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형태소분석

Search Result 62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Morphological Analyzer using Adjacent Attribute and Near Word Information (형태소 접속 특성과 인접 말마디 정보를 이용한 형태소 분석기)

  • Kim, Byung-Hi;Lim, Kwon-Mook;Song, Man-Su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3.10a
    • /
    • pp.395-404
    • /
    • 1993
  • 본 논문은 형태소간의 접속 특성과 대형 말뭉치(Corpus)에서 추출된 인접 말마디의 정보를 이용해서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를 구현한다. 언어는 단지 규칙으로만 처리하기에는 불가능한 복잡한 구조와 중의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과거에 주로 연구되었던 형태소들간의 접속 특성과 규칙을 이용한 형태소 분석은 실제로 구문분석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실용성을 제시하지 못했다. 따라서 형태소 접속 특성뿐만 아니라 인접 말마디와의 관계를 사전에 기술함으로써 보다 실용성 있는 형태소 분석기의 구현을 시도한다. 아울러 본 형태소 분석기의 효능은 정착하고 풍부한 정보를 사전에 효율적으로 수록함으로써 이룩될 것이며, 이를 위해 기존 사전의 보강에 필요한 정보들을 대형 말뭉치로부터 추출하여 사전에 첨가시킨다.

  • PDF

An Efficient Dictionary for Syllable-based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음절 기반 형태소 분석을 위한 효율적인 사전 구성)

  • Kim, Nam-Churl;Seo, Young-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411-415
    • /
    • 1997
  • 형태소 분석기의 처리 속도는 분석 알고리즘과 형태소 사전의 탐색 기법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형태소 분석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많은 형태소 분석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음절 정보를 이용하는 형태소 분석기는 한국어 음절의 통계적 특성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분석 후보의 개수를 최대한 적게 하여 처리 속도를 향상시켰다. 본 논문은 형태소 분석시 발생하는 분석 후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전 탐색 요구시 가장 많은 처리 시간을 필요로 하는 디스크 읽기 횟수를 줄일 수 있도록 음절별 블록 인덱싱한 사전 구성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형태소 사전을 첫 음절별로 블록화하고 인덱싱하여 3개의 추가적인 인덱스 테이블을 구축하는 사전 구성 방법으로, 인덱스 테이블을 모두 주기억장치에 적재하였을 때에는 평균 61.6%, 크기가 작은 두 개의 인덱스 테이블만 주기억장치에 적재하였을 때에는 평균 25%의 디스크 읽기 횟수를 줄일 수 있다.

  • PDF

The Layered Structural Tagging Program for Seaching (언어자료 검색을 위한 계층구조형 형태소 분석 프로그램)

  • Kang, Yong-He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89-96
    • /
    • 2001
  • 1999년 제1회 형태소 분석기 및 품사태거 평가 워크숍 이후 표준안에 대한 새로운 대안이나 문제제기등을 제시한 논문은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대회 참가 이후 표준안을 수정한 새로운 유형의 형태소 분석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그 실용성과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과 문제점을 밝혀, 계층구조형의 형태소분석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는 일본의 JUMAN을 참조 새로운 유형의 형태소 분석형식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일본방송협회 방송기술연구소(이하 NHK기술 연구소)의 의뢰에 인한 것이며 어절단위의 표준안과 다른 형태소 단위를 기본요소로 삼고 있으며 활용형을 갖고 있는 용언에 대해서는 활용형의 전개를 하고 있다. 어절단위로 탈피한 이유는 형태소 분석의 기본요소로써 어절단위 보다는 형태소 단위를 기준으로 삼는 것이 생산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어절정보와 문장정보는 XML(extensible makrup language)등의 별도의 정보를 주는 방법을 채택했다. 음절말음이 자음인지 모음인지의 음운 정보에 따라 활용형을 차별했으며 표준안과 달리 명사의 종류와 개념을 세분화했다. 아울러 조사와 어미등의 검색어와 함께 음절을 형성하고 있는 비검색어 대상은 배제하는 프로그램과 표준안의 어절방식으로 출력하는 3가지 프로그램을 작성했다. 본 연구에서는 계층구조의 형태소분석 프로그램의 가능성과 한국어의 특성을 고려한 출력항목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Word Classification and Data Structure for Korean Morphological Analysis (한국어 형태소 분석을 위한 단어 유형 분류와 자료구조)

