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태적 유기성

Search Result 50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Organic Devices;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 Applications

  • Gu, Bon-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36-36
    • /
    • 2010
  • 유기 반도체는 합성 방법의 다양함, 섬유나 필름 형태로 성형이 용이함, 경량성, 유연성, 전도성, 저렴한 생산비, 높은 생산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무기물과 같이 벌크 성질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자 자체가 기능성을 가지므로 초박막의 형태에서도 기능성이 유지되어 새로운 초박막 기능성 전자소자 및 광소자의 개발이 가능하다. 특히 플라스틱과 같이 유연한 기판에 박막을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고체 반도체로써 실현할 수 없는 두루마리 TV와 같은 flexible application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표에서는 유기반도체를 사용하는 유기소자 중 유기박막트랜지스터(Organic Thin Film Transistor; OTFT)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동향과 동작원리 및 소자구조와 성능과의 관련성, 그리고 성능 개선을 위하여 시도되고 있는 여러 가지 공정 및 표면처리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연구실에서 수행하고 있는 OTFT 관련 연구현황을 소개하고 OTFT의 발전방향을 예측해 본다.

  • PDF

Induction of Twin Pregnancy Using Frozen-Thawed Embroy Transfer in Cattle (동결 우수정란의 융해후 쌍태유기)

  • 김정익;고과두;이상영;정희태;양부근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3 no.1
    • /
    • pp.43-47
    • /
    • 1988
  • 공란우 89두와 수라우 94두를 사용하여 호르몬 투여에 대한 난소반응, glycerol의 평형과 제거방법에 따른 융해란자의 형태적 정상성과 동결 융해란의 이식후 임신율과 쌍태유기율을 조사하였다. 1. 호르몬처리에 대한 난소반응 :1) 과배란 처리후 배란된 난자수는 A.B.C군에서 각각 8.3, 7.8, 9.5개로서 C군이 전체 평균의 8.3개보다 증가되었다. 2) 난자의 회수율은 42.1%, 두당회수된 난자수는 3.5개였으며, 회수란자중 정상발육한 상실배와 배반포기의 난자는 63.3%, 36.7%(114/311)가 형태적 이상란자로 확인되었다. 2. 수정란의 동결 융해후 형태적 정상성 :1) 동결융해후 회수된 난자중 정상 난자의 비율은 60.4%였으며, 배반포(62.3%)가 상실배(58.3) 보다 우수하였다. 2) 1단계 glycerol의 제거시에는 동결전 glycerol의 평형을 3단계로 실시한 군(C.G)이 1단계 평형군 (A.E)보다 우수하였다. 3. 동결융해란의 이식후 쌍태유기 :1) 수정란의 이식후 임신율은 단태(대조)구에서 30.0%, 쌍태유기군인 A(AI+단태), B(편각쌍태) 및 C(쌍각쌍태)구에서 각각 55.6, 44.4, 37.5%로서 대조구보다 증가되었다. 2) 쌍태유기에 공용된 26두의 수란우에 착상된 수정란수는 17(65.4%)개로서 딘태구(30.0%) 보다 배가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tradition of Organic Medievalism expressed in Modern Architecture (모더니즘 건축에 나타난 유기적 중세주의 전통에 관한 연구)

  • 박수진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no.29
    • /
    • pp.67-76
    • /
    • 2001
  • This Study is about the tradition of Organic Medievalism expressed in Modern Architecture. The concept of Medievalism is an attitude to revive the social and physical settings on the Middle Ages. The Organic Medievalism in Modern Architecture was to be explained as the two tendencies; one was toward the rational structural logic of the medieval architecture being re-interpreted into the Modern Architecture and the other was toward the organic and fantastic shape of the Modern Architecture, closely connected with nature-friendly and organic shape of medieval city and buildings. The structural logic of the medieval architecture became systematized by the French architects, Viollet-le-Duc and Auguste Choisy. The principle has been applied to the design of the Art Nouveau, Louis Kahn and so-called the High-Tech Architecture creating the aesthetics of its own by exposing the building structure. The other was used as the elements to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Nouveau architects, and then served as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the avant-garde architecture of Germany. The ideal has been serving as the great idealistic fundamentals by the so-called Archigram and Deconstruction at the late half of the 20th century.

