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태 변이

Search Result 2,186,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Quantitative estimation method for morphologic analysis of transitional lung cancer (폐암 변이 형태분석을 위한 정량적 평가방법)

  • 최현주;이병일;황해길;최흥국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33-13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폐암의 변이 형태 분석을 위한 정량적 분석 방법을 연구하였다. 보다 객관적인 분석의 필수적 요인인 정확한 분할을 이해 질감 특징과 통계학적 분류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변이 형태 분석을 위해서 분할된 ROI 로부터 여러 가지 형태학적 특성값과 질감 특성값을 추출하여 변이 형태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폐암의 변이 형태 분석을 위한 방법은 다른 기관으로의 원격전이가 쉬운 종양의 특성평가에 대한 객관적 병리진단의 보조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Studies on the Intraspecific Variations on Geological Distributions of Acusta despecta sieboldiana in Korea (한국산 달팽이 ( Acusta despecta sieboldiana) 의 지리적 분포에 따른 종내 변이에 관한 연구)

  • 이준상;권오길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2 no.1
    • /
    • pp.19-31
    • /
    • 1996
  • 국내 11개 지역(경기도 옹진군 덕적도, 경기도 의정부시 소요산, 강원도 춘천시, 충청남도 태안군 안홍,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도,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 흑산도 비금도, 진도, 제주도)에서 채집된 달팽이 (A. despecta sieboleiana)를 대상으로 외부형태 분석과 동위효소를 검출하여 각 지역 집단간의 형태적, 유전적 유연관계와 변이 정도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부형태에 의한 집단간 유연관계는 안홍과 덕적도집단(average taxonomic distance, D=0.358)이 형태적으로 가장 유사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Polyacrylamide gel을 사용하여 11가지의 동위효소를 검출한 결과 AKP, ACP, AO, EST, GPD, HBDH, LDH, SDH, XDH의 동위효소에서 유전적 다형현상이 나타났다. 전 집단의 평균 다형형의 빈도는 59.19%이며 이형접합자 빈도는 0.263이고 각 집단의 유전적 차이치는 춘천과 울릉도 집단이 0.066(genetic distance)으로 가장 높은 유사성을 보였다. 지리적 분포에 따른 외부형태 변이와 유전적 변이와의 관계는 유의성이 없었다.

  • PDF

Image feature extraction for analysis of transitional lung cancer (폐암 변이 분석을 위한 영상 특성 추출)

  • 황해길;최현주;이병일;최흥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473-475
    • /
    • 2000
  • 폐암의 변이 형태는 크게 침륜형과 팽창형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팽창형은 암의 크기가 크고 성장속도는 느린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침륜형은 암의 크기가 작고 성장 속도는 빠르며 괴사 부분이 많고 경계선이 불규칙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병리 전문가의 이와 같은 시각적인 진단요소를 폐암 변이 분석을 위한 영상의 특성으로 추출하여, 형태학적 특성과 절감특성으로 분석한 후 의료 영상에 대한 진단을 전문가의 진단 견해와 비교해 보았다. 의료 영상에 대한 진단은 영상의 특성과 함께 전문가의 진단 기준에 대한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는 특성에 의한 것이어야 할 것이다.

  • PDF

Convergence analysis of cusp variation symmetry of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s using 3-dimensional virtual models -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in Jeollabuk-do (3차원 가상모형을 이용한 하악 제2소구치 교두 변이 대칭성에 대한 융복합적 분석 - 전북지역 일부 대학생을 중심으로)

  • Nam, Shin-E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2
    • /
    • pp.317-323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qualitative analyze the cusp variation pattern of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s us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models, and to analyze the left-right bilateral symmetry with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tooth surface area according to the cusp variation. 127 virtual mandibular second premolars were prepared and individual absolute/relative cusp area, total crown area and groove form were analyzed using RapidForm2004(INUS technology INC, Seoul, Korea). Independent t-test, Kruskal-Wallis test and chi-square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 groove form showed high bilateral symmetry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Based on the left side of groove form, the bilateral symmetry was 100.0% for the U pattern, and 73.7% for the H patterned, and 78.9% for the Y pattern(p<.001). The finding could be as a meaningful reference for manufacturing CAD/CAM dental prostheses, and it is expected that further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more samples including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 immediately after eruption.

Automatic Prediction of 'Anti-Search Variants' of Twitter based on Word Embeddings and Phonetic Similarity (단어 임베딩과 음성적 유사도를 이용한 트위터 '서치 방지 단어'의 자동 예측)

  • Lee, Sangah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190-193
    • /
    • 2017
  • '서치 방지 단어'는 SNS 상에서 사용자들이 작성한 문서의 검색 및 수집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변이형을 뜻한다. 하나의 검색 키워드가 있다면 그와 같은 대상을 나타내는 변이형이 여러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변이형에 대한 검색 결과를 함께 수집할 수 있다면 데이터 확보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다양한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단어가 주어진 키워드로부터 의미 벡터 상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주어진 키워드와 비슷한 음성적 형태 즉 발음을 가질수록, 해당 키워드의 변이형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에 따라 단어 임베딩을 이용한 의미 유사도와 최소 편집 거리를 응용한 음성적 유사도를 이용하여 주어진 검색 키워드와 유사한 변이형들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구성된 변이형 후보의 목록에는 다양한 형태의 단어들이 포함되었으며, 이들 중 다수가 실제 SNS 상에서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Automatic Prediction of 'Anti-Search Variants' of Twitter based on Word Embeddings and Phonetic Similarity (단어 임베딩과 음성적 유사도를 이용한 트위터 '서치 방지 단어'의 자동 예측)

