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태적 분석

Search Result 15,137, Processing Time 0.071 seconds

Quantitative estimation method for morphologic analysis of transitional lung cancer (폐암 변이 형태분석을 위한 정량적 평가방법)

  • 최현주;이병일;황해길;최흥국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33-13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폐암의 변이 형태 분석을 위한 정량적 분석 방법을 연구하였다. 보다 객관적인 분석의 필수적 요인인 정확한 분할을 이해 질감 특징과 통계학적 분류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변이 형태 분석을 위해서 분할된 ROI 로부터 여러 가지 형태학적 특성값과 질감 특성값을 추출하여 변이 형태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폐암의 변이 형태 분석을 위한 방법은 다른 기관으로의 원격전이가 쉬운 종양의 특성평가에 대한 객관적 병리진단의 보조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년기 거주형태 변화분석

  • Kim, Jeong-Seok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0 no.1
    • /
    • pp.1-24
    • /
    • 2007
  • 인구고령화의 진전과 함께 노인들의 거주형태에 대한 사회적. 정책적 관심이 증기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논의와 연구들 또한 많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 대부분이 횡단적 자료(단일 시점이든 여러 시점이든)와 분석에 의존함으로써 노인지 거주형태가 생애주기를 따라 변하는 모습을 충분히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제1차 및 제6차 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해 노년기 거주형태의 유동성을 경험적으로 제시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이들 위해 거주형태의 출현율(prevalence rate)과 전이율(transition rate)을 개념적으로 구분하고 자녀동거여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시점에 대한 횡단폭 분석결과는 노인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녀별거경향의 차이를 보여주더라도 생애주기에 따른 역동성을 보여주기에는 한계가 많음이 확인되었다. 두 시점 간의 거주형태 변화에 대한 패널분석에서는 다수 노인들의 거주형태가 주어진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거주형태의 변화를 경험하는 데에는 연령증가와 배우자 상태변화 등이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생애주기적 변화의 효과는 대부분의 계량적 연구에서 유추되는 수준이거나 질적 연구에서만 보고되어 왔던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노년기 거주형태의 지속성을 보여주는 한편 변화 가능성과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노년기 거주형태에 대한 개념적 이해론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론적 논의와 접근방식은 생애주기별 변화에 초점을 두고자 하는 다른 연구영역에서도 적용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A study on plastic elements involved in character identity (캐릭터 아이덴티티에 관여하는 조형적 요소에 관한 연구)

  • Lee, Soon-Young;Lim, Chul-Min;Cheong, Su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61-63
    • /
    • 2007
  • 아이덴티티(identity)는 퍼스낼리티(personality)로서 자신을 총체적으로 통합시켜 경쟁시대에 차별 화를 위한 새로운 이미지 정착의 수단으로 중요시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각 캐릭터들 간의 다양성과 시각적 통일성 요소들을 파악하여 동질성 인지를 통한 캐릭터 아이덴티티를 확립하는 기초정보 제공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범주화, 전형성 인지 과정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캐릭터 인지의 형태적 대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전형적 요소들이 있다는 가설 하에 사례분석을 통한 조형적 요소의 특징을 분류하였다. 또한 캐릭터 그룹 간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수 있는 형태적 요소의 범위를 파악하였으며, 기초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캐릭터의 형태 인지에 따른 빈도분석 결과 형태 인지의 우선 순위는 얼굴, 눈 코 입, 면, 아웃라인 순으로 분석 되었다. 향후 캐릭터의 형태적 요소에 기인한 실증분석을 통해 캐릭터 아이덴티티를 실현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EST-SSR Markers and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Using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Cultivars Collecting from Domestic (국내 수집 감 품종을 이용한 EST-SSR marker 개발과 유전적 다양성 분석)

  • Seo, Dong Hywi;Jung, Kyung Mi;Kim, Se Jong;Kim, Kyung-Mi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6 no.4
    • /
    • pp.491-502
    • /
    • 2013
  •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fru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ruit and have been cultivated from ancient times in Korea. In this study, we found 16 EST-SSR markers that contained one or more EST-SSR sites from 246 cDNA sequences. The developing of EST-SSR marker analysis from 42 persimmon cultivars was compared by genetic relationships and morphological relationships using 6 qualitative traits (fruit related 6 traits) and 19 quantitative traits (flower related 19 traits). In this study, 25 primer sets were tested to identify PCR polymorphism and 14 potential EST-SSR primer pairs were selected. The result of morphological relationship EST-SSR marker analysis showed that the coefficient 0.02 was difficult to categorize in several groups. And then, coefficient 0.77 of genetic relationship showed that the group was classified as four groups. The result of correlation distance between genetic relationship and morphological relationship were investigated was low significance (-0.03). Our results also provided an optimized method for improvement of breeding efficiency and introduce of superior character at persimmon cultivars using EST-SSR markers which was useful for further investigation.

Analyzing the Types and Causes of Korean-to-English Machine Translation Errors: Focused on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Errors (한-영 기계번역 결과물의 오류 유형 및 원인 분석: 형태적·구문적 오류를 중심으로)

  • Baek, Ji-Yeon;Goo, Hye-Kyo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4
    • /
    • pp.199-204
    • /
    • 202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n L2 writing class using machine transl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types of errors are identified the most frequently in the Korean-to-English machine translation output and what causes those errors. The participants were seven EFL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eted three writing tasks throughout the semester.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ost common errors were seen in sentence structure and mechanics, and those errors in the translated texts were caused by the errors in the Korean source texts.

