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태중심교수

Search Result 170,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The Effects of Focus-on-Form Instruction on L2 Learners' Grammatical Achievement: Focusing on the Deductive and Inductive FFI (형태 초점 교수법이 제2 언어학습자의 문법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을 중심으로)

  • Hwang, Hee-Je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9
    • /
    • pp.307-316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deductive FFI and inductive FFI in L2 learners' grammatical achievement and their reaction to the grammar instruction. 84 students were placed into three groups: 29 given deductive FFI(DG), 28 receiving inductive FFI(IG), and 27 with traditional instruction(CG). All students completed pre/post tests and questionnaires, and took a delayed post test 9 weeks after the treatment. For statistical anlayses of all the quantitative data, a one-way ANOVA, paired samples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perform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deductive and inductive FFI affected learners' grammatical achievement and their achievement was sustained over time. Deductive FFI was more effective than inductive FFI, whereas the IG students more positively changed their attitudes and perceptions to the grammar instruction. These findings of the study imply that FFI should be valued in an Korean EFL classroom, which would contribute to further longitudinal research for its sustainability.

A Development of Distance Training System for teachers using synchronous lecture authoring tool for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동기적 강의 저작 도구를 활용한 교수법 향상 중심의 교원 원격 연수 시스템)

  • 구정모;박종오;임진숙;김성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677-680
    • /
    • 2002
  • 요즘 원격 교육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교사 연수에 있어서도 기존 출석 연수와 병행하여 원격연수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원격 연수의 상당 부분은 실제 현장 교사들이 원하고 교사 연수의 핵심인 교수법 향상에 대한 것보다는 교과에 대한 지식이나 기능위주로 시행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교사 연수의 궁극적인 목적인 교수법 향상을 위해서는 연수생들이 경험이 풍부하고 교수법이 뛰어난 교사가 실제 수업하는 것을 보고 동료 교사들끼리 서로 충분히 토의를 거치고 배우는 형태의 연수가 유용할 것이다. 그러나 시간, 인원, 경비 등의 문제로 실제 그렇게 하기 어려우므로, 교수-학습 지도안과 동기화된 동영상 중심으로 이루어진 원격 연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기화 동영상 저작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원격 연수 시스템을 구축해서 교사들의 교수법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 PDF

컴퓨터 매체를 이용한 논리 교수법에 관한 연구 - 이질적 추론을 중심으로 -

  • Kim, Yeong-Jeong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5 no.1
    • /
    • pp.1-26
    • /
    • 2001
  • 컴퓨터라는 새로운 매체의 도입의 이점이 컴퓨터 매체의 제반 특성들을 잘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데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새로운 컴퓨터 매체의 도입은 논리학의 여러 중심 개념들 자체에 대한 이해의 심도를 증진시킴으로써 논리학을 새로운 영역으로 확대시켜 주기도 한다. 그 새로운 영역은 그림과 같은 비언어적 표상을 핵심적으로 포함한 추론, 즉 문자와 그림을 동시에 포함하는 이질적인 추론(heterogeneous reasoning)을 허용하는 영역이다. 논리학은, 정보가 어떻게 표상되든 상관없이, 정보 추출의 타당한 형태들에 관한 연구이다. 전통적으로 논리학자들은 정보 추출의 타당한 형태들의 매우 작은 부분(즉, 언어적 표상)에만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컴퓨터 매체의 활용과 더불어 이제 논리학은 시각적 표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표상들을 어떻게 사람들이 사용하는지 파악해야 한다. 이러한 과업의 성취를 위해, 구문론, 의미론, 논리적 귀결, 증명, 반례 등의 전통적 개념을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표상들을 수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확장하고 풍부하게 만들어야 한다. 그림 표상과 문자 표상을 함께 사용하는 추론 체계인 Hyperproof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확장된 논리 이론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LE Component for Teacher Supporting througt CBO Process (CBD 프로세스를 통한 교수지원 LE 컴포넌트의 구현)

  • 김행곤;신호준;길준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604-606
    • /
    • 2001
  • 현대사회가 정보화 되어감에 따라 교육분야에서 컴퓨터의 가치는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발맞추어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 기술과 구현 기술은 저작도구를 중심으로 발견하고 있다. 또한 기술공학의 발전으로 교육기회의 확대와 교육방식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되고 있으며 새로운 형태의 학습을 가능케 하고 있다. 이러한 수세에 따라 상호 작용성이 보다 강화된 원격통신 기술에 기초한 새로운 WBI의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WBI의 기능을 통해 일률적인 WBI(Web Based Instruction)의 컨텐츠 속에서 자신의 수준에 적절하지 않는 수업을 받았던 학습자에게 수준별 학습을 통해 교수과정과 학습과정에 최대한 도움을 주고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한다.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와 라이브러리를 통해 쉽고 빠른 웹 개발지원이 가능한 JSP를 사용하여 운영체제에 독립적인 설계를 하며, 이를 통해 개발자의 편의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교사와 학생의 빠른 상호 작용성을 기대하며, 교수지원 학습평가(LE Loarning Evaluation) 컴포넌트를 통해 수업의 패러다임이나 교수방법을 수정해야 함을 교수에게 가시적으로 제시한다. WBI 도메인에서 교수지원을 위한 부분의 피드백과 재사용의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개발과 비용 면에서의 높은 효율성을 보장하고, WBI 수업모형의 표준화를 기대한다. 이를 통해 교수가 가지는 교수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 PDF

