. 텍스처 분류단계에서는 스크래치의 텍스처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영상의 각 화소를 스크래치와 비스크래래치 영역으로 분류한다. 이때 분류기로 신경망을 사용한다. 형태필터링단계에서는 스크래치의 형태정보에 기반하여 설계된 원소구조를 사용하는 모폴로지 필터를 사용하여 잘못 분류된 스크래치 영역을 제거한다. 제안된 방법의 평가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스크래치를 가진 영화 및 애니메이션 데이터에 대해 실험이 이루어 졌고, 그 결과 제안된 방법의 강건함과 효율성이 입증되었다.

  • PDF

Analysis for River Network Classification based on Beta Distribution and Support Vector Machines (Beta Distribution 과 Support Vector Machines를 적용한 하천유역 분류 기법 개발)

  • Jung, Kichul;Shin, Ju-Yong;Um, Myoung-Jin;Park, Dae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11-411
    • /
    • 2019
  • 지형학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있는 하천유역은 지역적 조건에 따라 뚜렷한 특징을 나타낸다. 이러한 조건은 하천유역의 발달 및 수문학적 특징에 영향을 미친다. 금회 연구는 여러 가지 유역의 특징 중 유역을 대표할 만한 특징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유용한 하천 유역 분류 기법을 제시하였다. 하천유역의 여러 특징 중 지류교차각(Tributary Junction Angle)은 유역을 분석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었으며 다른 특징들과 함께 유역 구분을 위해 분석되어 왔다. 하지만, 지류교차각만 이용하여 유역 분류를 제시하는 기법은 연구되지 않았다. 하천유역 분류 기법 제시를 위해 수지형 유역, 평행형 유역, 부채형 유역, 직사각형 유역, 격자형 유역 등 5가지의 형태를 중심으로 50개의 하천유역을 사용하였고, 지류교차각의 Beta Distribution 모델을 적용하여 매개변수 추정치 산정 후 유역 분류를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변수 추정치는 각 유역 형태 구분을 위해 적용되었고, 이후 Support Vector Machines를 이용하여 하천유역 형태를 분류하도록 하였다. 분석을 통한 결과는 일반적인 통계기법과 다른 유역형태 구분 기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수지형, 평행형, 부채형 유역 형태들에 대하여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얻어지는 결과는 중요한 수문학적 정보 제공에 사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금회 연구를 통해 Beta 분포형의 매개변수 추정치는 하천유역 분류 적용에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하나의 주요 유역 인자로 유역 구분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로는 하천유역 분류를 통해 수문학적인 동질 유역을 구분하여 수문모델의 수행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수문모델 분석과 개발에 적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Synopsis of Family Mugilidae (Perciformes) from Korea (한국산 숭어과 어류의 분류)

  • LEE Chung-Lyul;JOO Dong-Soo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7 no.6
    • /
    • pp.814-824
    • /
    • 1994
  • The taxonomic revision of the family Mugilidae from Korea was made based on the fish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coasts of the Korea from July 1990 to July 1994. The family Mugilidae was classified into three species belonging to two genera: Mugil cephalus, Liza haematocheilus and Liza carinatus. Previousely Mugil japonicus reported as a species from Korea was confirmed into junior synonym of Mugil cephalus. based on the external and in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s. A new key to the genera and species of family Mugilidae was proposed and described their distribution in Korea.

  • PD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Plums (자두의 형태적 특성과 주성분 분석에 의한 품종군 분류)

  • Chung, Kyeong-Ho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17 no.1
    • /
    • pp.23-28
    • /
    • 1999
  • To examine taxonomic relationships among 53 plums derived from Prunus cerasifera, P. domestica, and P. salicin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cluster analysis on 27 morphological characters were conducted. Of 27 characters, leaf size, leaf shape, and leaf hair were useful characters for plum identification and understanding of taxonomic relationships among them. Leaf length, petiole length, number of leaf nectaries, leaf shape, leaf base, and date of full blooming showed the clear differences between P. salicina group and P. domestica group. Results of cluster analysis using scores of the first three principal components indicated that 53 plums could be grouped into P. salicina-P. cerasifera, P. domestica, and P. spinosa phenon at 1.0 of average distance in UPGMA. Although PCA was useful for rough classification of plums, much more characters were needed for the exact classification.