A Study on the Form Analysis Tools Based on the User's Emotional Response (사용자의 감성반응에 기초한 형태 분석 도구에 대한 연구)

  • Choi, Min-Young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2 no.2
    • /
    • pp.233-242
    • /
    • 2009
  • Recently the studies on user-centered design and form-development have become issues of general interest as the key methods for successful design. For form analysis on user it is important needs that an integrated approach of existing methods and development of expert tool for designer. Moreover analysis methods and tools have to meet with the designers needs of visual result, clear direction, concrete formative factor, user's emotional response and designer-friendly interface. This study proposed the main concepts of form analysis tool based on the user's emotional response ; integrated management, variables set-up, visual result of analysis, in-depth analysis with data mining and correlation, and reinforcement of user-centered analysis. Specific analysis tool consists of 5 functions: Project Management, Analysis Frame Set-up, Data Input-output, Basic Analysis, and In-depth Analysis. The feasibility of proposed tool was verified by a case study of mobile phone design in under-graduate class.

  • PDF

터키 메블라나 복식에 관한 연구 -메블라나 복식 형태 분석과 이를 응용한 의상 디자인-

  • 이희현;이명옥
    • Proceedings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73-76
    • /
    • 2004
  • 이슬람 신비주의 교단인 메블라나는 독특한 춤 의식을 통해 종교의 영적체험을 경험 한다. 종교적 춤을 출 때에 착용하는 메블라나 복식은 그 하나하나가 형태적인 면에서 뛰어난 조형성을 가짐을 물론 각각의 형태들은 종교적 상징성을 지니고 있어 디자인의 신비감을 더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메블라나 복식의 종교적 배경과 형태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현대 복식의 디자인에 응용하여 보고자 한다.(중략)

  • PDF

Field Usage Pattern in Typical Java Programs (전형적 자바 프로그램에서 필드의 사용 형태)

  • Yang, Hee-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865-867
    • /
    • 2005
  • 자바 프로그램은 클래스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며 클래스는 필드와 메소드로 구성된다. 필드는 힙 메모리에 저장되므로 필드의 사용 형태는 힙 메모리의 사용 형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자바 힙 메모리의 사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필드의 사용 형태를 분석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형적 자바 프로그램에서 필드가 어떻게 사용되어지는지를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바가상기계의 힙 메모리 구조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며, 나아가 효율적인 자바가상기계의 개발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유역의 하천형태학적 특성인자와 빈도유량 및 수리기하간의 상관성 - 금강수계를 중심으로 -

  • Gang, Gwan-Won;Yun, Yong-Nam;An, Sa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80.08a
    • /
    • pp.51-52
    • /
    • 1980
  • 하천형태학적 특성은 유역의 수문학적 특성 및 수리학적 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본 논문은 하천형태학적 특성과 빈도유량 및 하도의 수리기하학적 특성간의 상관성을 금강수계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들 연구의 목적은 미계측지점에 대한 이수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금강수계의 하천형태학적 특성분석은 Horton의 하천차수개념을 이용하여 하천지형의 3대 법칙에 의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Horton의 법칙과 잘 일치하였다. 또한 유역특성과 수로특성간의 상관분석인 하천연장-유역면적관계와 상대고도-상대고도관계분석에서도 밀접한 상관성을 보여 주었다. 금강수계내의 5개수위표 지점에서 생기빈도 0.1~0.9의 유량자료를 사용하여 얻는 각 지점의 유량빈도곡선은 대체로 지수함수관계로 표시할 수 있었다. 하천형태학적 특성을 연속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비례하천차수를 도입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유량 = 생기빈도 - 비례하천차수간의 관계에 대한 수학적 모형을 정립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두 축척에 따라 하천차수는 달라지나 하천형태학적 특성에 관한 Horton의 3대법칙에는 근본적으로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유역의 하천형태학적 특성을 매개변수로 하여 빈도유량과 수리기하학적 인자간의 관계, 유역면적과 수리기하학적 인자간의 관계 및 연평균 유출용적과 수리기하학적 인자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각각에 대한 수학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 PDF

Optimization of Shape Descriptor for Comparability Assessment of Protein Structure (지역적/전역적 형태기술자 최적화를 통한 단백질 구조 동등성 평가)

  • Suh, Jung-Keun;Chun, Sung-Hwan;Choi, Yoo-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631-634
    • /
    • 2019
  • 단백질의 구조적 동등성을 평가를 위한 형태 기반의 기술자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 지역적 특성 값으로 표현된 지역적 접근 방법이 다수를 이루고 있다. 지역적 특성과 전역적 특성을 포함하는 형태기술자의 경우 각 특성들이 동등한 중요도로 결합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형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각 특성에 대한 중요도를 최적화하여 형태기술자를 재정의 하였다. 최적화된 형태기술자를 단백질의약품인 인슐린 모델에 적용하여 구조적 동등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최적화된 형태기술자는 동일한 그룹에 속한 인간 인슐린 단백질 모델과 지역적으로 다른 구조를 가지는 인슐린 아날로그 그룹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성능은 이전 연구의 형태기술자와 3D 저니크 기술자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또한 제안한 방법은 고해상도 단백질 3차 구조 정보를 활용하여 유사성을 판별한 RMSD 방법과 유사하게 서로 다른 표면 구조를 가지는 단백질을 구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형태기술자 및 최적화된 동등성 평가 함수는 SAXS 분석과 같이 저해상도 단백질 표면 모델을 확보할 수 있는 분석에 적용하여 단백질의 구조적 동등성을 판별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