  • Lee, Sangah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190-193
    • /
    • 2017
  • '서치 방지 단어'는 SNS 상에서 사용자들이 작성한 문서의 검색 및 수집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변이형을 뜻한다. 하나의 검색 키워드가 있다면 그와 같은 대상을 나타내는 변이형이 여러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변이형에 대한 검색 결과를 함께 수집할 수 있다면 데이터 확보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다양한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단어가 주어진 키워드로부터 의미 벡터 상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주어진 키워드와 비슷한 음성적 형태 즉 발음을 가질수록, 해당 키워드의 변이형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에 따라 단어 임베딩을 이용한 의미 유사도와 최소 편집 거리를 응용한 음성적 유사도를 이용하여 주어진 검색 키워드와 유사한 변이형들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구성된 변이형 후보의 목록에는 다양한 형태의 단어들이 포함되었으며, 이들 중 다수가 실제 SNS 상에서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of the Lisianthus (Eustoma grandiflorum Shinn.) Variants Obtained during Tissue Culture (꽃도라지(Eustoma grandiflorum Shinn.) 조직배양시 발생한 변이체의 RAPD 분석)

  • Cheong, Chang Ho;Yu, Kee Won;Paek, Kee Yoeup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17 no.3
    • /
    • pp.352-354
    • /
    • 1999
  • Randomly and specifically amplified polymorphic DNA band patterns based on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alysis were used to assess genetic variation of somaclonal variants obtained from tissue culture of lisianthus (Eustoma grandiflorum). Five different types of variant were classified by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leaflet number, leaf shape, caulicle length, plant height, and leaf area. Five primers out of 20 primers (10 mer) resulted in 34 random amplified DNA fragments with polymorphisms (64.7%) in all tested plants. The dissimilarity coefficient was from 0.71 to 0.91 by UPGMA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presence of polymorphic bands, normal plant and five somaclonal vari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t the similarity coefficient value of 0.79.

  • PDF

Systematic Study on the Fishes of the Family cobitidae (Pisces, Cypriniformes) I. Geographic Variation of Nemacheilus toni, Lefua costata, and Niwaella multifasciata (기름종개과(Family Cobitidae) 어류의 계통분류에 관한 연구 1. 종개, 쌀미꾸리 및 수수미꾸리의 지리적 변이)

  • 양서영;이혜영양홍준김재흡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4 no.1
    • /
    • pp.110-122
    • /
    • 1991
  • 기름종개과의 N. toni, L. costota, N. multifasciata 3종에 대한 형태분석, 핵형분석 및 전기영동법에 의한 유전자 분석을 실시 각 종의 지리적 변이 및 계통적 유연관계를 조사하였다. 형태 측정치에 대한 discriminant 분석결과 연 yoni 월악산집단, 1. costoto 거제도집단 그리고 환multifasc지물 산철집단이 같은 종내 타 집단들과 형태상 완전히 분리 되어졌다. 핵형분석에서 N. muftifosciota와 1. costoto는 2n: 50으로 염색체수는 조사된 전 집단이 변리없이 동일하였다. N to티 삼척과 진부집단은 2n: 50으로 동일하였으나 고성집단은 2n=50, In : 48인 염색체상이 한개체에서 동시에 발견되었고, 인형성부위의 위치 및 형태가 타 집단과 차이가 있었다.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총 28개의 유전자를 검출, 분석하였다. 3종중 N. multifosciata 청도집단의 유전적 변이 (HDi 123, HG : .160)가 가장 높았고, N. toni 고성집단이 가장 적었다. ( HD= .017, HG= .015). N. yoni 고성집단과 강릉집단은 각 집단의 고유한 genetic marker를 다수 갖고 있으며 타집단들과 유전적 근연관계도 매우 먼 것으로 나타나 각기 독립된 별종으로 추정된다.

  • PDF

Variation of the Axillary Arch in Korean Cadaver (한국인 시신에서 랑거겨드랑활의 변이)

  • Jeong, Hyun-Seok;Jo, Seong-Woo;Lee, Jae-Ho
    • Anatomy & Biological Anthropology
    • /
    • v.31 no.4
    • /
    • pp.167-170
    • /
    • 2018
  • Axillary arch is relatively common variation of muscle in the axilla. There were several attentions on axillary arch due to its anatomical and surgical importance. During educational dissection, a variant muscle was found in right arm of 68-year-old female cadaver. The variation of muscle originated from the lateral edge of the latissimus dorsi muscle as muscular form. And then, it crossed the axillary artery and median nerve as tendinous form. Finally it became wide as muscular form and inserted into the pectoralis major. We reported this variant muscle and discussed its clinical significances.

Morphometric Analysis of Wing Variation of Lantern Fly, Lycorma delicatula from Northeast Asia (동북아시아 꽃매미 날개 변이의 형태계측학 분석)

  • Kim, Hyojoong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2 no.4
    • /
    • pp.265-271
    • /
    • 2013
  • Morphometric analysis of Lycorma delicatula was performed to confirm whether local individuals had a geographical difference in their wing variations. The L. delicatula individuals were collected from 10 localities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14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selected from the forewing were analyzed. The Korean individuals were similar to the ones from the northern area of the Yangtze River, but less similar to the others from the southern area of the Yangtze River. The individuals from Seoul and Buan were very similar to those from Shanghai. In case of wing spots, the individuals from Beijing had relatively small spots, while the ones from Linan had big spots. The Japanese individuals had a relatively large wing s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