  • PDF

Taxonomic Study on Cirsium Miller (Asteraceae) in Korea Based on External Morphology (외부형태형질에 의한 한국산 엉겅튀속(Cirsium Miller)의 분류학적 연구)

  • Song, Mi-Jang;Kim, Hyu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7 no.1
    • /
    • pp.17-40
    • /
    • 2007
  • Patterns of morphological variation in Korean Cirsium were examined using numerical analysis, and the delimitation of taxa was evaluated.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of individuals of taxa using 61 morphological characters revealed the presence of two major groups. One group included C. lineare, C. vlassovianum, and C. setidens, the other contained C. pendulum, C. japonicum var. japonicum, C. japonicum var. spinosissimum, C. schantarense, C. nipponicum, and C. rhiniceros. Also,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recognized three sections, Onotrophe, Pseudo-eriolepis, and spanioptilon. Korean Cirsium was classified into three sections; C. japonicum var. japonicum, C. japonicum var. spinosissimum, C. schantarense, C. rhiniceros and C. nipponicum were belonged to sect. Onotrophe, C. setidens, C. vlassovianum and C. lineare were belonged to sect. Spanioptilon, and C. pendulum was belonged to sect. Pseudo-eriolepis. In conclusion, Korean Cirsium was classified into three sections, eight species, three varieties, and five forms.

A taxonomic study of the external morphology of the Korean Oldenlandia L. (Rubiaceae) (외부형태 형질에 의한 한국산 백운풀속(Oldenlandia L.)의 분류학적 연구)

  • Nam, Bo Mi;Jang, Yong Seok;Park, Myung Soon;Eom, Jeong Ae;Chung, Gyu Young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0 no.3
    • /
    • pp.145-152
    • /
    • 2010
  • The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Korean Oldenlandia were reviewed, and numerical analysis of 25 quantitative character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delimitation of the taxa. Among the qualitative characters, the leaf shape, inflorescence, pilose of insde corolla, expansion of capsule apex, and seed shape were used to delimit 5 species of Korean Oldenlandia. As the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quantitative characters, O. corymbosa, O. hirsuta and O. strigulosa were evidently separated on a two-dimensional plot by PC1 and PC2, and O. brachypoda and O. diffusa slightly overlapped. However, O. brachypoda was distinctly delimited from O. diffusa by the shape of calyx lobe, the lengths of pedicel, filament and stigma. Also each of those two species was in a group of its own by cluster analysis.

HUDF 은하의 형태와 진화

  • Kim, Chang-Yun;Choe, Seok-Hyeon;Jo, Wan-Jin;Han, San;An, Hong-Bae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1
    • /
    • pp.45.1-45.1
    • /
    • 2012
  • 은하의 형태학적 진화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허블 울트라 딥 필드 (Hubble Ultra Deep Field; HUDF)에 있는 밝은 은하를 조사하였다. Coe et al. (2006)의 HUDF 카탈로그에 포함된 적색편이, 적경, 적위, 밝기 등급, 픽셀 면적 값을 사용하여 HUDF은하의 B필터 영상에서 밝은 순서로 1000개의 천체를 선택하고 이로부터 939개의 은하의 육안 분류를 수행하였다. Elmegreen et al. (2005)의 분류 방법에 기초하여 타원 은하, 렌즈 은하, 나선 은하, 올챙이 은하(Tadpole), 이중 은하(Double), 사슬 은하(Chain), 덩어리 은하(Clump cluster)와 그 외의 불규칙 은하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된 은하의 분류형과 은하의 적색이동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여 HUDF 은하의 적색편이에 따른 형태학적 진화 양상을 찾아낼 수 있었다. 올챙이 은하, 이중 은하, 사슬형 은하, 덩어리 은하 등 병합 단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은하들은 적색편이가 작을수록 그 수가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나선은하들은 적색편이가 작을수록 그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적색편이와 은하 크기 사이의 관계를 보았을 때 낮은 적색 편이에서 나타나는 상대적으로 큰 은하들이 대부분 나선 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은하 생성의 Bottom-Up 가설로 설명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은하 형태의 정량적 분석을 위해 각 은하의 CAS와 함께 M20, Gini Coefficient(G)를 구하여 이들과 육안 분류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CASGM20, 으로부터 은하의 분류 형을 찾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 PDF

Learning Bayesian Networks for Text Documents Classification (텍스트 문서 분류를 위한 베이지안망 학습)

  • 황규백;장병탁;김영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262-264
    • /
    • 2000
  • 텍스트 문서 분류는 텍스트 형태로 주어진 문서를 종류별로 구분하는 작업으로 웹페이지 검색, 뉴스 그룹 검색, 메일 필터링 등이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기반 작업이다. 지금까지 문서를 분류하는데는 k-NN, 신경망 등 여러 가지 기계학습 기법이 이용되어 왔다. 이 논문에서는 베이지안망을 이용해서 텍스트 문서 분류를 행한다. 베이지안망은 다수의 변수들간의 확률적 관계를 표현하는 그래프 모델로 DAG 형태인 망 구조와 각 노드에 연관된 지역확률분포로 구성된다. 그래프 모델을 사용할 경우 학습에 이용되는 각 속성들간의 관계를 사람이 알아보기 쉬운 형태로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험 데이터로는 Reuters-21578 문서분류데이터를 이용했으며 베이안망의 성능은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와 비슷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