  • Kang, Seung-Shi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241-245
    • /
    • 1996
  • 한국어 정보처리 시스템은 유형별로 다양한 형태의 형태소 분석 정보를 필요로 하는데 이를 위하여 한국어의 단어 유형을 분류하고 형태소 분석 결과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자료구조를 제안한다. 형태소 분석에 필요한 단어 유형은 일반적인 유형과 단순화된 유형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형태소 분석을 위한 새로운 단어 구성 전이도를 제시하였다. 형태소 분석 결과를 저장하는 자료구조는 HAM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료구조를 기반으로 응용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완하고 저장 공간의 효율성을 개선하였다.

  • PDF

A Morpheme Analyzer based on Transformer using Morpheme Tokens and User Dictionary (사용자 사전과 형태소 토큰을 사용한 트랜스포머 기반 형태소 분석기)

  • DongHyun Kim;Do-Guk Kim;ChulHui Kim;MyungSun Shin;Young-Duk Seo
    • Smart Media Journal
    • /
    • v.12 no.9
    • /
    • pp.19-27
    • /
    • 2023
  • Since morphemes are the smallest unit of meaning in Korea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ccurate morphemes analyz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Korean language model. However, most existing analyzers present morpheme analysis results by learning word unit tokens as input values. However, since Korean words are consist of postpositions and affixes that are attached to the root, even if they have the same root, the meaning tends to change due to the postpositions or affixes. Therefore, learning morphemes using word unit tokens can lead to misclassification of postposition or affixes. In this paper, we use morpheme-level tokens to grasp the inherent meaning in Korean sentences and propose a morpheme analyzer based on a sequence generation method using Transformer. In addition, a user dictionary is constructed based on corpus data to solve the out - of-vocabulary problem. During the experiment, the morpheme and morpheme tags printed by each morpheme analyzer were compared with the correct answer data, and the experiment proved that the morpheme analyzer presented in this paper performed better than the existing morpheme analyzer.

Automatic Generatio of Korean Pronunciation Variants (TTS 시스템을 위한 한국어 발음열 자동 생성)

  • 차선화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8a
    • /
    • pp.413-418
    • /
    • 1998
  • 음성 합성 시스템의 한 모듈로서 한국어 문자열을 음소열로 자동 변환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문자열을 음소열로 변환할 때에는 한국어 음운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과정이 필요하다. 한국어의 음운 변화 현상은 단일 형태소 내부와 여러 형태소가 결합하여 한 어절을 이루는 경우 그 형태소 경계, 그리고 어절 경계에서 서로 다른 음운규칙이 적용된다. 따라서 언절이나 문장 등의 입력을 음소열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형태소 분석, 태깅작업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올바른 발음열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한국어의 형태음운현상을 반영하기 위해 형태소 분석을 선행한 후, 한국어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음운 변화 현상의 분석을 통해 정의된 음소 변동 규칙과 변이음 규칙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형태소, 어절, 언절 또는 문장 등의 다양한 형태의 입력에 대해 발음열을 생성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분리되어 있던 형태소 태거와 변환시스템을 통합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으며 텍스트 기반의 형태소 분석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원형이 복원되는 형태소들에 대한 처리 루틴을 두어 오류를 감소 시켰다.

  • PDF

Non-autoregressive Multi Decoders for Korean Morphological Analysis (비자동회귀 다중 디코더 기반 한국어 형태소 분석)

  • Seongmin Cho;Hyun-Je S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418-423
    • /
    • 2022
  • 한국어 형태소 분석은 자연어 처리의 기초가 되는 태스크이므로 빠르게 결과를 출력해야 한다. 기존연구는 자동회귀 모델을 한국어 형태소 분석에 적용하여 좋은 성능을 기록하였다. 하지만 자동회귀 모델은 느리다는 단점이 있고,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비자동회귀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비자동회귀 모델을 한국어 형태소 분석에 적용하면 조화롭지 않은 시퀀스 문제와 토큰 반복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중 디코더 기반의 한국어 형태소 분석을 제안한다. 조화롭지 않은 시퀀스는 다중 디코더를 적용함으로써, 토큰 반복 문제는 두 개의 디코더에 서로 어텐션을 적용하여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은 세종 형태소 분석 말뭉치를 대상으로 좋은 성능을 확보하면서 빠르게 결과를 생성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보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Modularized Morphological Analyzer (모듈화된 형태소 분석기의 구현)