  • PDF

Morphology and Barrier Properties of HDPE/Nylon Blend (HDPE/Nylon 블렌드의 모폴로지와 투과 특성)

  • 김두호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5 no.2
    • /
    • pp.125-135
    • /
    • 1993
  •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lene, HDPE)내에 차단성 수지인 나일론 (Nylon)이 분산된 블렌드의 모폴로지와 유기 용제에 대한 차단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나일 론이 구형, 실린더 및 판상 구조 형태를 가지며 분산된 블렌드를 가공조건을 변화시켜 제조 하였다. 블렌드의 모폴로지가 유기 용제의 차단성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투과시 험을 하였으며 수치 모사를 통하여 투과도를 이론적으로 예측해 보았다. 동일한 나일론양에 서 분산상인 나일론이 구형 또는 실린더 형태를 갖는 경우 투과액에 대해 낮은 차단성을 보 이는데 반하여 판상구조를 갖게되는 경우에는 차단성이 크게 상승함을 관찰할수 있었다. 이 는 판상구조형태를 취함으로써 블렌드내에서의 투과액의 투과경로가 길어졌기 때문이다. 나 일론 층의 여러기하학적인 형태변화에 대해 GRM관계식 및 이를 수정한 식을 이용하여 투 과도를 예측하여 보았다. 나일론층의 중첩도가 높다고 가정한 경우가 중첩도를 낮게 생각한 경우에 비해 높은 차단성을 보임을 수정된 GRM 관계식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또한 나일 론 층의 폭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두께가 감소할수록 높은 차단효과를 보임을 예측 할 수 있 었다.

  • PDF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ease of Chemical Oxygen Demand in Organic Filter Media (유기성 여재로부터 화학적 산소요구량 물질의 방출에 관한 연구)

  • Guerra, Heidi B.;Kim, Youngchu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2 no.3
    • /
    • pp.171-177
    • /
    • 2020
  • To improve the nitrogen reduction capability of stormwater treatment systems subjected to intermittent saturation, organic materials are often added as filter media. However, these materials can be an additional source of organic carbon and increase the chemical oxygen demand (COD) in the outflow. In this study, different types of organic filter media were subjected to a batch leaching test to observe and quantify the release of COD. Results reveal that the initial pH of the tap water used for soaking which is 7.5-7.7 is conducive to the release of organics from the media to the leachate. The highest amount of COD released was observed in yard clippings and woodchip followed by compost and bark mulch. The leaching of organics also increased as the size of the media decreases due to higher surface area per volume. In addition, empirical regression analysis predicted that COD from these organic media will be exhausted from the material in 3-5 months to up to 26 months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guide in estimating the potential release of COD in organic media in order to ensure their safe application in stormwater treatment facilities.

유기성 폐기물 퇴비화의 미생물 생태학적 분석

  • 정영륜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8 no.3
    • /
    • pp.10-22
    • /
    • 1992
  • 퇴비화는 유기물이 생물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면서 보다 안정화된 형태로 변형되어 가는 과정으로 여러가지 환경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유기물의 퇴비화 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토양 생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측면으로 분석하여 퇴비화 공정설계에 있어 분해원리의 이해에 도움을 주고자 하며, 퇴비화 후 최종적인 사용, 즉 농업적 이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 PDF

Fertility Prolongation of the Solid Typed Organic Fertilizer from Cattle Manure (축분 유기질비료의 고형화에 의한 비효 연장)

  • Joo Young-Kyoo;Jung Yeong-Sang;Lee Sang-Kook;Kim Eun-Kyu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18 no.2
    • /
    • pp.71-76
    • /
    • 2004
  • Solid typed organic fertilizer from cattle manure may Increase plant root growth with the residual effect on soil fertility if it was applied directly into root system. It may also increase labour efficiency by simplifying the work process of manure application to soil.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May to October 1999 to study the fertility prolongation effects of bar typed organic fertilizer from poultry manure by analysing plant growth model compare with those of the chemical fertilizer or powder typed manu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ar typed organic fertilizer increased growth rates of shoot and root system with extending the effect of its fertility by slow releasing on pepper plant. Especially, solidifying organic manure into the bar type made possible the application of cattle manure under plastic mulching. And it also has benefits on simplifying the application process of the fertilization and effect on an extending soil fertility.