The Effectiveness of Explicit Form-Focused Instruction in Teaching the Schwa /ə/ (영어 약모음 /ə/ 교수에 있어서 명시적 Form-Focused Instruction의 효과 연구)

  • Lee, Yun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8
    • /
    • pp.101-113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effective explicit form-focused instruction (FFI) is in teaching the schwa vowel /ə/ to EFL students in a classroom setting. The participants were 25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n=13) and the control group (n=12). One female American also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a speech sample as a reference. The treatment, which involves shadowing model pronunciation by the researcher and a free text-to-speech software and the researcher's feedback in a private session,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over a month and a half. The speech samples, for which the participants read the 14 polysyllabic stimulus words followed by the sentences containing the word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e paired-samples t test and non-parametric Wilcoxon signed-rank test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post-test reduced the duration of the schwa by around 40 percent compared to the pre-test. However, little effect was found in approximating the participants' distribution patterns of /ə/ measured by the F1/F2 formant frequencies to the reference point, which was 539 Hz (F1) by 1797 Hz (F2).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xplicit FFI with multiple repetitions and corrective feedback is partly effective in teaching pronunciation.

발생론적 인식론을 적용한 수학 수업 - 두 자리 수의 곱셈을 중심으로

  • Kim, Jin-H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1-14
    • /
    • 2005
  • Piaget는 인류가 지식을 구성해 온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어린이들도 자신들이 학습해야 할 지식을 학습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Kamii는 이 가정을 확인하고자 하는 열망으로 실험교수법을 이용한 수학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고에서는 Kamii가 얻은 결과 중 곱셈에 대한 결과를 발생론적 인식론 입장에서 논의가 이루어 질 것이다. 이 논의는 어린이들이 구성해 가는 지식이 선대인들이 사용하던 지식과 유사하다는 점과 어린이들이 구성해 가는 지식이 완성된 지식의 형태를 갖출 수 있다는 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그 결과로부터 전통적인 수학 교수법에 변화가 있어야 함을 발생론적 인식론을 적용한 수학 수업의 특징과 비교하면서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web-book based on Event-Oriented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사태중심 교수설계 전략에 따른 web-book 개발)

  • 심연숙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791-794
    • /
    • 2003
  • 21세기 정보화 사회가 요구하는 새로운 인재의 모습은 시대의 변화에 맞게 달라지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방향의 변화에 맞는 교육은 e-Learning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e-Learning 의 근간이 되는 교수법과 이에 따른 web-book 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web-book은 웹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이라는 점에서 e-Learning 에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학습 정보를 전달하고 교수자와 학습자 상호간에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e-Learning 의 한 형태라 할 수 있겠다.

  • PDF

A Study on Web 2.0 in Educational Methods - Focusing on Widget - (웹 2.0의 교육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위젯을 중심으로)

  • Cho, Kwon-Hyoung;Kim, Soo-Hwan;Han, Seon-K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235-240
    • /
    • 2009
  • 웹 2.0을 적용한 블로그, 위젯, RSS 등의 여러 가지 기술들의 발전은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교육에 필요한 다양한 툴을 제공해 주고 있다. 현재의 초등학교 교육은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고 그것을 학습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한 교수.학습과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교육은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가 참여하는 형태로 발전하게 될 것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이러한 상호작용에만 국한될 경우 학습자들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핵심지식에 대한 교육이 소홀해 질 수 있다. 따라서, 교수자와 학습자가 원활한 상호작용을 이루어 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학습 환경이 필요함과 동시에, 핵심지식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툴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웹 2.0의 여러 가지 기술들을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가 원활한 상호작용을 이룰 수 있는 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핵심지식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용 위젯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용 위젯을 활용한다면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통한 교육에서 다루지 못하는 부분의 핵심지식 교육을 보충함으로써 학습자들의 핵심지식의 습득 및 학습효과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 PDF

A Web-based Monitoring System of Class Status (웹기반 학업상태모니터링시스템의 구현)

  • Hur Tae-Won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8 no.4
    • /
    • pp.5-19
    • /
    • 2005
  • Computer based teaming system has considerable influence upon teaching technique and teaming efficiency. It is possible to make a learner-oriented teaching in the online learning system. In this case, it can provide easily and immediately learner with various information that relate to class status, for example, attendance, examination score and so on. In the case of conventional off-line education, however, it is inefficient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class status for learners compared with on-line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nitoring system of class status which can provide various information of teaming status for learners, instructors and advisors. It is useful to advise student's course work and job. The main purpose of this system is to prepare a monitoring system of class status on a web based e-class system. It achieves self-monitoring systems which provide a feedback data as a result of class for students.

An Analysis of No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나타난 초임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 분석)

  • Kim, Yu-Kyung;Pang, Je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5 no.1
    • /
    • pp.27-51
    • /
    • 2012
  • This paper analyzed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resented in three novice teachers' mathematics instruction. PCK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knowledge of mathematics content, the knowledge of students' understanding, and the knowledge of teaching methods. Teacher A executed a concept-oriented instruction with manipulative materials because she had difficulties in learning mathematics during her childhood. Teacher B attempted to implement an inquiry-centered instruction in the lesson of looking for the area of a trapezoid. Teacher C focused on the real-life connection to mathematics instruction. There were substantial differences among the teachers' PCK revealed in mathematics teaching, depending on their instructional goals. The detailed analyses of three teachers' teaching in terms of their PCK will give rise to the issues and suggestion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begin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mathematics teach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