  • Lee, Woon-Jae;Kim, Sun-Bae;Kim, Gil-Yeo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d
    • /
    • pp.123-136
    • /
    • 1999
  • 자연언어처리 분야에서 형태소 분석은 가장 기본적인 단계로서 응용 시스템의 목적에 따라 사용되는 형태소 분석기의 수준과 사용 정보가 달라진다. 기존의 형태소분석기의 기능을 다른 목적을 지닌 응용 시스템에서 사용하려 할 때, 분석수준과 사용정보의 이질성으로 인해 변경 또는 확장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형태소 분석기의 변경과 확장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재사용가능한 모듈화된 형태소 분석기의 구현을 제안한다. 모듈화된 형태소 분석기는 구성 요소인 모듈들의 독립성과 재사용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확장과 보수가 쉽고, 특정한 요구사항에 대하여 새로운 형태소 분석기를 구현하는데 기존의 모듈들을 사용함으로써 시스템의 개발 시간을 단축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모듈들의 사용성을 보여주기 위해 전처리기, 형태소 분석기, 명사 추출기, 태거 등을 하나의 시스템 안에 모듈화된 개념으로 구현하였고, 형태소 분석기는 사전, 음운 변화 처리, 결합 검사, 분석 알고리즘 등을 모듈화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syntactic morpheme generation using morpheme dictionary (형태소 사전 기반 구문 형태소 생성)

  • Park, In-Cheol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6 no.5
    • /
    • pp.725-734
    • /
    • 2005
  • Syntactic morpheme is proposed for reducing morpheme units generated by korean morpheme analyzer. It is proved that syntactic morpheme remarkably diminished the overhead of syntactic analyzer. However, the syntactic morpheme generation is so separated from the morpheme analyze phase in the existing system that it needs an extra execution time. Moreover, the method do not consider spacing-free statem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ntactic morpheme generation using morpheme dictionary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Experiments show that our proposed method reduce generation time more than one hundred times 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one.

  • PDF

Automatic Pronunciation Generation System Using Minimum Morpheme Information (최소 형태소 정보를 이용한 자동 발음열 생성 시스템)

  • 김선희;안주은;김순협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216-219
    • /
    • 2003
  • 본 논문은 최소한의 형태소 정보를 이용한 자동 발음열 생성 시스템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발음열 생성 시스템은 입력된 문장에 대하여 형태소 단위로 분석한 다음, 각 형태소와 형태소의 결함 관계를 고려한 음운 규칙을 적용함으로써 상응하는 발음열을 생성한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이러한 발음열 생성시의 형태소 분석에 관하여 그 범위에 관한 연구 없이, 가능한 최대한의 분석을 상정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어 음운현상을 체계적인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모든 형태론적 음운론적인 환경에서 가능한 모든 음운현상을 분류하여 발음열 생성시에 실제로 필요한 형태소 분석의 범위를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음운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텍스트 자료로는 어휘가 중복되지 않으면서도 많은 종류의 어휘가 수록된 5만 여 어휘의 연세한국어사전과 2200 여 개의 어미와 조사를 수록한 어미조사사전을 이용하였다. 이와 같이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음운현상은 규칙적인 음운 현상과 불규칙적인 음운현상으로 나뉘는데, 이 가운데 형태소 정보가 필요한 형태음운규칙으로는 두 가지가 있으며, 이러한 형태음운규칙을 위한 형태소 분석의 범위로는 세세한 분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최소한의 정보로 가능함을 보인다. 이러한 체계적인 분석을 기반으로 제안하는 자동 발음열 생성 시스템은 형태음운규칙과 예외규칙, 그리고 일반음운 규칙으로 구성된다. 본 시스템에 대한 성능 실험은 PBS 1637 어절과 ETRI 텍스트 DB 19만 여 어절을 이용하여 99.9%의 성능결과를 얻었다.

  • PDF