나노크기의 폭을 가진 우물 형태의 이중 발광층을 사용한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색안정성과 색순도 향상 메카니즘

  • Go, Yo-Seop;Seo, Su-Yeol;Bang, Hyeon-Seong;Chu, Dong-Cheol;Kim, Tae-Hwan;Seo, Ji-Hyeon;Kim, Yeong-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425-425
    • /
    • 2010
  • 유기 발광 소자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와 조명 광원으로서 많은 응용성 때문에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청색 유기 발광 소자는 적색과 녹색 유기발광소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광효율이 낮고 색 순도가 떨어지며 수명이 짧기 때문에 전색 유기발광소자를 구현하는데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청색 유기 발광소자의 재료 개발, 다층 이종구조 및 형광/인광성 물질의 도핑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색안정성과 색순도가 향상된 진청색 고효율 청색 유기발광소자는 백색유기발광소자의 응용성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색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효율을 높이고 색안정성과 색순도를 향상하기 위해 4,4'-Bis (2,2'-diphenyl-ethen-1-yl)biphenyl (DPVBi) 와 4,4'-Bis(carbazol-9-yl) biphenyl (CBP)로 구성된 나노크기의 폭을 가진 우물 형태의 이중 발광층 구조를 사용한 청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청색유기발광소자의 전기적 성질과 광학적 성질을 조사하여 색안정성 및 색순도 향상 메카니즘을 관찰하였다. DPVBi/CBP 이중 발광층을 가지는 청색 유기발광소자에서 CBP의 HOMO 에너지 준위의 값이 3.2 eV로 매우 크기 때문에 정공을 막는 정공 장벽층의 역할을 하게 되어 정공이 발광층에 머무르게 된다. 또한 DPVBi의 LUMO 값의 크기 5.8 eV, CBP의 LUMO 값의 크기는 6.3 eV이므로 상대적으로 CBP의 전자에 대한 주입장벽이 크기 때문에 발광층에 머무르는 전자의 양이 증가된다. 청색 발광층에 사용된 이중 발광층은 단일 발광층에 비해 더 많은 전자와 정공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자-정공 재결합 확률을 높였으며 재결합 영역이 발광층 중심의 이중발광층 계면으로 이동하여 발광 영역이 국소화되어 전압변화에 따른 색의 변화가 적고 색순도가 더욱 향상되었다.

  • PDF

ITU-T N-스크린 서비스 표준화 동향

  • Yun, Jang-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9
    • /
    • pp.40-48
    • /
    • 2013
  • 본고에서는 ITU-T SG13에서 진행중인 N-스크린 서비스 표준화에 대하여 알아본다. N-스크린은 연결성, 이동성, 통합성의 세가지 특성을 갖는 미디어 이용과 콘텐츠 소비환경을 말한다. N-스크린 서비스는 OSMU (One Source Multi Use), Handover, Collaboration의 세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OSMU는 동일한 콘텐츠를 여러 기기에서 이용하는 서비스 형태이며, Handover는 한 단말에서 보던 콘텐츠를 다른 단말로 이어보는 서비스 형태이고, Collaboration은 서로 다른 단말상에서 서로 다른 콘텐츠가 유기적인 관련성을 가지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이다.

절연성 고분자 poly(methyl methacrylate) 박막 층 안에 분산된 $SnO_2$ 나노입자를 사용한 유기 쌍안정성 소자의 안전성

  • Park, Hun-Min;Yu, Chan-Ho;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378-378
    • /
    • 2012
  • 나노복합체를 이용하여 제작한 유기 쌍안정성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간단한 공정과 플렉서블 기기에 응용 가능성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나노복합체를 사용하여 제작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전기적 성질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으나, 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고분자 박막 내부에 분산된 $SnO_2$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제작한 유기 쌍안정성 소자에서 기억 특성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PMMA 박막층 내부에 분산된 $SnO_2$ 나노입자를 사용한 메모리 소자를 제작하여 전기적 특성 및 안정성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SnO_2$ 나노입자를 PMMA와 용매인 클로로벤젠에 용해한 후에 초음파 교반기를 사용하여 두 물질을 고르게 섞었다. 전극이 되는 indium-tin-oxide 가 성장된 유리 기판 위에 $SnO_2$ 나노입자와 PMMA가 섞인 용액을 스핀 코팅한 후, 열을 가해 용매를 제거하여 SnO2 나노입자가 PMMA에 분산되어 있는 유기 쌍안정성 형태의 나노복합체 박막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나노복합체 박막 위에 상부 전극으로 Al을 열증착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소자의 전류-전압 측정 결과는 메모리 특성을 나타내는 ON과 OFF의 두 가지 상태가 존재하고 ON/OFF 전류 비율은 20이었다. $SnO_2$ 나노입자를 포함하지 않은 소자와 비교를 통해 $SnO_2$ 나노입자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서의 전하 저장 영역으로 하는 역할을 확인하였다. 전류-시간 측정 결과 소자의 ON/OFF 전류 비율이 시간에 따라 큰 변화 없이 1,000회 이상 지속적으로 유지함을 관찰함으로써 소자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